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0 23:42:17

농심 레드포스/리그 오브 레전드/2025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농심 레드포스/리그 오브 레전드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de2027><tablebgcolor=#de2027>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 화이트.svg,Nongshim RedForce
역대 시즌
}}}
{{{#!wiki style="color: #de2027;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I Gaming Star* 2016
2017
ES Sharks* 2018 2019
Team Dynamics 2019
2020
Nongshim RedForce 2021
2022 2023 2024
2025
*게임단 측에서 공식적인 팀의 역사로 인정하지 않음.
}}}}}}}}} ||
Nongshim RedForce 역대 시즌
2024 시즌 2025 시즌 2026 시즌

[clearfix]

1. LCK 스토브리그/2024

파일:2025 NS.jpg
10월 24일, 콜미미하일과의 계약을 종료하며 스토브를 시작했다.

11월 1일엔 든든, 2일엔 구거와의 계약도 종료되었다.

11월 12일엔 피터, 애디, 미디르, 신진영 코치, 채도준 코치와의 계약 종료를 발표하였다.

11월 17일 LPL 썰쟁이 한이가 젠지의 로스터를 기인-캐니언-쵸비-룰러-듀로로, 디플러스의 서포터는 베릴로 예상했다. 이렇게 되면 리헨즈가 농심으로 오게 될 확률이 높아 보이고, 기존 킹겐표식의 영입설이 떠돌아 킹겐-표식-피셔-지우-리헨즈라는 강한 로스터가 완성된 게 아니냐는 팬들의 희망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1월 19일 표식이 광동 로스터에 들어갔다고 발표되어 농심 표식은 아닌 것으로 드러났다.

11월 20일 쉐도우코퍼레이션 인스타그램에 리헨즈와 에이전트가 농심 레드포스 사옥에서 찍은 것으로 추정되는 스토리가 업로드되면서, 리헨즈의 농심행이 거의 확정적으로 가는 분위기가 되었다. 또한 농심 썰쟁이에 따르면 11월 22일 금요일에 전체 로스터 공개가 예정되어 있다고 밝혔다.

결국 여러 가지 썰들과 오피셜들을 종합해보면 올해 로스터는 킹겐 - 실비 - 피셔 - 지우 - 리헨즈로 구성 될 것으로 보인다. 신인 듀오 실비와 지우는 어느 정도 보여준 기대값이 있지만, 특히 피셔가 분전해줘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고 위에 루머대로 11월 22일 실비 재계약, 킹겐 영입, 지우 재계약, 리헨즈 영입이 발표되어 로스터가 완성되었다. 특히나 대형 네임드인 킹겐과 리헨즈는 2년 계약 그리고 팀 내 프랜차이즈 스타이자 코어인 지우 또한 2026년까지 재계약을 해서 성공적인 스토브를 보냈다고 평가받고 있다.#

2. 2024 LoL KeSPA Cup

스토브리그의 호평이 무색하게 1군 전원을 출전시켜놓고 전원 1군 디플러스와 2군들이 섞여있는 젠지-한화에게도 패배하며 7위로 대회를 마치는 굴욕을 기록했다. 같이 1군 전원을 출전 시킨 브리온과 디플러스는 결승까지 올라갔다는 것을 생각하면 더더욱 실망스럽다는 의견이 많다. 그나마 위안점이라면 케스파컵과 당해 리그 성적은 정배대로 간적이 손에 꼽힌다는 점.

3. 2025 LoL Champions Korea Cup

Nongshim RedForce
파일:2025 LCK CUP NS.jpg
<colbgcolor=#de2027><colcolor=#fff> 감독 [[박승진(프로게이머)|박승진
Chelly
]]
코치 [[김재희|김재희
Crazy
]]|[[김태양(프로게이머)|김태양
SSUN
]]
로스터
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
TOP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황성훈|황성훈
Kingen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
JGL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민성(2003년 8월)|김민성
GIDEON
]]
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
MI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정태|이정태
Fisher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지우(프로게이머)|정지우
Jiwoo
]]
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
SPT
파일:crwn.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손시우|손시우
Lehends
]]

KT의 선택을 받아 장로 그룹에 속하게 되었다. 이후 DRX를 지명하면서 젠지, 디플러스, KT, DRX와 같은 그룹에 속하게 되었다. 개막 직전인 2025년 1월 12일, 기드온을 콜업하고 실비를 2군으로 내려보냈다.
  • 조별 라운드
    • vs DNF 1-2 LOSE (2025 LCK CUP 그룹배틀 2경기)
      본인들이 픽한 DRX가 1승을 가져왔지만 DNF와 처참한 엄대엄 경기가 펼쳐지며 1패로 대회를 시작하게 되었다.
    • vs BRO 2-0 WIN (2025 LCK CUP 그룹배틀 6경기)
      킹겐의 가치를 보여주며 스토브리그에서 왜 킹겐을 영입했는지 보여줬다.
    • vs HLE 0-2 LOSE (2025 LCK CUP 그룹배틀 14경기)
      한화생명과의 경기에서 1패를 적립하며 1승 2패가 되었다.
    • vs T1 0-2 LOSE (2025 LCK CUP 그룹배틀 19경기)
      비록 패했으나 장로 그룹이 13승을 쌓으면서 농심은 그룹 배틀 탈락 경우의 수가 사라져 아무리 못해도 플레이-인 진출이 확정되었다.
    • vs BFX 2-0 WIN (2025 LCK CUP 그룹배틀 25경기)
      경기 결과와는 상관없이 플레이-인 라운드가 확정되었으며 리헨즈의 활약과 함께 원사이드로 깔끔하게 이기며 그룹 배틀을 마쳤다.
  • 플레이-인 스테이지
    • vs BRO 2-0 WIN (2025 LCK CUP 플레이-인 1라운드 2경기)
      4시드로서 5시드 브리온과 다시 만나게 됐다. 농심과의 경기 후 브리온의 경기력이 급성장한 점이 경계요소이다. 그러나 우려와 달리 좋은 경기력을 보여주며 브리온을 완파했다.
    • vs T1 0-2 LOSE (2025 LCK CUP 플레이-인 2라운드 1경기)
      최선을 다했지만 결과는 조별리그 때와 마찬가지로 완패로 끝났다. 이 패배로 농심은 최종전에서 플레이오프 진출을 두고 다투게 되었다.
    • vs DRX 3-1 WIN (2025 LCK CUP 플레이-인 3라운드 최종전)
      21시즌 롤드컵 선발전 이후 맞는 Bo5 경기로, 상대팀 DRX가 유칼을 필두로 뛰어난 한타 능력을 선보이고 있어서 미드와 정글의 체급이 약한 농심이 쉽지 않은 승부를 펼칠 것으로 전망되었다. 그러나 기존에 상수로 여겨진 킹겐과 리헨즈와 함께 약점으로 평가받던 피셔와 기드온까지 DRX의 유칼, 스폰지를 압도하며 승리를 가져왔다.
  • 플레이오프
    • vs KT 3-0 WIN (2025 LCK CUP 플레이오프 1라운드 1경기)
      3시간이 채 되기도 전에 경기를 가져오며 플레이오프 2라운드로 진출하게 되었다. 2세트 킹겐의 바이, 아리 더블킬이 백미, 오늘 승리로 2022년 1월 21일 2:1 승 이후 1087일만에 KT전 승리를 가져왔으며, 2021년 8월 18일 AF전 3:1 승리 이후 1274일만에 플레이오프 승리를 기록했으며 플레이오프 최초의 스윕승까지 기록하며 2라운드로 향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1, 2, 3세트 모두 레드 진영에서 승리를 가져와 레드포스라는 이름값을 한 건 덤.
    • VS DK 1-3 LOSE (2025 LCK CUP 플레이오프 2라운드 1경기)
      디플러스 기아가 농심을 지목하면서 21시즌 PO 2라운드와 비슷한 상황이 벌어졌다.[1] 3세트 딮기의 밴픽으로 한 게임을 만회한 것 빼고 나머지 세트에서 완전히 밀리며 패자조로 떨어지게되었다.
    • VS GEN 2-3 LOSE (2025 LCK CUP 플레이오프 3라운드 패자조 경기)
      4년만에 세트승과 함께 리버스 스윕을 노리며 팀의 첫 젠지전 승리를 바라보았지만 결국 쵸비의 환상적인 차력쇼에 무릎을 꿇으며 LCK CUP을 마치게 되었다. 2세트 충격적인 역전패와 함께 패배한 3세트 모두 농심이 잘 굴려보던 게임들이기에 아쉬운 경기가 되었다.

3.1. 총평

4년만에 플레이오프 2라운드 진출을 이뤄낸 점, 킹겐과 리헨즈의 활약으로 스토브리그를 성공적으로 보냈다는 것을 증명했다는 점에서 이번 LCK CUP의 4위라는 결과는 만족할만한 결과였다. 플레이인 스테이지와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피셔와 기드온은 어느정도 자신의 우려를 지우는데 성공한 대회이지만, 대회내내 해결되지 못한 지우의 저점이 결국 마지막 순간까지 발목을 잡고 말았다. 허나, 23, 24시즌과는 다르다는 점을 보여주며, 정규시즌을 기대하게 만들었다.

4. 2025 LoL Champions Korea

5. 팀별 둘러보기

파일:LCK 심볼 화이트.svg LCK 2025 시즌 팀별
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svg파일:한화생명e스포츠 로고 화이트 (텍스트).sv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 파일:T1 로고.svg 파일:kt 롤스터 로고.svg파일:kt 롤스터 로고(다크모드).svg
HLE GEN DK T1 KT
파일:BNK FearX 2025.png 파일:DN 프릭스 로고.svg 파일:농심 레드포스 로고.svg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svg파일:OK저축은행 브리온 로고 화이트.svg
BFX DNF NS DRX BRO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50%;
해당 팀별 목록은 2025년 월드 챔피언십에 진출하는 데 성공한 팀들의 시드별 진출 순위, 리그 최종 등수 조건에 따른다.

[1] 차이점이라면 당시 농심은 3위로 PO 1라운드를 통과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