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프로야구 선수}}}에 대한 내용은 [[나카지마 히로유키]]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나카지마 히로유키#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나카지마 히로유키#|]]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프로야구 선수: }}}[[나카지마 히로유키]]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나카지마 히로유키#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나카지마 히로유키#|]]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 수말 | 코니시 키조#|에비나 타케고로|쿠리타 마사루#|야스다 타카요시|마스자와 스에오|타케 쿠니히코|고하라 히로유키|타지마 요시야스|스가와라 야스오|나카지마 히로유키|요시나가 마사토#|오카베 유키오#|시바타 마사토|미나이 카츠미#|타케 유타카#|카와치 히로시|시이 히로후미|요코야마 노리히로|이케조에 켄이치#|우치다 히로유키|이와타 야스나리|카와다 유가|미르코 데무로|크리스토프 르메르 | 후쿠나가 유이치# |
암말 | 시마다 이사오 | 요코야마 토미오 | 카와치 히로시# | 마츠나가 미키오 | 타케 유타카 | 미유키 히데아키# | 혼다 마사루 | 안도 카츠미 | 이케조에 켄이치 | 에비나 마사요시# | 이와타 야스나리 | 후쿠나가 유이치 | 크리스토프 르메르# | 마츠야마 코헤이# | 카와다 유가# | |
# 1년 동안 한번에 수상한 경험이 있는 기수 삼관마 목록 | }}}}}}}}} |
<colbgcolor=#268300><colcolor=white> 이름 | 나카지마 히로유키([ruby(中島啓之, ruby=なかじま ひろゆき)], Hiroyuki nakajima) | |
국적 |
| |
출생 | 1943년 6월 7일([age(1947-04-11)]세), 히로시마 타카다군 요시다초 | |
소속 | 일본중앙경마회 | |
오쿠히라 사쿠타로 (도쿄) → 이나바 유키오 (도쿄) → 오쿠히라 신지 (미호) | ||
데뷔 | 1962년 (기수) | |
은퇴 | 1985년 6월 12일(사망) |
1. 개요
일본 중앙경마회 소속의 기수로, 경마집안 에서 자라 자연스레 기수가 되었으며 현역 당시 관동의 탑 기수 중 한명으로 활약했으나 젊은 나이에 병마로 세상을 떠난 비운의 기수이다.2. 상세
2.1. 기수 초기
태평양 전쟁이 한창인 1943년 도쿄 후츄에서 태어났으나 부친 나카지마 토키이치의 고향인 히로시마의 요시다마을로 이사를 가게 되어 본적은 그곳으로 정해진다.그가 철이 들기 시작할 무렵 아버지와의 연이 있는 목장에 우연히 들렀을 때, 말을 자유자재로 다루는 소녀[1]를 본 후 기수가 될 것을 결심, 아버지에게 부탁을 하게 되는데 명기수이자 조교사이기도 했던 부친 토키이치[2]는 경마계 복귀를 포기하고 츄고쿠 지방에서 농사를 짓기로 해서 "그렇다면 마사공원으로 가거라"라며 권유를 한다.
1959년 마사공원기수양성소에 입학하여 1962년 졸업 후 기수로 데뷔한 히로유키는, 데뷔 초기만 해도 말의 라스트 스퍼트 지시를 조금 일찍 내리는 걸로 유명해서 "헐레벌떡 나카지마"라는 별명으로 불리기도 했으며, 이렇게 타이밍을 놓치는 경우가 많다보니 승수는 제법 올리는데 8대경주 같은 메인 레이스에서는 도통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었다. 그래도 성과는 확실히 내고 있었고, 특히 낮은 인기의 말을 연대로 집어넣는(즉 1, 2위를 하는) 역배를 자주 터트려 "만마권 쟈키"라며 인지도는 확실히 올리게 되었다.
그러던 중 1973년, 10번 인기의 스트롱 에이트에 기승해 당시 절대적 인기를 자랑하던 초대 아이돌호스 하이세이코를 아리마 기념에서 꺾는 파란을 일으키며 첫 팔대경주 우승을 달성한다. 그리고 다음해인 1974년에는 커넬 랜서로 키타노 카치도키와의 데드히트를 제압하며 도쿄 우준을 우승, 사상 첫 부자 더비재패라는 기록도 세우게 된다. 이후로도 코쿠사이 프린스로 킷카상, 아즈마 헌터로 사츠키상을 우승하며 숫말 클래식 경기를 모두 우승하며 멸실공히 탑 쟈키의 면모를 보여주기 시작한다.
이런 대 레이스들에서의 기승 스타일이 높이 평가받게 되어 이후 도쿄의 일류 기수로서 손꼽히게 되었고, 동향의 기수라며 나카지마를 주시하던 마주 후지타 마사아키가 이후 자신의 말들을 맡기며 토쇼 관명의 주전기수로 활동하게 된다.
2.2. 토쇼 관명의 주전기수
원래 후지타 마사아키는 나카지마의 실력을 높이 사 당시 최강의 일각을 차지하던 천마 토쇼 보이의 아리마 기념 기승의뢰를 했다. 그런데 보통 이런 명마를 8대경주 레이스에 내보내는 기승의뢰라면 어떤 기수던 기쁘게 받아들일 텐데, 정작 나카지마는 "그 날은 아이치배에 선약이 있다"라며 거부한다.아직 그레이드제 도입 전이었기에 8대경주가 가장 권위가 높던 시기였기에 후지타 측에서도 "저쪽 관계자에게는 허락을 맡아 놓겠다. 그러니 부디 우리 말을 타 주면 안되겠는가?"라며 다시 권유를 해 보지만 역시 거부하고 주쿄 경마장으로 가버렸다고 한다.
이후 "선약을 그리 쉽게 어길 수 없다"라는 말에 더해, "데뷔전부터 함께 해 온 후배[3]의 말을 빼았을 순 없다"라며 쿨하게 토쇼보이라는 명마와 아리마 기념이라는 8대경주 경기를 포기한 것이 알려지자 후지타 마사아키는 "저런 의리남이라면 우리 토쇼의 말들을 충분히 믿고 맡길 수 있다"라며 기어이 주전기수로 영입하게 된다.
이렇게 의리있고 사람좋은 나카지마는 경마 관계자는 물론, 경마기자들과도 사이가 좋아 그를 나쁘게 쓰는 기사는 거의 나오지 않았으며, 동료 기수들과도 사이가 좋아 "나카지마는 일본 기수클럽 회장 후보"라는 평판까지 나올 정도로 대인배이자 호인으로서 경마계에서 두루 사랑받는 존재였다.
2.3. 이른 죽음
이렇게 사람좋은 대인배들의 특징 중 하나는 술을 좋아한다는 점을 꼽을 수 있다. 나카지마 역시 술에 강한편은 아니지만 사람들과 어울려 술을 마시는 걸 좋아했고 워낙 친한 사람들이 많다보니 술이 끊이는 날이 없었다.그리고 1985년, 평소보다 몸이 무겁게 느껴진 지라 컨디션 관리도 할 겸, 주요 경기들이 열리기 전까지 휴양을 결정한 나카지마는 건강검진을 받는다.
마침 토쇼 서밋이라는 꽤 기대할 만한 말이 있었고, 당시 소속되어 있던 오쿠히라 신지 조교사의 마방[4]에 "그동안 다른 중상은 좀 이겼는데, 아직 더비 트로피는 안겨주지 못했다. 올해가 기회다"라며 만전의 컨디션을 갖추기 위한 조치였다.
사츠키상 출주를 포기하고 더비에 모든 일정을 맞춘 나카지마와 토쇼 서밋 콤비는 당시 더비 트라이얼 경기였던 NHK배에 출주하게 된다.
그런데, 경기 전 조정 룸에서 쉬고있던 나카지마를 깨우러 갔던 절친한 후배 코지마 후토시가 여러번 깨웠음에도 쉽사리 일어나지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 걱정이 됐던 코지마가 "형님, 괜찮은 거요?"라며 물었지만 경기직전이었기에 걱정을 끼치기 싫었던 나카지마는 훌훌 털고 경기에 임한다.
그리고 기대대로 NHK배를 우승하며 토쇼 서밋을 더비로 이끌고, 다음주에는 나카미 안젤리카로 2위를 달성하며 역시 오크스에 보내주는 등 호조의 모습을 보인다.
하지만, 더비 이틀 전 나온 건강검진 결과는 최악이었다. 간암 말기. 그렇게 좋아하던 술이 나카지마의 건강을 빼았아 간 것이다.
"너무 늦게 찾아오셨습니다. 아마 3개월이 한계일 겁니다"라는 진단을 받은 나카지마 였지만, 당연히 남은 기간 기승은 포기하고 가족과 함께 몸조리를 하라는 의사의 권유를 "기수에게 있어서 도쿄 우준은 특별한 경기입니다. 치료는 그 후에 받을테니 더비만은 나가게 해 주십시오"라며 거절한다.
더비 우승경험은 있지만 그건 다른 조교사의 말이었고, 2대에 걸쳐 신세를 진 오쿠히라 마방에 언제 다시 더비에 도전할 만한 말이 나올지 알 수 없는데 본인마저 올해를 넘길 수 없는 상황, 나카지마에게 있어선 이번이 라스트 챤스였던 것이다.
그렇게 결사의 각오로 임한 나카지마였지만, 비로 인해 상당한 불량마장이 되버린 상황에서 2400m의 장거리를 도주로 완주하기엔 토쇼 서밋의 체력이 받쳐주질 못했고, 결국 불량마장에 강한 시리우스 심볼리의 독주와 그 뒤에서 2위 경쟁을 하는 스크럼 다이나와 스다 호크의 모습을 바라보며 18착 대패하게 된다.
경기 후 평소보다 더욱 지쳐보이는 나카지마의 모습에 대경한 오쿠히라 조교사는 북해도 원정을 포기하고 바로 휴양에 들어갈 것을 권유했고 전체 레이스 종료 후 구급차에 실려 병원에 실려가게 된다. 하지만 마지막 찬스를 살리지 못하고 더비에서 패배한 것이 문제였을까, 그래도 3개월 정도는 버틸 수 있다라던 진단과는 달리 6월 10일 용태가 악하되었고 다음날인 11일 새벽 2시, 42세의 젊은 나이로 사망한다.
아버지대 부터 친분이 있는 동생이자 자신의 마방에서 올린 18승의 중상 승리 중 16승을 따 준 주전기수를 잃은 오쿠히라 조교사는 "두 팔을 모두 뜯긴 기분이다"라며 침통함을 표시했고 당시 타지방 원정을 가 있던 동기 고하라 히로유키, 시바타 마사토, 마스자와 스에오 등의 동료들과 관서 관계자들 중에서도 여러 사람이 급히 달려와 나카지마의 죽음을 애도했다.
2.4. 사후
주전기수를 잃은 토쇼 서밋은 절친한 후배 코지마 후토시가 기수를 이어받아 이후로도 출전을 계속했으나 큰 성과는 올리지 못하고 1988년 천황상 가을을 끝으로 은퇴한다.그리고 나카지마가 사망한 후 얼마 지나지 않은 1985년 여름, 그동안의 성적을 인정받아 당대의 명문인 메지로 관명의 말 한마리가 오쿠히라 마방에 맏겨진다.
원래라면 나카지마를 주전기수로 맡겨질 예정이었을만큼[5] 주목받던 그 암말, 메지로 라모누는 이듬해 사상 최초의 암말 3관을 달성하게 되었고, 오카상 승리시 오쿠히라 조교사는 "히로유키... 내가 해 냈어"라며 눈믈을 보였다고 한다.
3. 기타
- 그의 인품덕에 경마계에서는 "형님(あんちゃん)"이란 별명으로 부르며 존경하는 사람들이 다수 있었다고 한다. 그의 장례식에는 동서 관계없이 500여명의 관계자들이 모여 추모를 했다고.
- 오쿠히라 마방에 더비 트로피를 안겨주고 싶다는 열망은 그 전에도 있어서, 아즈마 헌터로 사츠키상을 승리했을 때 경마 관계자들은 당연히 더비에도 같은 말에 기승할 것이라 생각했다고 한다. 하지만 나카지마는 부상으로 인한 휴양을 마치고 돌아온 오쿠히라 마방 소속의 토쇼 페가서스를 타는 걸 선택했고, 이 때에도 착외 참패를 당했다. 그럼에도 1985년 다시한번 오쿠히라 마방 소속의 말로 더비에 도전하게 된 것.
- 간암이 발견되기 전인 1985년 오크스에서 나카미 안젤리카에 기승해 2착의 성적을 올린다. 당시 우승마는 오다기리 유이치의 유일한 클래식 우승마인 노아노 하코부네였는데, 오다기리 유이치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오크스 우승 당시 마주인 오다기리는 "GI 트로피는 마주를 계속하면 언젠가는 딸 기회가 있을 테지만 아이들에겐 지금이 가장 중요한 시기다"라며 자신이 맡고있는 어린이 소프트볼팀의 감독을 하러 가버렸고, 조교사도 이길거란 생각을 안했기 때문인지 미리 약속을 잡아두어 레이스가 끝나자 마자 표창식에 참가도 못하고 바로 떠나버렸다고 한다. 덕분에 당시 기수였던 오토나시 홀로 대기실에 오도카니 남겨졌고, 홀로 안절부절 하고있던 오토나시를 본 나카지마는 "무려 오크스를 이겼는데 뭐하고 있는거야? 마침 잘됐다, 자네의 축승회를 하자구"라며 관동소속의 동료 기수들을 불러들여 성대하게 축하를 해 줬고, 관서 소속이라 나카지마와는 별 인연이 없었던 오토나시는 안그래도 아쉽게 2착을 해서 가장 안타까워 해야할 나카지마가 가장 먼저 나서서 자신을 축하해 준 것에 크게 감동을 받았다고 한다. 그리고 한달 후 나카지마가 죽음을 맞이하자 소속이 다름에도 한달음에 달려와 그의 죽음을 애도해 주었다고 한다.
[1] 누구인지는 정확히 알려져 있지 않으나, 해당 목장주의 자녀 중 한 명일 것으로 추정된다.[2] 사상 첫 더비 우승 암말인 히사모토의 주전기수였다.[3] 당시 이케가미 마사히로가 주전 기수였고, 기승 의뢰를 할 당시에는 후쿠나가 요이치가 타고 있었다. 어느 쪽이건 후배이며, 결국 아리마 기념에는 베테랑 기수이자 선배인 타케 쿠니히코가 기승을 맡게 되었다.[4] 나카지마가 데뷔했던 오쿠히라 사쿠타로 조교사의 아들이 마방을 이어받아 운영했다.[5] 라모누의 주전이었던 카와치 히로시도 "살아계셨다면 당연히 나카지마 선배가 안장을 맡았을 거다"라고 공언했을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