儂 나 농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人, 1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5획 | ||||
미배정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ノウ | ||||||
일본어 훈독 | わし | ||||||
侬 | |||||||
표준 중국어 | nó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儂은 '나 농'이라는 한자로, '나'를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102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TWV(人廿田女)로 입력한다.훈을 나타내는 人(사람 인)과 음을 나타내는 農(농사 농)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HSK에는 출제되지 않는 한자이다. 옛날에는 '나'라는 뜻으로 쓰였다. 현대에는 상하이 방언에서 '너'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성씨로도 사용되나 농씨는 6천명 정도에 불과하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일본어
3.6.1. 훈독
3.6.2. 음독
3.7. 중국어
3.8. 기타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擃(찌를 낭)
- 䁸(흐릴 낭)
- 膿(고름 농)
- 𦗳(귀 울 농)
- 檂(나무 이름 농)
- 䵜(농사지을 농)
- 𨲳(많을 농)
- 穠(무성할 농)
- 嶩(산 이름 농)
- 㺜(삽살개 농)
- 繷(성하고 많을 농)
- 噥(소곤거릴 농)
- 𪒬(시꺼멀 농)
- 𩟊(억지로 먹을 농)
- 襛(옷 두툼할 농)
- 醲(진한 술 농)
- 濃(짙을 농)
- 𠘊(추울 농)
- 齈(콧물 농)
- 燶(탈 농)
- 禯(후한 제사 농)
- 憹(괴로워할 뇌)
- 䃩(약돌 뇨)
- 譨(말 많을 누)
- 𩼅(복어 용)
- 𡢿
- 𢐪
- 𣋏
- 𧓅
- 𨐺
- 𨆞
- 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