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7 23:48:50

후쿠하라 안

김아람에서 넘어옴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
주요 등장인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Happy_Rain_Logo.png
해피 레인{{{#8041d9,#6425be }}}
후쿠하라 안
(김아람)
아야세 나루
(한나루)
스즈노 이토
(강이음)
파일:Bell_Rose_Logo.png
벨 로즈
타카나시 오토하
(송온유)
렌죠지 베루
(류빈)
모리조노 와카나
(채우리)
그 외
린네 아모 쥬네
(신비)
오로라 드림 · 디어 마이 퓨처 · 레인보우 라이브
프리파라 · 아이돌 타임 프리파라 · 아이돌 랜드 프리파라
반짝이는 프리☆채널 · 와츄 프리매직! · 비밀의 아이프리
}}}}}}}}}

프로필
<nopad> 파일:chara_03an_ver01.png
이름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후쿠하라 안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김아람
일본어 표기 [ruby(福原, ruby=ふくはら)]あん
로마자 표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Fukuhara Ann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Kim Aram
생일 4월 2일[1]
나이 14세[2] → 16세(KOP) →17세(KOPPH)
성별 여성
혈액형 A형
별자리 양자리
성격 밝고 쾌활
취미 스위츠 만들기&미스터리 연구
특기 초대형 파르페 만들기
휴일에 하는 것 스위츠 연구
소중한 것 모모갓파 인형
소원 모모갓파가 나오는 영화 DVD를 갖는 것
좋아하는 것 음식 케이크
음료 쉐이크
파란색
스포츠 프리즘 쇼랑 야구
등등 뭐든지 다함
동물 모모갓파[3][4]
소속 프리즘스톤 → 무소속[5]
그룹 소속 프리즘스톤 → 해피 레인♪
주요 출연작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
인물 유형 주연, 조력자, 히로인
패션 타입 파일:external/www.tarts-korea.co.kr/catalog_b54b3ed7e0166bf769ef54b3250278020.png
첫 등장 게임 세션01: 레인보우 라이브 데뷔 편[6]
애니 한나루, 프리즘스톤의 점장이 되다!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 에피소드 1)
연기[7]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세리자와 유우[8]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박신희[9]
노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세리자와 유우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박신희(Sweet Time Cooking Magic, cherry-picking days)
안영미(쏟아지는 HAPPY!)

||<tablewidth=100%><width=1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ff,#1f2023>"대박 맛있어!(めちゃうま!)"
일본어판
||

||<tablewidth=100%><width=10%><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ff,#1f2023>"최고의 맛!"
한국어판
||


1. 개요2. 작중 행적3. 노래
3.1. 마이송
3.1.1. Sweet time Cooking magic
3.2. 유닛송
3.2.1. 해피 레인♪
3.2.1.1. 쏟아지는 HAPPY!
3.2.2. 그 외
3.2.2.1. cherry-picking days
4. 기타5. 관련 문서

1. 개요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서브 주인공. 상징 문양은 하늘색 음표. 활발한 성격의 정열적인 소녀로 음악의 '맛'을 볼 수 있는 소녀. 학교에서 반장을 맡고 있으며 동아리 활동으로도 부장을 맡을 정도로 프리즘 쇼에 대한 경험이 많으며 케이크 만드는 것을 좋아한다. 그 특기를 오너에게 인정받아 프리즘스톤에서 스위트 담당을 맡고 있다.

2. 작중 행적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2.1.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

파일:external/data1.onnada.com/2077629166_cdc49431_2.png파일:RainbowLive46-64.png
프리즘 라이브 시 연주하는 악기는 드럼. 실제 드럼을 연주한 적은 거의 없지만 센베를 구울 때 막대도 뒤집는 재능과 관련된 듯. 모리조노 와카나와 초등학교에서 만난 사이였지만 원래는 와카나가 센터 역할을 해야 하는데 감기가 걸려서 대신했다가 오해받아서 싸웠으나 결과적으로는 화해했다. 선배인 카즈키를 좋아하는 것 같은데 이는 와카나도 마찬가지이다. 와카나와 카즈키가 엮이는 회수가 늘어나게 되면서 이 쪽도 커플링이 있을지 불안한 판국이다. 그리고 결국 불안이 터졌고 39화에서 와카나가 안한테 카즈키에게 고백하겠다고 선언했다! 하지만 안은 카즈키를 단순한 선배로 생각한다고 얼버무리며 폭탄을 안게 된 채로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공홈에 나와있는 40화의 내용을 보면 간신히 자신의 진정한 마음을 깨닫지만 와카나가 쇼가 끝나기 전이 아니라 시작하기 전에 고백한다고 선언해서 멘붕.[10]
그리고 이 삼각관계의 끝은 아무도 예상치 못한 형태로 일단락을 맺게 되는데……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누구하고도 이어지지 않는다. 카즈키가 어릴 때 뉴욕으로 유학갔던 사촌 누나가 결혼인사차 돌아와서 카즈키랑 치근덕대는 모습을 보고는 카즈키한테 여자친구가 이미 있다고 생각한 안이랑 와카나는 이걸 계기로 서로간의 우정을 더욱 돈독히 하여 4연속 점프에 성공하고 공연이 끝나고 돌아오는 길에야 진실을 알고 카즈키의 뒷담화를 까며 언젠가 돌아보게 해줄 거라며 끝난다.

분위기로 보아 이 커플링은 독자들의 상상에 맡겨질 듯 하다. 흥미진진하게 지켜보던 독자들 입장에선 허무하기 짝이 없는 결말이지만 그래도 나루처럼 펑펑 울게 되는 일은 없으니 그걸 위안으로 삼자.

그 이후로 46화에서 5연속 점프로 바로 오토하를 제치고 1위에 올라서며 이후 6연속, 7연속을 성공시킨 이토, 베루에게 그 자리를 내주며 프리즘 퀸 컵은 3위로 끝을 맺는다.

51화에서는 과자 만들기나 센베 굽는 것을 병행하기로 정하고 와카나와 함께 카즈키에게 고백한다. 하지만 카즈키가 와카나와 같은 에델로즈에 다니게 되었으니 조금 불리할지도. 하지만 KING OF PRISM by PrettyRhythm에서 카즈키의 프리즘 쇼에서 드러난 게 와카나가 아닌 안의 모습이 드러난 것을 보면[11] 어쩌면 최종승리자는... 허나 킹프리 이벤트에서 그때의 대답을 아직 기다리고 있다는 안과 와카나의 대사가 공개되며 여전히 고백의 행방은 불명인 상태로 보인다.

2.1.1. 프리즘 점프

<colcolor=#fff> 개인
- 팝 스플래쉬
2연속 스윙깅 하트 리듬
로컬명 - 스윙스윙 하트 리듬
3연속 팝픈 캔디 로켓
로컬명 - 팝 캔디 로켓
4연속 해피 마카롱 스핀
5연속 완전 맛있어 스위츠 고 라운드
로컬명 - 최고의 맛 마이 스위트 케이크
듀오 점프
- 팝&에스닉 스플래쉬
2연속 스윙깅 하트 리듬
로컬명 - 스윙스윙 하트 리듬
3연속 깨어나는 플라워 왈츠
로컬명 - 피어나라 플라워 왈츠
4연속 매지컬 스페이스 플래닛
팀 점프
단독 점프 꿈을 씻어내라 미래로 해피 레인
로컬명 - 꿈을 향해서 미래로 해피 레인

2.2. KING OF PRISM by PrettyRhythm

니시나 카즈키의 프리즘 점프에서 빗길에서 카즈키가 모는 자전거 뒤에 타고 있는 모습으로 등장.

잡지의 기사에 와카나와 같이 언급이 나오는데, 둘이서 듀오로 활약하는 일이 많은 듯하다. 이 때 머리 모양이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 때는 사이드 포니테일이었던 것과 달리 선녀머리를 연상케하는 트윈테일로 바뀌었다. 자신과 와카나가 주인공인 듯한 애니메이션이 미국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한다.

2.3. KING OF PRISM PRIDE the HERO

여전히 와카나와 함께 니시나 카즈키를 추적하고 있다. 알렉산더 때문에 폭포에서 속옷 차림으로 훈련하는 카즈키를 지켜보다 카즈키가 각성해서 용을 승천시켜서 새로운 검을 뽑는 모습을 보고 와카나와 함께 기뻐한다. 사실상 와카나와 세트가 되었는데 둘이 입은 스웨터가 색깔만 다르지 아예 똑같이 생겼다. 프리즘 킹 컵에선 다른 꿈라프 주역들과 함께 구경하는데 카즈키의 쇼에선 와카나와 함께 응원봉을 한 손에 3개씩 양손에 들고 있다. 스탭롤에선 다시 도망가는 카즈키를 추적하는듯하며, 다른 해피 레인 맴버들과 화장품 광고를 찍는다. 그런데 나루, 이토가 키가 클 때 혼자만 제자리인건지[12] 팀 내 최단신이 되었다.

2.4. KING OF PRISM Shiny Seven Stars

유년시절 카즈키와 프리즘 쇼를 하며 노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엿보던 와카나가 도망치는 모습을 보면 아마 와카나의 동아리 가입 전인 듯. 이후 연습하는 카즈키와 타이가의 동선이 본편의 안과 와카나의 동선과 비슷하다.

타이가가 카즈키에게 감사인사를 전하려는 순간 모리조노 와카나과 함께 나타나서 이번에야말로 대답을 듣겠다는 말을 하는 것으로 보아 아마 아직도 대답을 못 들은 듯.[13]

3. 노래

3.1. 마이송

3.1.1. Sweet time Cooking magic

<colbgcolor=#000> OST
Sweet time Cooking magic 〜胸ペコなんです私って〜
Sweet time Cooking magic
일본어판
한국어판
가수 후쿠하라 안
작사 미에노 히토미(三重野瞳)
작곡 야마하라 카즈히로(山原一浩)
편곡
선곡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 제7화, 제12화, 제14화, 제22화, 제46화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일본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いただきます!
心と心を合わせ ほら
夢!音の!フルコース 味見したい

みんなとのおしゃべりはまるで イチゴの4分音符
悩みはねチャンス ピリ辛な刺激 8分音符

ちゃんとしてなきゃ怒られるけど
美味しい音がこんなに溢れてる

いただきます!
こねてこねたら涙もね笑顔へと変わる
Sweet time Cooking magic
夢の生地に勇気少々と友情をパラパラリ
ごっくん 負けない味!

いい子にねしてる でもなんか 胸が16分音符

あのね
最初のラッキー幸せ
あの日貴方が教えてくれたんだ

いただきます!
全部残さずっ 成功も失敗もあるよ
Sweet time Cooking magic
鼻つまんで…なんてダメダメよ
しょっぱくて苦くても パックン 隠し味ね

いただきます!
心と心を合わせたら 準備OK 夢!音!フルコース

いただきます!
次の私はどんな味?
待ちきれない 我慢できないから…
つまみぐいだ! 満腹ハートね
ごちそうさまもう十分!
うそ…やっぱおかわり!!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한국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잘 먹겠습니다!
우리 모두의 마음을
하나로 모아 꿈과 음표의 풀코스
함께 만들어요

친구들과 모두 모여서
맛보는 딸기 크림 4분 음표
근심 걱정도 찬스! 매콤 달콤한
자극이 마치 8분 음표

제멋대로 굴면야 혼날 때도 있지만
맛있는 음표들이 온 세상에 넘쳐나는 걸

잘 먹겠습니다!
코끝에 맴도는 향
눈물까지도 웃는 얼굴로 바꾸는
Sweet time Cooking magic

희망의 수프에 용기 마음이 송송송
우정 한 스푼 살짝쿵 저어 꿀꺽!
최고의 레시피

착한 아이가 되도록 노력해봐도
가슴 한구석 16분 음표

언제나 허전했던 나의 맘 붙잡아준
행복 가득 레시피
그대가 준 큰 선물이죠

잘 먹겠습니다!
하나도 남김없이
성공할 때도 실패할 때도 언제나
Sweet time Cooking magic

찡그린 얼굴로, 편식 절대로 안 돼요
시큼시큼해 떨떠름해도 꿀꺽!
모험의 레시피

잘 먹겠습니다!
우리 모두의 마음을
하나로 모아 난 준비 OK!
꿈의 음표, 모두 풀코스

잘 먹겠습니다!
새로운 나의 모습
어떤 맛일까? 너무 궁금해
기다릴 수조차 없는 걸

딱 하나만 먼저 살짝 맛봐도 될까요?
딱 한입만 더, 딱 한입만 더 꿀꺽!
행복의 레시피
}}}}}}}}} ||

니시나 카즈키가 준 노래지만 작곡가는 미하마 코우지. 코우지가 에델로즈에서 작곡했는데 에델로즈를 나오면서 카즈키한테 주고 카즈키는 안한테 어울리겠다 생각하고 준 것. 이 때문에 이 노래를 마이송으로 하려던 모리조노 와카나와 시비가 있었지만 결국 안의 차지가 되었다.

여담으로 노래의 첫 소절[14] 때문에 동심파괴송으로 통하고 있다.

일본어판 부제목 '胸ペコなんです私って'는 '저, 가슴고파요'라는 뜻이다.

3.2. 유닛송

3.2.1. 해피 레인♪

3.2.1.1. 쏟아지는 HAPPY!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해피 레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해피 레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해피 레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 그 외

3.2.2.1. cherry-picking days
<colbgcolor=#000> OST
cherry-picking days
일본어판
한국어판
가수 후쿠하라 안&모리조노 와카나
작사 미에노 히토미(三重野瞳)
작곡 야마하라 카즈히로(山原一浩)
편곡
선곡 꿈의 라이브 프리즘스톤 제36화, 제40화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일본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全然フィーリングずれずれ
宇宙人といるみたい
完全遠慮しまくる
カチンコ石頭だし
でもねんだろう無視できない存在
願い熟した赤いさくらんぼ
隣合わせで
それは千夜一夜 もしかしたらのjuicy
君のheart
不思議果実
試したいcherry-picking Duo Duo
二人ライバル?友達?
おしくら果汁はじけ
真ん中似ている私達
いつかいつもcherry-picking days
比べて並べてみたら
なんとなくなんとなくね
大事な夢の形が
重なり合いそな感じ
わかんないわけじゃないないこともない関係
いいとこだけをつまみ食いしたい
なんか笑える!

出会い千夜一夜 余計な気持ちポロリ
丸かじりの
双子果実
楽しいなcherry-picking Duo Duo
素敵ぽいねポイね
捨てちゃいそうなとこに
一番の栄養あるんだよ
やっぱりたっぷりcherry-picking days
これは千夜一夜 惹かれ合う話juicy
赤いheart 不思議果実
確かめてcherry-picking Duo Duo
出会い千夜一夜 意地っ張だね二人
丸かじりの
双子果実
いいじゃないcherry-picking Duo Duo
涙つるりぷるり 一皮むけてjuicy
真ん中似ている私達
いつかいつもcherry-picking days
やっぱりたっぷりcherry-picking days
きっとね絶対cherry-picking days
cherry-picking days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한국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o 냐!
Woo 예이!

cherry-picking (cherry-picking)
cherry-picking days
cherry-picking (cherry-picking)
cherry-picking days

하나부터 열까지 모두 달라
우주인 같은 걸 의미 불명!
너란 아이 도저히 모르겠어
아무도 못 말리는 고집쟁이!

그치만 왠지 말이야
무시할 수 없는 너의 존재
나란히 대롱대롱
매달린 열매 같은 게
한 쌍의 체리 같아

수많은 만남 속 이별 속
다시 만난 우리들 juicy
아리송 너의 맘
비밀의 열매를
깨물어볼까?
cherry-picking Duo Duo

두 사람 라이벌? 친구냥?
전혀 다른 껍질을 까보니
속은 꼭 닮아있는 걸
너와 나 우리
언제나 언제나
cherry-picking days

cherry-picking (cherry-picking)
cherry-picking days
cherry-picking (cherry-picking)
cherry-picking days

나란하게 비교해봐 우리는
무언가 말야
어딘가가 말야
소중한 꿈 하나로 겹쳐질 듯
너무나도 닮은 것 같아 정말

알다가도 모르겠다냐
모르다가도 알 것도 같아!
그냥 내 기분 대로
골라 골라 먹고 싶어
재미있는 발상이네!

수많은 사람들 그중에
하필이면 너라니 못 말려!
한 입에 깨무니
꼭 닮은 맛이야
뭔가 즐거워
cherry-picking Duo Duo

버리고 싶었던 그 기억
먹고 싶지 않아도 거기에
제일 중요한 영양소 가득할 거야
잊지 마 우리 둘
cherry-picking days

cherry-picking (cherry-picking)
cherry-picking (cherry-picking)
cherry-picking (cherry-picking)

수많은 만남들 그중에
서롤 찾은 그 순간 juicy
아리송 너의 맘 빨간색 열매를
깨물어 볼까?
cherry-picking Duo Duo

수많은 다툼들 그 속에
서롤 향한 마음이 한순간
한 입에 깨무니
꼭 닮은 맛이야
싫진 않아!
cherry-picking Duo Duo

눈물이 주르륵 주르륵
한 겹 한 겹 벗겨서 juicy
속은 꼭 닮아있는 걸
너와 나 우리
언제나 언제나
cherry-picking days
역시나 우리 둘
cherry-picking days
절대로 잊지 마
cherry-picking days

cherry-picking (cherry-picking)
cherry-picking (cherry-picking)
cherry-picking (cherry-picking)
cherry-picking days
}}}}}}}}} ||

카즈키의 부탁을 받은 미하마 코우지가 작곡. 서로 같으면서도 다른 성질을 가진 두 사람을 '열매'라는 소재로 표현했다. 무대의상 디자이너는 모모로 닮은 듯 아닌 듯한 두 사람을 우주인스러운 디자인에 두 사람의 컬러(안-청색, 와카나-녹색)를 섞어서 표현했다.

4. 기타

  • 작중 서브 주인공이라는 점, 표면적인 성향으로 볼 때 이전작 프리티 리듬 오로라 드림아마미야 리즈무와 겹치는 면이 있다.[15] 그래도 코믹한 면모가 있는 리즈무와 달리 이쪽은 몹시 유능해서 학교에서도 상당히 의지받는 선배이다. 그리고 쾌활한 성격이지만 벨 로즈 멤버와 비슷한 성격으로 붙여놓으면 렌죠지 베루가 파트너일 정도로 진지하고 성실하기도 하다. 다만 안처럼 디저트에 조예가 깊은 오토하와는 의외로 상극.[16][17]
  • 캐릭터들 중 유일하게 머리색이 자신의 퍼스널 컬러가 아니다. 그 대신에 눈색이 벽안이다.[18]
  • 작중에서 밝혀지지 않았지만, 할머니의 이름이 '메리'이고 미국에 살고 있다는 정보를 생각하면 안의 이름은 영어 '앤(Ann)'에서 가져왔을 확률이 높다. 그렇다면 안은 4분의 1의 미국인의 피를 가진 쿼터일 것이지만 위에서도 언급했듯이 확실한 건 아니다.
  • 초기 이름은 '사쿠라가와 모모코'였으며, 안이라는 이름은 원래 스즈노 이토의 초기 이름이었다고 한다. 또한 현재의 나루의 설정은 대부분 후쿠하라 안의 초기 설정이었다고 한다. 헤어스타일도 노란 머리에 양갈래 머리였다.
  • 주역들중 유일하게 무소속이다. 와카나, 오토하, 베루, 이토는 에델로즈 소속이고 나루, 쥬네는 디어크라운소속이다.[19]

5. 관련 문서


[1] 해피 레인은 물론 벨 로즈 멤버들까지 포함해서 생일이 제일 빠르다. 다만, 일본의 빠른 생일은 4월 1일까지이기 때문에 만약 안이 하루만 일찍 태어났으면 나루 일행과 같은 학년이 아닌 한 학년 일찍 입학할 뻔했다.[2] 한국판 15세.[3] 주역 6인 중 유일하게 현실에 없는 생물을 좋아한다(...)[4] 한국판은 '모모괴물'이 되었다.[5] 마지막화에서 프리즘스톤을 졸업한다.[6] 가동 시작 때부터 등장.[7] 이후 한일 성우 모두 후속작 프리파라에서 미나미 미레이/미래 역을 맡게 된다.[8] 이후 후속작 반짝이는 프리☆채널에서 아카기 안나를, 와츄 프리매직! 스튜디오에서 히메메를 맡는다.[9] 전작 꿈의 보석 프리즘스톤에서 아라, 지은, 캐논을 맡았으며 본작에서는 신비도 맡았다.[10] 이 예고는 순 과장인 게 고백 선언은 와카나가 안이 카즈키를 좋아한다는 걸 눈치챘는데도 얘가 그걸 전혀 드러내지 않으려 하니까 계기를 마련해준 거다.[11] 얼굴이 드러난 건 아니지만 머리색깔이 빼도 박도 못하게 안과 같은 금발이다.[12] 특히 나루는 본편 시점에선 키가 가장 작았지만 킹프리 시점에선 베루, 이토 다음가는 수준으로 자랐고 원래도 컸던 베루나 이토도 키가 더 커졌다.[13] 이때 안과 와카나의 듀오송인 cherry-picking days가 재생된다. 아마 꿈라프 본편 팬들을 위한 팬서비스도 겸하는 듯.[14] 잘 먹겠습니다 우리 모두의 마음을 하나로 모아 꿈과 음표의 풀코스 함께 만들어요[15] 마침 후쿠하라 안의 페어토모인 팝픈 성우가 아마미야 리즈무 성우인 하라 사유리다. 한편 안과 팝픈의 한국판 성우인 박신희하루네 아이라와 동일성우다.[16] 오토하는 디저트와 음료의 조화를 생각해 케이크와 같이 내놓을 음료로 아삼 스트레이트를 추천하지만 안은 그냥 달달한 게 최고라 달달한 케이크엔 달달한 셰이크라고 하면서 셰이크를 퍼먹었다. 오토하 曰 "단 거에 단 거를 곁들이다니 조금도 메르헨하지 않아요!" 실제로 단 음식만 너무 먹으면 물리는데 차나 커피를 한 번씩 마셔주면 입가심이 되며 단 음식을 더 잘 찾게 되어서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쓴 차와 달콤한 디저트의 호궁합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17] 여담으로 서로 음악적인 조예가 깊은 베루와 이토도 상극으로 베루는 고전음악파, 이토는 현대음악파라 베루가 바흐의 노래를 들려주자마자 이토가 꿈나라로 승천했고 애초에 별로 닮은 구석이 없는 것 같은 나루와 와카나는 예상대로 나루가 일방적으로 와카나에게 농락당했다. 와카나 본인부터가 이 때는 듀오를 할 생각이 없어서 비협조적으로 나오기는 했지만.[18] 여담으로 눈색도 작붕 때문에 녹안이 된 적이 있다.[19] 린네는 프리즘월드 소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