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0 09:00:05

나카하라 마코토


{{{#!wiki style="margin: -10px;"<tablebordercolor=transparent> 파일:Shogi 왕장.png쇼기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E1BD71,#E1BD71> 게임 구성
<colcolor=#A97600,#A97600> 구성 쇼기판 · 기물(왕장/옥장 · 비차 · 각행 · 금장 · 은장 · 계마 · 향차 · 보병) · 규칙
전략 및 용어 전법/전형(앉은비차 · 몰이비차 · 울타리) · 접쇼기(2보찌르기 · 은다전) · 봉수 · 천일수
파생 게임 변형 쇼기(도부츠쇼기 · 쿠지라쇼기 · 토리쇼기 · 야리쇼기 · 쇼쇼기 · 대포 쇼기 · 츄쇼기 · 다이쇼기 · 타이쇼기 · 타이쿄쿠쇼기 · 군진쇼기 · 요닌쇼기)
쇼기 기전
관련 단체 일본쇼기연맹 · 바둑장기채널
주요 기사 오오야마 야스하루 · 나카하라 마코토 · 하부 요시하루 · 와타나베 아키라 · 후지이 소타
8대 기전 용왕전 · 명인전 · 예왕전 · 왕위전 · 왕좌전 · 기성전 · 기왕전 · 왕장전
일반 기전 NHK배 · 아사히배 쇼기오픈전 · 은하전 · 신인왕전 · JT배 쇼기 일본시리즈 · 달인전 · 카코가와 청류전 · ABEMA 토너먼트 · SUNTORY 쇼기 올스타 동서대항전 · 신은하전
여류 기전 백령전 · 청려전 · 마이나비 여자오픈 · 여류왕좌전 · 여류명인전 · 여류왕위전 · 여류왕장전 · 쿠라시키토카전
기타
쇼기 게임 Lishogi · 모리타 쇼기 · Pychess · 혼쇼기 나이토 구단 쇼기 비전 입문편 · 쇼기클럽 24 · 쇼기워즈 · 81dojo
쇼기 관련 창작물 3월의 라이온 · 그래도 아유무는 다가온다 · 용왕이 하는 일! · 어웨이크 · 시온의 왕 · 81 다이버
}}}}}}}}} ||
나카하라 마코토 16세명인
中原誠 十六世名人 / Makoto Nakahara
파일:나카하라 마코토 대국.jpg
출생 1947년 9월 2일 ([age(1947-09-02)]세)
미야기현 시오가마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쇼기 기사
소속 일본쇼기연맹(관동)
입단 1965년
은퇴 2009년
단급 九단, 16세명인
통산 타이틀 획득 64기(역대 3위)[1]
일반 기전 우승 횟수 28회(역대 3위)
순위전 통산 A급 29기 재적
용왕전 통산 1조 18기 재적
통산 승-패 1308승 782패(.6258)
홈페이지 일본쇼기연맹

1. 개요2. 생애3. 주요 기전 성적4. 여담

1. 개요

일본쇼기 기사. 16세명인이다. 16세명인 이외에도 영세십단, 영세왕위, 명예왕좌, 영세기성 칭호를 보유하고 있으며, 통산 타이틀 획득 수는 64기로 하부 요시하루 九단, 오오야마 야스하루 15세명인의 뒤를 이어 역대 3위에 자리잡고 있다.

2. 생애

그는 1958년 13세의 나이로 장려회에 입회하여 유망주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3단 리그에서만 6기(3년)를 지내며 유망주치고는 비교적 힘들게, 1965년 18세의 나이로 프로 데뷔에 성공했다.[2] 그러나 데뷔 직후 왕좌전에서는 11연속 승리를 거두기도 하는 등의 활약을 이어나갔으며, 이후 순위전에서 4년 연속 승급에 성공하며 차세대 일인자로서의 모습을 보여주었다.

1968년 기성전에 도전하여 20세의 나이로 첫 타이틀을 보유하게 되었으며, 1970년에는 무려 오오먀아 야스하루를 상대로 십단위를 탈취했다. 이후 1971년 기성전에서 통산 5기를 기록하며 23세의 나이로 영세 칭호 자격을 흭득했다.[3]

1971년 순위전 A급 재적 2기만에 역사상 처음으로 A급 전승을 기록하였고 1972년 명인전에서 오오야마 명인을 상대로 명인위를 탈취했다. 이 당시 오오야마 명인은 통산 명인 18기를 기록한 상태였으며 나카하라에게 실관한 이후 다시는 명인위에 오르지 못했다.

이후로도 그는 명인전 뿐만 아니라 십단전, 왕장전, 왕위전 등에서도 오오야마를 상대로 탈취를 하며 연패를 이어나갔다.[4] 그는 이후 오오야마 뿐만 아니라 요네나가 쿠니오 (현 영세기성), 카토 히후미 (현 九단) 등과도 치열한 싸움을 이어나갔다. 1975년에는 기왕전이란 타이틀전이 신설되었지만 카토 히후미와 요네나가 쿠니오가 좋은 성적을 기록하였다.

특히 1977년 역사상 두번째 5관왕[5]을 달성하여 역사상 최초의 6관왕이 되기 위해 기왕전에 도전하였는데, 당시 카토 히후미 기왕이 이를 막아냈던 일화가 유명하다. 이후로 그는 두번 다시 6관왕에 도전하지 못했다.[6]

1976년 명인전에서 요네나가 쿠니오를 상대로 방위에 성공하여 16세명인의 자격을 얻었다. 그러나 1982년의 명인전에서 카토 히후미와 3승 4패 2천일수 1지쇼기 등 10번기[7] 끝에 실관하며 명인전 연패 기록은 9연패로 끝이 났다.

그 이후로 그는 새롭게 등장한 후배들과 치열한 승부를 펼쳤다. 재밌는 점은 1983년부터 타니가와 코지와 명인위를 번갈아가며 연패했다는 점이다. 타니가와 2연패, 나카하라 3연패, 타니가와 다시 2연패, 나카하라 다시 3연패 이런 식이었다. 그러나 1993년 요네나가 쿠니오에게 명인위를 실관한 이후로 그는 남은 프로 재적 기간 동안 다시는 타이틀을 보유하지 못했다.

A급에서 강급당한지 2년째에 해당하는 2002년에는 B급 1조의 상태에서 프리클래스 선언을 하였으며, 2009년에는 용왕전 1조인 상태에서 건강 등의 이유로 은퇴를 선언했다.

3. 주요 기전 성적

<명인전>
15기, 16세명인 (1972~1981, 1985~1987, 1990~1992)
<십단전>
11기, 영세십단 (1970~1972, 1974~1979, 1982~1983)
<왕위전>
8기, 영세왕위 (1973~1978, 1980~1981)
<왕좌전>
6기, 명예왕좌[8] (1983~1986, 1988~1989)
<기왕전>
1기 (1979)
<왕장전>
7기 (1972~1977, 1984)
<기성전>[9]
16기, 영세기성 (1968전~1969전, 1970후~1972전, 1977후~1979후, 1982후, 1988후~1989후)

4. 여담

그는 앉은비차당으로 그의 기풍은 당시에 자연류(自然流)라고 불렸다. 자연류라고 불리는 이유는, "공격할 땐 자연스럽게 공격하고 방어할 땐 자연스럽게 방어하는" 기풍이라고 평가받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프로 경력 후반부에 이르러서 다양한 정석을 개발하면서 자신만의 기풍을 새롭게 다졌다.[10]

또한, 상당한 낙관주의였다고 알려졌다. 대국 상대는 형세를 "호각이거나 나카하라 불리[11]"라고 평가했다고.
1994년 마지막 타이틀인 명인위를 실관한지 2년째[12] 되는 해에, 매년 최소 1개 이상의 타이틀을 보유하며 수십 년간 단위로 불린 적 없었던 그가 九단이라는 칭호를 사용하는 것에 반대 의견이 나오자 현역인 상태로 16세명인의 칭호를 사용하게 되었다. 이후 다른 타이틀전의 영세 칭호 역시 현역 상태로 하나둘씩 사용하게 되었다.[13]

1995년 당시 한때 여류기사였던 하야시바 나오코(林葉直子)[14]불륜 및 폭언 논란에 휩싸였던 적이 있다. 그의 커리어에 찍힌 유일한 오점인 셈.
[1] 명인 15기, 십단 11기, 왕위 8기, 왕좌 6기, 기왕 1기, 왕장, 7기, 기성 16기,[2] 이후 일인자로 평가받는 하부 요시하루 九단, 와타나베 아키라 九단, 후지이 소타 용왕명인이 모두 중학생의 나이로 프로 데뷔한 것과 비교된다.[3] 당시 기성전은 지금과 달리 1년에 2번씩 개최되어 나카하라 기성은 1968년도와 1971년도에는 기성위를 2번씩 보유했다.[4] 당시 기성전에서는 오오야마가 연패를 이어나갔다.[5] 역사상 최초의 5관왕은 오오야마 야스하루 15세명인이다.[6] 역사상 최초의 6관왕은 하부 요시하루 九단이 달성했으며, 그는 이후 사상 최초의 7관왕까지 달성하게 된다.[7] 명인전은 4선승제이기 때문에 아무리 치열한 접전이어도 7국을 넘기 힘들다. 승부가 안 나는 경우가 드문 쇼기임에도 무승부가 3번이나 나올 정도로 치열했다는 의미.[8] 통산 6기 획득으로 명예왕좌 조건인 통산 10기를 만족하지 못했으나, 왕좌전이 일반 기전이었던 당시 우승 10회 경력을 포함하여 명예왕좌로 인정되었다[9] 기성전은 당시 1년에 2기씩 개최되었다.[10] 그의 라이벌로 여겨지던 요네나가 쿠니오(米長邦雄) 영세기성의 쇼기는, 이와는 정반대로 진흙탕류(泥沼流, 도로누마류)라고 불렸다. 진흙탕 싸움을 벌이더라도 기어이 불리한 상황에서 뒤집고 마는 끈질긴 기풍이었기 때문.[11] 나카하라는 대개 스스로 유리하다고 보기 때문에 그 스스로 호각이라고 말해도 실제로는 불리한 셈.[12] 2년째인 이유는, 당시 용왕위와 명인위는 실관하고 1년 동안 각각 전(前) 용왕과 전(前)명인이라는 칭호를 사용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현재는 타니가와 코지 17세명인이 사용을 거부한 이후 사실상 사문화된 제도.[13] 2018년도 이후 같은 상황에 놓이게 된 하부 요시하루 九단은 결국 단위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타니가와 코지 17세명인의 전례에 따라 하부 요시하루 19세명인으로 불리는 것은 그가 60세를 넘은 이후일 것으로 보인다. 이는 18세명인 유자격자인 모리우치 토시유키 九단도 마찬가지.[14] 연맹에서 탈퇴하며 여류기사 자격을 잃었다. 이전까지 여류 타이틀 획득 수 통산 15기를 기록하고 퀸 왕장 칭호를 얻을 정도의 강자였기에 이 사건은 당시 매우 충격적으로 받아들여졌다. 이후 그녀는 작가와 만화가로 활동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