최근 수정 시각 : 2025-10-27 00:11:41

달팽이의 회고록

역대 부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
파일:BIAF로고.png
국제경쟁 장편 부문 대상
제25회
(2023년)
제26회
(2024년)
제27회
(2025년)
치킨 포 린다! 달팽이의 회고록 리틀 아멜리

달팽이의 회고록 (2024)
Memoir of a Snail
파일:2024 달팽이의 회고록 국내 메인 포스터.jpg
<colbgcolor=#3C231C><colcolor=#ECC978> 장르 애니메이션, 드라마
감독 애덤 엘리어트[1]
각본
제작 애덤 엘리어트
리즈 키어니
출연 사라 스누크
코디 스밋 맥피
재키 위버
도미니크 피뇽
에릭 바나
촬영 제럴드 톰슨
편집 빌 머피
음악 엘레나 카츠 체닌
제작사 파일:호주 국기.svg Arenamedia
파일:투명.png Screen Australia
파일:투명.png Snails Pace Films
파일:투명.png Soundfirm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해피송
배급사 파일:호주 국기.svg Madman Entertainmen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해피송
개봉일 파일:프랑스 국기.svg 2024년 6월 10일(제48회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
파일:스페인 국기.svg 2024년 10월 3일(제57회 시체스 영화제)
파일:호주 국기.svg 2024년 10월 17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년 10월 25일(제26회 부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25년 1월 31일(제54회 로테르담 국제영화제)
파일:홍콩 국기.svg 2025년 4월 15일(제49회 홍콩국제영화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년 4월 30일
화면비 1.85 : 1
상영 시간 95분 (1시간 34분 45초)
제작비 700만 호주 달러
월드 박스오피스 $7,591,036
북미 박스오피스 $669,798
대한민국 총 관객 수 5,567명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1. 개요2. 포스터3. 예고편
3.1. 제작기 영상3.2. 기타 영상
4. 시놉시스5. 등장인물6. 줄거리7. 사운드트랙8. 평가9. 흥행
9.1. 대한민국9.2. 북미 (미국·캐나다)9.3. 중국9.4. 대만9.5. 일본9.6. 영국9.7. 기타 국가
10. 기타

1. 개요

애덤 엘리어트 감독 및 각본의 2024년작 호주 클레이 애니메이션영화. 한국에서는 2025년 4월에 개봉했다.

2024년 6월 안시 국제 애니메이션 영화제 경쟁 부문에 초청받아 최고상인 장편 크리스탈상, 10월 부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BIAF) 장편 대상을 수상하고, 2025년 제97회 아카데미 시상식 장편 애니메이션상 부문에 노미네이트되었다.

2. 포스터

파일:2024 달팽이의 회고록 국내 티저 포스터.jpg 파일:2024 달팽이의 회고록 국내 메인 포스터.jpg
티저 포스터 메인 포스터

3. 예고편

30초 예고편 메인 예고편

3.1. 제작기 영상

3.2. 기타 영상

애덤 엘리어트 감독 인사영상
퇴마록 이우혁 작가 추천영상
비하인드 영상(한글자막 스튜디오 투어)

4. 시놉시스

“이제 너도 그 껍질에서 나올 차례야.”
“우린 앞을 보고 살아야 해, 꼭 기억해. 과거에 머물러 있지마”

'그레이스'는 자신의 달팽이, '실비아'에게 살아온 이야기를 시작한다.
잦은 병치레, 수면무호흡증으로 언제 위험해질지 모르는 알코올 중독자 아빠, 또래 친구들의 괴롭힘…

씁쓸한 유년 시절 유일한 빛이자 영웅이 되어준 건 쌍둥이 '길버트'이다.
하지만 서로 다른 지역으로 입양돼 헤어지게 되며 서로에 대한 그리움으로 하루하루를 살아나간다.
계속되는 잔잔하고도 외로운 일상 속, 우연히 ‘핑키’라는 괴짜 할머니를 만나 우정을 쌓게 되고 그레이스는 다시금 인생의 희망을 찾아가기 시작하는데…
출처: KMDb

5. 등장인물

6. 줄거리

7. 사운드트랙

8.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IMDb=tt23770030, IMDb_user=7.8, IMDb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memoir_of_a_snail, 로튼토마토_tomato=95, 로튼토마토_popcorn=82,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메타크리틱=memoir-of-a-snail, 메타크리틱_critic=81, 메타크리틱_user=8.0,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memoir-of-a-snail, 레터박스_user=4.1,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알로시네=326680, 알로시네_presse=4.0, 알로시네_spectateurs=4.2,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Filmarks=119137, Filmarks_user=4.1,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36467821, 도우반_user=8.4, ## 도우반_highlight=display,
왓챠=mW423eR, 왓챠_user=3.7, ##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133816, 키노라이츠_light=93.75, 키노라이츠_star=3.8,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CGV=89595, CGV_egg=96, ## CGV_highlight=display,
MRQE=memoir-of-a-snail-m100148776, MRQE_user=77, ## MRQE_highlight=display,
TMDB=1064486-memoir-of-a-snail, TMDB_user=81, ## TMDB_highlight=display,
RogerEbertcom=memoir-of-a-snail-film-review, RogerEbertcom_user=3.5, ## RogerEbertcom_highlight=display,
씨네21=62184, 씨네21_expert=7.25, 씨네21_user=, ## 씨네21_highlight=display,
This stop motion odyssey of hope triumphing over life's despair with humanity to spare makes Memoir of a Snail a deft, heartfelt tale.
삶의 절망을 인간성을 갖춘 채 희망으로 이겨내는 이 스톱모션 오디세이는, <달팽이의 회고록>을 진정 솜씨 좋으면서도 진심어린 이야기로 만들어주었다.
- 로튼 토마토 평론가 총평
달콤하여라, 삶과 죽음의 우울함이여: 때론 껴안으면서 앞으로 나아가는 것
- 이용철 (★★★★)
역시 애니메이션이란 세상 괴짜, 외톨이, 움츠러든 달팽이들의 안식처
- 이우빈 (★★★)
응달진 자리에서 자란 키 작은 나무도 실은 햇볕이 늘 함께했단다
- 이자연 (★★★★☆)
비탄의 패각 속에서 고요한 희망이 꿈틀대다
- 정재현 (★★★★)
이제 과거의 문을 닫아도 괜찮다는 따뜻한 인사
- 조현나 (★★★)
나선형의 피난처를 가르고 마주한 희망의 나이테
- 최현수 (★★★★)
기발하고 풍부한 창의력에 거듭 감탄
- 박평식 (★★★☆)
앞으로 나아가기 위한 진심 어린 뒤돌아보기
- 김철홍 (★★★)

2025년에 개봉된 스톱모션 영화들 중에서 최고의 명작으로 대찬사를 받고있다.

9.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 개봉일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기준일
전 세계 (최초개봉일) $(세계누적) (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북미
미정 미개봉 미정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정 미개봉 미정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국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정 미개봉 미정

9.1. 대한민국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width: 300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명 -명 미집계 -원 -원
1주차 20XX-XX-XX. 1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3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4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5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6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7일차(화) -명 -위 -원
2주차 20XX-XX-XX. 8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9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0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1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2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13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14일차(화) -명 -위 -원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16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7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8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9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0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1일차(화) -명 -위 -원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3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24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25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26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7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8일차(화) -명 -위 -원
}}}}}}}}}||

9.2. 북미 (미국·캐나다)

9.3. 중국

9.4. 대만

9.5. 일본

9.6. 영국

9.7. 기타 국가

10. 기타

  • 2025년 4월 한국 공식 개봉 시점, 전세계 여러 영화제와 시상식에서 13회의 수상, 70번의 노미네이트를 기록했다.
  • 감독이 2003년에 만들었던 단편 '하비 크럼펫'의 주인공 하비 크럼펫이 극중 카메오로 잠깐 등장하기도 한다.

[1] '메리와 맥스' 감독.[2] 장피에르 죄네의 페르소나로 유명한 배우.[3] 대사가 없는 달팽이다. 이 작품은 그레이스가 실비아에게 자신의 추억을 이야기하는 형태의 액자식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레이스의 증언에는 실비아의 이야기도 있다.[4] ~ 20XX/XX/XX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