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1 01:03:10

김도균(스포츠마케터)

김도균
대학교수 | Do Kyun Duke Kim
파일:김도균교수.jpg
<colbgcolor=#191E32> 출생 1966년 (음력) ([age(1966-01-22)]세)
전북특별자치도 부안군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소속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교수)
학력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스포츠 경영학 박사)
중앙대학교 국제경영대학원 (경영학과 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사회체육학과 석사)
경희대학교 (체육학과 학사)
중동고등학교
종교 기독교
가족 배우자 : 김지숙
아들 : 김진석(1994) / 김진혁(1996)
딸 : 김예진(1999) / 김수진(2000)
링크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스포츠마케팅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개인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
2.1. 최초의 스포츠 마케터2.2. 경희대학교 교수2.3. 각종 협회장 활동
3. 경력4. 수상5. 저서6. 기타7. 외부 링크
7.1. 언론보도7.2. 신문 기고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최초의 스포츠 마케터.
現 경희대학교 체육 대학원 교수

2. 생애

중동고등학교 졸업. 경희대학교에서 체육학 학사를 취득한 뒤 나이키 스포츠에서 시작했다.
8년동안 스포츠 마케팅팀에 근무하면서 대한민국에 스포츠 마케팅의 기초를 놓았다.
나이키 근무 중에 경희대학교 사회 체육 석사 학위를, 한국체육대학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나이키 퇴사후 World Cyber Games에 입사하여 e스포츠를 기반으로 한 사이버 올림픽 모델을 만들기 위하여 16개 국가를 초청하여 세계적인 게임 대회를 개최하였다.
이후에 2002 한일 월드컵2002 부산 아시안 게임을 관리하는 ISL에 마케팅 이사로 근무하며 부산 월드컵 경기와 부산 아시안 게임 마케팅 업무를 총괄하였다.
2002년 9월 경희대학교에 입사하여 스포츠 산업- 마케팅 – 경영을 강의해오고 있다.
교수로서 각종 국제 이벤트(2018 평창 동계 올림픽, 2019 광주 수영 선수권 대회, 2014 인천 아시안 게임, 2011 세계육상선수권 대회에 자문역할을 담당하여 성공적인 대회 개최를 위해 노력하였고, 스포츠 산업 협회장, 한국 체육 학회 회장, 스포츠 AI 빅데이터 학회장, 데상트 스포츠 재단 이사장등을 맡아 활동하고 있다.

2.1. 최초의 스포츠 마케터

  • 나이키 스포츠 코리아 이벤트 마케팅 팀장
    1991년 나이키 판촉팀에 입사하여 1993년 한국 최초로 스포츠 마케팅 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3 대 3 나이키 길거리 농구대회를 국내 최초로 개최하여 무려 3400팀이 참가하는 전국적인 농구 축제로 성장시켰다. 그후 아디다스, 리복을 비롯한 각종 브랜드와 지자체 등이 3대3 농구대회를 개최하면서 청소년 스포츠 문화에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였다.
    이 외에도 박찬호 선수가 메이저 리그에 진출할 때 야구 담당을 하였고, LG Twins 관리하였고, 전국 동호인 테니스 대회를 만들어 테니스의 부흥을 이끌었으며, 에어로빅 엘리트 투어, Fun Run(마라톤 대회), 프리미어컵 유소년 축구대회, 박찬호 야구 교실 각종 이벤트를 만들어 대한민국에 스포츠에 스포츠 마케팅이라는 역사적인 포문을 열었다.
  • World Cyber Games
    1999년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PC 패키지 게임 대회인 WCGC(world cyber games challenge)를 개최하여 세계적인 사이버 올림픽으로 가기 위한 기초를 마련하였다.
    그 후 2000년부터 정식 대회가 개최가 시작되었고 회사에 등기이사로 재직하는 동안 사이버 올림픽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하였다. WCG는 2014년 해체되었으나 2019년부터 다시 개최되며 6년 만에 부활한 바 있다. 최초의 e 스포츠 마케터이기도 하다.
  • Sports Marketing Korea
    2002년 한일 월드컵과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을 FIFA와 OCA(아시아올림픽평의회)를 대신하여 조직위를 관리하는 SMK에서 마케팅 이사로서 부산 아시안 게임 스폰서 십 업무와 운영을 총괄하였다. 국내외 스폰서 유치를 통해 성공적인 대회를 개최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2.2. 경희대학교 교수

2002년 9월 경희대학교 교수로 임용되어 학과장, 3급 생활 체육 지도자 연수원 원장, 대학원 부원장, 체육 대학 부학장, 체육부장 등 다양한 학교내의 보직을 수행 하였다.
특히 체육 부장으로 14개 운동부를 총괄하고 대회 참여 및 학생 선수들의 복지를 위하여 활동 하였다.
2007년에는 경희대학교 최우수 연구 교수상을 수상하였고, 스포츠 산업 관련하여 대외적인 활동과 연구를 통해 대한민국 스포츠 산업 정책 개발 위원으로 활동 하였다.
대한 체육회 스포츠 외교 과정을 유치하여 스포츠 외교 인력을 양성하였고(2009), 문화 체육 관광부에서 스포츠 커뮤니케이션 과정을 유치하여 전문 인력을 육성하였다.
학회 활동으로는 한국 스포츠 산업 경영학회 부회장, 스포츠 미디어 학회 부회장, 한국 이벤트 컨벤션 학회 회장, 27대 한국 체육 학회 회장, 스포츠 AI 빅데이터 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또한 기업 및 지자체등과 연계하여 각종 스포츠 산업 및 마케팅 관련 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새로운 학문에 대한 열정과 관심을 가지고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2023년 문화 체육 관광부로부터 스포츠 융복합 대학원인 스포츠 DNA(data, network, AI) 플러스 학과를 유치하여 5년 사업으로 스포츠 융복합 인재를 육성 하고 있다.
그리고 2023년에는 경희대학교 교수 의회 전체 의장과 대학 평의회 의장에 선출되어 대학 행정 업무 및 교수, 직원, 학생들의 권익과 화합을 위한 학교 발전에 노력하고 있다.

2.3. 각종 협회장 활동

  • 사) 스포츠 산업 협회장
    2005년 스포츠 산업 진흥 협회 발기인으로 참여하여 250여개에 이르는 협회 회원사를 관리하고 국가 스포츠 산업 정책 자문을 비롯하여 스포츠 산업 진흥 포럼, 스포츠 산업 잡 페어 등을 개최하여 스포츠 산업 발전을 위한 1세대 역할을 하였다.
    회원사간의 교류 활동을 통한 스포츠 산업 전문 인력의 역량을 고양 시키고, 한국 스포츠 경제 신문사와 스포노믹스 포럼과 시상식을 만들어 스포츠 경제를 통한 지역 산업 발전과 활성화에 각종 아이디어 및 정책을 제안 하였다.
    나아가 국내 스포츠 산업이 경쟁력있는 산업으로 도약하는데 이바지 하였다.
    ▶ 관련보도 : http://kasipo.com/default/
  • 사) 한국 3X3 농구 연맹 회장
    2020년 도쿄 하계 올림픽에 3X3 농구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이 되면서 대한민국에 다시 3대3 길거리 농구가 관심을 받게 되었고, 3대3 길거리 농구대회의 창시를 했다는 명분으로 23년만에 3X3 농구 협회 회장을 맡아 초창기를 이끌었다.
    6개 팀이 운영되는 대한민국 3X3 프로 리그를 만들어 전국적인 투어 대회를 개최하고 세계 대회를 유치하는 등 활발한 활동을 하였다.
    ▶ 관련보도 : http://www.korea3x3.com/3x3/korea3x3/tabs/vision
  • 사) 한국 체육 학회 회장
    27대 한국 체육 학회 회장에 선출되어 3500여명의 교수들을 대표하는 활동을 하였다. 한국 체육학회 산하 16개 학회와 더불어 국민 체육 진흥 주간 세미나, 국제 학술 대회, 전국 체전 학술 대회를 비롯하여 정부 단체, 지자체 들과 더불어 각종 포럼 및 세미나를 개최 하였다.
    또한 학술지의 질적 관리, 학문 후속 세대 연구 환경 조성, 관련 학회와의 상생 도모, 공공 및 민간 단체와의 MOU 체결을 통한 재정 확보와 한국 체육 발전을 위한 노력을 다하였다.
    ▶ 관련보도 : http://www.kahperd.or.kr/html/sub06.asp
  • 대한 장애인 체육회 패럴림픽 및 아시아 경기 대회 선수단 지원 부단장'''
    2021년부터 대한 장애인 체육회 이사와 마케팅 위원장 역할을 수행 하면서 2020년 도쿄 하계 패럴림픽. 2022년 베이징 동계 패럴림픽, 2022, 항저우 장애인 아시아 경기 대회에 선수단 지원 부단장으로 활동하였다.
    대회 출전 선수단 지원 및 복지와 관련한 활동을 주로 하며 선수들을 살피고 스폰서십을 유치하여 선수 지원에 기여하였다.
    ▶ 관련보도 : https://www.koreanpc.kr/index.do
  • 스포츠 AI – 빅데이터 학회 회장
    스포츠 분야 최초로 AI 및 빅데이터 학회 초대 회장이 되어 스포츠 분야의 ICT 관련 기술과 학문을 선도 하고 있다. 300여명의 회원을 보유한 학회는 스포츠의 선진화를 위한 연구와 활동을 통해 스포츠 IT 문화를 주도 하고 있다.
  • 사) 데상트 스포츠 재단 이사장
    2013년 국내 최초의 스포츠 재단으로 설립된 데상트 스포츠 재단은 성장 가능성이 있는 스포츠 인재 육성 지원, 청소년 스포츠 활동을 통한 스포츠 대중화 지원, 사회 배려층을 위한 스포츠 나눔문화 지원을 통한 각종 스포츠 활성화 사업에 참여 하고 있다.
    처음 발기인으로 참여하였고 2024년 3월 재단의 이사장으로 선임이 되어 대한민국 스포츠 발전과 브랜드 발전을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
    ▶ 관련보도 : https://www.descentesports.or.kr/

3. 경력

  • 2024~ 스포츠 AI 빅데이터 학회 회장
  • 2024~ 데상트 스포츠 재단 이사장
  • 2023 경희대학교 교수의회 전체 의장
  • 2023 경희대학교 대학평의원회 의장
  • 2022 항저우 장애인 아시안 게임 지원 부단장
  • 2022 베이징 동계 패럴림픽 지원 부단장
  • 2021 ~ 대한 장애인 체육회 마케팅 위원장
  • 2021.1~2023.1 장애인 체육회 이사
  • 2021.4~2023.4 대한체육회 이사
  • 2020 도쿄 하계 패럴림픽 지원 부단장
  • 2020.12~2022.12 제27대 한국체육학회 회장
  • 2018~2019 광주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자원 봉사자 권익 부위원장
  • 2018.2~4 평창 동계 올림픽 권익 위원장
  • 2018.1~2020.12 한국스포츠산업협회 회장
  • 2019.1~2020.12 한국이벤트컨벤션학회 회장
  • 2017.7~2019.12 한국3대3농구연맹 회장
  • 2016.12~2017.12 한국스포츠산업협회 회장 직무대행
  • 2016.11~2019.12 대한피트니스전문가협회 회장
  • 2014.2~2018.2 경희대학교 체육대학 체육부장, 부학장
  • 2014.1~2015.12 세계생활체육연맹 TAFISA 마케팅 커미셔너
  • 2014.1~2015.12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사무총장, 부회장
  • 2014.1~2016 스포츠산업포럼 위원장
  • 2014.1~ 한국스포츠미디어학회 부회장
  • 2014.1~ 스포츠애널리스트협회 부회장
  • 2014.1~2019.12 경기도체육회 이사
  • 2013.5~2017.4 대한체육회 미래전략위원회 위원
  • 2013~2014 문화 체육 관광부 스포츠산업 잡페어 준비위원장
  • 2012.3.~ 2018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 자문위원
  • 2011~2016 국민생활체육회 자문위원
  • 2010.8~2018 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원회 자문위원
  • 2010.1~2011.2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 버클리캠퍼스 무도학과 교환교수
  • 2010~2017 문화 체육 관광부 스포츠산업 정책 자문위원
  • 2010~2014 2014 인천 아시아경기대회조직위원회 마케팅 자문위원
  • 2009~2013 국민체육진흥공단 자문위원
  • 2007~2013 삼성경제연구소 스포테인먼트 경영 진행 교수
  • 2006~2013 경희대학교 3급 생활체육지도자 연수원 원장
  • 2002~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교수
  • 2001~2002 스포츠 마케팅 코리아 마케팅 이사
  • 1999~2000 월드 사이버 게임즈 마케팅 팀장
  • 1998~2010 두잇나우 대표이사
  • 1991~1998 나이키 스포츠 코리아 스포츠 이벤트 마케팅 팀장

4. 수상

  • 2023 대한민국 공헌 대상. 체육 대상 수상
  • 2022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표창장
  • 2021 한국스포츠미디어학회 어워즈 올해의 스포츠 학술 대상
  • 2020 대한체육회장상
  • 2019 국무총리 표창
  • 2016 한국스포츠문화재단 스포츠 문화상
  • 2015 스승의날 대통령 근정포장
  • 2014 한국스포츠산업협회 공로상
  • 2010 경희대학교 2008 연구성과 우수 교원 공로상
  • 2009문화체육관광부장관 표창장

5. 저서

  • 스포츠 비즈니스 (2000.08.12. 오성출판사)
  • 전략적인 현대 스포츠 경영 (2001. 금광출판사)
  • 스포츠마케터 관리과정 교재 (2003.스포츠 과학 연구원)
  • FIFA 월드컵 마케팅 (2004.10.15. 오성출판사)
  • 스포츠 이벤트 기획 (2008.08.25. 대한미디어)
  • 스포츠마케팅 2011.02.11. 오래 출판사)
  • 스포츠마케터의 세상(쉬운 길, 험한 길, 멋진 길!) (2021.12.08. DH미디어)

6. 기타

  • Dream-Keter(드림케터) : 꿈을 가진 학생들을 마케팅 해주는 교육 리더
  • 국내 최초의 스포츠 마케터, 국내 최초의 e 스포츠 마케터
  • 석사 학위 논문 : Sports를 이용한 Marketing이 청소년 스포츠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박사 학위 논문 : 스포츠 기업 마케팅 믹스에 대한 청소년의 중요인식과 소비 행동
  • 9회 동하계 올림픽 직접 참관 및 프로젝트 수행(2002 솔트레이크, 2004 아테네, 2008 베이징, 2010, 벤쿠버, 2012 런던, 2016 리우, 2018 평창, 2020 도쿄, 2022 베이징 )
  • 5회 월드컵 직접 참관 및 프로젝트 수행(2002 한일 월드컵, 2006 독일 월드컵, 2014 브라질 월드컵, 2018 러시아 월드컵, 2022 카타르 월드컵)
  • 스포츠 산업 및 경영 마케팅 자문 =- 50 개 이상의 기업
  • 스포츠 코칭 – 선수 및 감독, 구단 마케터, CEO 등 – 90 개 이상
  • 스포츠 비즈니스 월간지 연재 : 50여편 이상의 스포츠 비즈니스 관련 연재를 통해 스포츠 산업의 트렌드 및 방향 제시
  • 삼성 경제 연구소 SERICEO 강의 관련 교수[1]
  • 휴넷 : 스포츠 위닝 리더십 / 스포츠 혁신 / 스포츠 난공 불락 리더십[2]
  • 네이버 - 스포츠 명가의 재미와 감동 프리미엄 콘텐츠 연재
  • 페이스북 콘텐츠 크리에이터 선정(2024년)

7. 외부 링크

7.1. 언론보도

  • 데상트스포츠재단 신임 이사장 선임…"스포츠 분야 사회공헌 확대·발전 위해 노력“
  • 1.9만 이끌 한국체육학회장, 김도균 교수는
  • 제27대 한국체육학회 회장 취임
  • 23년 전 그 때처럼…3대3농구는 그의 손에서 다시 쓰여진다
  • “스포츠산업 내 AI 도입 가속화, 스포츠산업 발전 도와”
  • "무예·스포츠계도 컨넥트 거버넌스 접목 고민 필요"
  • "올해 스포츠 마케팅 전쟁 미리보기"
  • "돔구장 보단 시민의 편리성 중요"
  • 모태펀드는 스포츠산업의 발전소
  • 김도균 경희대 교수의 '생활체육 활성화' 방안
  • 인사말하는 김도균 3X3농구연맹 초대회장
  • 'SAKA 주도로 세계생활체육 총회 개최 영광' (제25차 세계생활체육 서울총회)
  • 김도균 준비위원장, "스포츠의 산업적 이해와 국민적 관심 높일 것"
  • 올림픽 개막도 안 했는데 파산 위기…사람도 기업도 ‘손절’
  • 스포츠AI·빅데이터학회 자문단에 위촉…“교내 스마트 짐(GYM) 활성화에 기여”
  • 제27대 김도균 한국체육학회 회장, 한국체육 새로운 이정표 제시
  • 반드시 이기는 스포츠 경영 전략
  • "53조원 규모 스포츠 융복합 육성 가능"

7.2. 신문 기고

  • 월드컵 응원의 승리학
  • 축구의 신 ‘메시’아(Messi-ah)
  • 슈퍼 Sonny! 등번호 7번이 위대한 이유
  • 다시 대한민국 ! 다시 스포츠
  • 경기 시작 전! 대통령 당선자에게
  • 흥미징! 베이징~ 동계 올림픽 10가지 키워드
  • 패럴림픽, 대한민국이 주인 그 비밀
  • 장애인 차별 종식을 위한 #WeThe15 캠페인
  • 2021 스포츠 산업 트렌드 C_O_R_O_N_A!
  • 2020 도쿄올림픽이 남긴 메달보다 중요한 성과
  • 2020 도쿄 올림픽의 4무(無)
  • 흔들리는 독도와 올림픽 참여! 체육인이 뭉쳐야 한다
  • 코로나가 변화시킨 新 스포츠 산업 트렌드
  • 스포츠 산업, post 코로나를 with 코로나로
  • 대한 체육회 100주년, 국민과 함께할 100년
  • 깡(GANG)다구가 필요해
  • 코로나 변화의 물결 속에서
  • 병사가 아닌 아사 직전에 빠진 스포츠 산업
  • 멈춘 스포츠! 사라진 스포츠 정책
  • 스포테인먼트로 속도를 내보자
  • 배려와 참여의 로테이션 전술
  • 디지털시대 스포츠 소비 트렌드
  • 내가 꿈꾸는 승리, INVICTUS 불굴의 정신
  • 82년생 김지영 그녀가 체육인이라면
  • 마(魔)의 벽을 뛰어넘는 도전
  • 메이저리그를 점령한 류현진의 부드러움!
  • 야구공 반발력 계수의 흥행학
  • 중국은 6차 스포츠 산업 강국
  • 2019년 스포츠 소비 산업 트렌드 - ① Contents-oriented
  • 런던 올림픽의 경제학




[1] 70여편의 스포테인먼트 영상 강의를 통해 기업 CEO들에게 많은 인사이트와 비전을 제시하여 왔다.[2] 35편의 영상 교육을 통하여 리더십과 스포츠 혁신 그리고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스포츠를 통한 코칭과 경쟁력을 지도 하여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