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기계장비설비ㆍ설치 분야 자격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 → | 건설기계설비산업기사 | → | 건설기계설비기사 | → | 건설기계기술사 | ||
건설기계정비기능사 | 건설기계정비산업기사 | 건설기계정비기사 | - | ||||||
건설기계정비기능장 | |||||||||
공조냉동기계기능사 |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 공조냉동기계기사 | → | 공조냉동기계기술사 | |||||
궤도장비정비기능사 | 궤도장비정비산업기사 | 궤도장비정비기사 | - | ||||||
설비보전기능사 | 설비보전산업기사 | 설비보전기사 | - | ||||||
- | - | - | 산업기계설비기술사 | ||||||
승강기기능사 | 승강기산업기사 | 승강기기사 | - | ||||||
전자부품장착기능사 | (2026년 폐지) | - | - | ||||||
- | 농업기계산업기사 | 농업기계기사 | - | ||||||
농기계정비기능사 | - | - | - | ||||||
자동화설비기능사 | 자동화설비산업기사 | - | - | ||||||
반도체설비보전기능사 | - | - | - | ||||||
타워크레인설치·해체기능사 | - | - | - |
{{{+2 {{{#FFFFFF 용접 관련 자격증}}}}}}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colbgcolor=#f5f5f5,#333> 국가기술자격 | 142. 토목 | 산업기사 | 잠수산업기사 | ||
기능장 | 잠수기능장 | |||||
162. 기계장비설비ㆍ설치 | 기능사 | 공조냉동기계기능사 | ||||
설비보전기능사 | ||||||
산업기사 | 공조냉동기계산업기사 | |||||
설비보전산업기사 | ||||||
기사 | 설비보전기사 | |||||
174. 용접 | 기능사 | 피복아크용접기능사 | ||||
이산화탄소가스아크용접기능사 | ||||||
가스텅스텐아크용접기능사 | ||||||
산업기사 | 용접산업기사 | |||||
기사 | 용접기사 | |||||
기능장 | 용접기능장 | |||||
기술사 | 용접기술사 |
설비보전산업기사 設備保全産業技士 Industrial Engineer Plant Maintenance | |
관련부처 | 산업통상자원부 |
시행기관 | 한국산업인력공단 |
1. 개요
산업이 기계화, 공업화될수록 기계에 의존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기계에 대한 보수 및 예방정비가 중요하게 되었다. 이에 산업현장의 생산부서, 검사부서 및 설비물의 조작부서 에서 설비기계를 정비할 숙련기능인력 양성이 요구되므로 자격을 제정.[1]2025년 기준 1, 2, 3회차가 실시된다.
과정평가형 기술자격시험제도를 통해서도 취득할 수 있다.
2025년에 기계정비산업기사에서 설비보전산업기사로 명칭이 바뀌었다.
2. 필기
설비보전산업기사는 총 4과목 공유압 및 자동제어, 설비진단 및 관리, 기계보전, 용접 및 안전관리로 각 과목 당 20분항 씩 총 80 문항이 출제된다.3. 실기
설비보전산업기사는 작업형으로만 시행되며 시험시간은 총 3시간으로 진행된다.3.1. 공기압 회로 작업
3.2. 유압 회로 작업
3.3. 가스절단 및 용접
==# 필기 (변경 전) #==
기계정비산업기사는 총 4과목 공유압 및 자동화시스템, 설비진단 및 관리, 공업계측 및 전기전자제어, 기계정비 일반으로 각 과목당 20문항씩 총 80문항이 출제되며 난이도는 기계, 메카트로닉스 관련 전공자에게는 대체로 쉬운편이다. 각 과목당 12문항 이상 맞춰야 합격점수인 60점이 나오고, 전체 득점이 60점 이상이여도 한 과목에서 8문항 미만으로 맞춰 38.75점이 나올경우 과락으로 인해 불합격 처리되니 유의하여야 한다.
2019년 기준 필기 응시자는 총 6,300명 / 필기 합격자 2,647명 / 필기 합격률은 42%였다.출처
==# 실기 (변경 전) #==
기계정비산업기사는 작업형으로만 시행되며 시험시간은 총 6시간으로 진행된다. 비번호(시험 보는 동안 사용하게 되는 자신의 번호)를 지정받은 후 번호별로 3개의 조를 나눠서 전기 및 설비진단, 공유압 회로구성, 기계요소 정비작업 이렇게 각각 로테이션 형식으로 진행하게 된다. 답안지에도 이름 대신 비번호를 적도록 되어있다. 시험시간이 6시간이지만 꽉 채워서 진행하는 경우는 드물며, 자신이 수행하는 작업이 일찍 끝날 경우 2~3명씩 모여서 다음 작업을 수행하러 이동하기 때문에 실제로 소요되는 시간은 5시간 이내라고 생각하면 편하다.
2019년 기준 실기 응시자는 총 2,955명 / 실기 합격자 2,152명/ 실기 합격률은 72.8%로 필기에 비해 합격률은 비교적 높은 편이다.출처
===# 전기장치 측정 #===
저항 색띠를 R1, R2, R3, R4 이렇게 4개를 분배해주고, 4개의 저항을 각각 멀티테스터기로 측정하여 답안지에 순서대로 그 값을 기재한다. 이때 저항 순서를 헷갈리지 않도록 주의할 것. 그 후 주어진 회로도에 따라 브레드보드에 가느다란 전선 및 색띠, 그리고 파워서플라이를 활용하여 회로를 구성, 멀티테스터기로 정해진 부분의 전압 V1과 V2를 측정 및 기재 후 감독관에게 검사를 받는다. 제한시간은 30분.
===# 설비진단 측정 #===
소음 측정과 진동 측정 2개의 작업이 진행되며 제한시간은 1시간 30분이다.
====# 소음 측정 #====
주어진 3개의 모터와 소음측정기를 이용해 각각의 소음을 측정, 가장 소음이 큰 모터 번호와 측정값, 그리고 나머지 2개의 모터에서 측정한 소음값과 합성값을 기재한다. 이때 합성값을 구할 때에는 공학용 계산기가 필요하니 꼭 지참할 것. 그리고 답을 기재할 때 단위(dB)를 빼먹으면 채점이 되지 않으니 주의를 요한다.
====# 진동 측정 #====
주파수 분석기와 가속도 센서장치를 이용해 설비의 고장진단 시스템을 구성하는 작업이다.
노트북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3개의 회전기계를 진단하여 각각의 스펙트럼을 설정하고, 회전체의 진동상태와 RPM, 주파수값, 진동값을 측정 후 노트북 옆에 있는 프린터에서 한장씩 총 3장을 인쇄한다. 인쇄된 종이에 그려진 파형을 보고 시험지에 답안을 기재한 다음, 시험지에 그 종이를 부착해서 제출하면 완료. 소음 측정과 마찬가지로 단위(RPM, Hz 등)를 빼먹지 않도록 주의할 것.
===# 공유압 회로구성 #===
설비보전기능사의 공유압 회로구성 작업과 동일하게 진행되지만 난이도는 조금 더 어려운 수준이다. 제한시간은 총 2시간으로 공압회로 구성과 유압회로 구성 각각 1시간씩 주어진다. 공압회로 구성은 먼저 주어진 회로도에 맞게 변위단계선도를 그리고 제출한 뒤 공압회로를 구성해 작동시켜 변위단계선도에 맞게 작동되면 감독관의 지시에 유압회로 구성으로 넘어가며 유압의 경우 실린더를 1개만 사용하기 때문에 변위단계선도를 작성하지 않고 바로 회로를 구성하면 된다. 해당 작업에서 유의할 점은 유압, 공압 회로도중 둘 중 하나라도 작동이 안되거나 변위단계선도에 맞지않게 작동될 경우 혹은 회로도에 맞지 않게 부품, 전기릴레이를 설치한 경우에는 감점이 아니라 가차없이 오작처리되어 오작확인서에 서명한 뒤 짐싸서 나가야 된다. 반드시 완벽하게 동작되는 것을 확인하고나서 감독관에게 검사를 받을 것.
===# 기계요소 정비작업 #===
총 3개의 작업과정이 진행되는데, 주어진 감속기를 분해하고 개스킷 제작, 답안 작성 및 스케치 작업, 그리고 감속기 조립 및 동작상태 검사가 그것이다.
주어진 감속기를 분해한 뒤 개스킷을 제작하여 감독관에게 확인을 받고 제작한 개스킷을 감속기에 부착해 재조립하여 동작상태를 확인받으면 합격이다. 개스킷 제작의 경우 주어지는 종이에 총 3개의 커버 모양을 본떠서 그림을 그리고 펀치로 구멍을 뚫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개스킷이 찢어질 수 있으니 주의.
그리고 스케치 작업의 경우 주어진 A3 시험지에 분해한 감속기 부품을 삼각법으로 스케치하고, 표제란 및 치수, 표면거칠기 등을 모두 기입하여 제출하면 끝이다. 스케치 작업에서는 실격 요소가 3가지 있는데, 외형선 및 중앙선을 하나라도 빼먹거나, 피치원 및 P.C.D.(피치원 지름) 치수가 누락된 경우 실격처리된다. 일반 치수나 표면거칠기 등이 누락되었다면 감점이다.
2024년 1회부터는 외형선 2개소 이상 작도 되지 않거나 중심선 및 피치원이 2개소 이상 작도되지 않은 작품을 실격으로 한다. 외형선 1개, 중심선 1개 정도는 봐준다는 의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