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Glutathione, 글루타치온, 글루타티온
아미노산 중합체의 일종으로 대표적인 항산화제 중 하나다.
2. 효능
글루타치온은 우리 몸의 세포 안에서 산화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특히 대사 과정 중 생기는 활성 산소(ROS) 같은 해로운 물질을 제거하거나 무해한 형태로 바꿔주는 데 도움을 준다.이 과정에서 글루타치온은 직접 활성산소와 결합하거나 특정 효소(글루타치온 과산화효소)의 보조 역할을 하면서 과산화수소나 지질 과산화물 같은 독성 물질을 분해한다. 덕분에 세포가 손상되지 않고 건강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글루타치온은 모든 세포에서 만들어지지만 '특히 간에서 많이 합성된다. 그래서 해독 작용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대표적인 예가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을 과다 복용했을 때인데 이 약의 독성 대사산물을 글루타치온이 중화시켜주는 덕분에 간 손상을 막을 수 있다. 실제로 병원에서는 이런 상황에서 글루타치온을 증가시키는 약물(NAC)을 투여해 치료하기도 한다.
한편, 글루타치온은 활성산소를 제거한 뒤 스스로 산화되기 때문에, 다시 원래 상태로 돌아가기 위해 NADPH라는 물질이 필요하다. 이 NADPH는 세포 안에서 자연스럽게 생성되는 에너지 대사 과정(인산오탄당 경로)에서 만들어진다.
이 밖에도 글루타치온은 면역 세포 기능을 조절하거나 세포 노화를 늦추고 만성염증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또 일부 연구에서는 피부 미백이나 간 기능 개선, 피로 회복 같은 부수적인 효과도 제시하고 있지만 아직은 충분한 근거가 축적되지 않아 공식적인 건강기능식품 효능으로 인정되지는 않았다.
3. 섭취 방법
글루타치온은 경구로는 흡수율이 매우 낮아 경구 섭취는 의미가 없으나 주사를 통한 방법으로는 흡수가 가능하다.일반적으로는 N-아세틸 시스테인(속칭 NAC)의 형태로 글루타치온의 재료인 시스테인을 섭취하여 합성에 사용되기를 기도하며, 글루타치온 그 자체를 투여하지는 않는다.
정상적인 식사를 하는 경우 글루타치온은 지극히 흔한 아미노산인 글루탐산, 시스테인, 글리신만으로 합성할 수 있기에 추가적인 투여는 불필요하고, 위의 섭취 방법 문단에서 서술한 바와 같이 투여한다고 하여 활용될 수도 없으며, 2022년 기준 어떠한 의약품도 활성산소로 인한 질환 예방이나 피부 미백 등의 용도가 입증된 바 없다.
3.1. 백옥 주사
주사제로는 멜라닌 색소를 감소시킨다는 등 피부 미백이나 쇼닥터를 이용해 유발한 대중의 활성산소 공포를 타게팅하고 있다.유명한 백옥 주사가 글루타치온인데, 이는 본래 항암제로 인한 신경성 질환의 예방을 효과로 허가받은 것으로, 항암제의 특성상 허용되는 최대 용량을 사용해야 하는 경향이 있기에 조금이라도 더 많은 용량을 투여하기 위해 지극히 낮은 활용률에도 불구하고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이 주사는 지속적으로 효능이나 효과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2018년 5월부터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의해 피부 미백 등 허가 사항 외 사용이 권장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고#, 보건복지부는 '백옥 주사'라는 명칭의 사용을 자제하고 과장광고를 금지하도록 했다.#
3.2. 흡수율 관련
위 섭취 방법 문단에서 알 수 있듯 글루타치온은 주사제로도 흡수율이 낮기 때문에 당연히 경구 흡수율은 이보다 더 낮다.그래서 흡수율이 낮은 영양제 표면에, 소장에 흡수를 도와주는 리포좀막을 씌워 흡수율을 높여 출시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경구로도 유의미한 흡수율이 나타난다는 연구자료가 발표되고 있다.#
4. 참고 문헌
- 박지훈, 권기량. 항산화물질의 임상 적용. Hanyang Medical Reviews: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2013; 33:130-136
- 루치온주 - 약학정보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