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교과는 학교교육의 중요한 핵심으로서, 교육의 목적을 위하여 조직화되고 체계화된 지식의 영역 혹은 분과를 의미한다.(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초등교과교육연구회, 2017: 16)2. 교과의 성격
교과는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인류의 문화유산 중 중요하다고 선정된 것
- 가르치고 배울 수 있도록 조직해 놓은 것
따라서 교과는 지식, 경험, 가치, 태도 등 의미 있는 내용을 축적해 놓은 것으로서, 가르치고 배우려는 목적에 적합하게 체계적으로 조직해 놓은 것이다.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초등교과교육연구회, 2017: 17)
3. 교과를 바라보는 관점
교과는 긍정적으로, 또는 부정적으로 간주된다. 교과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입장에서는 교과는 학교교육에 필수불가결한 것으로서, 교과는 곧 학문이다. 세계에 대해 체계적으로 축적된 앎의 방식을 알아 가게 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문화, 계속성, 기준이라는 이름으로 옹호된다.반면 교과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입장에서는, 교과는 학생들에게 아무런 의미가 없는 지식을 담고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이 입장에서는 교과가 경험 및 활동과 반대되는 의미의 지식으로 이해되며, 전통, 구식, 인위적, 부적절한 것으로 비판받는다. (소경희, 2017: 25)
4. 교육과정에서의 교과
자세한 내용은 교육과정 문서 참고하십시오.대한민국의 2022 개정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으로 구분되는데, 교육 목적상의 근접성, 학문 탐구 대상 또는 방법상의 인접성, 생활 양식에서의 연관성 등을 고려하여 교과(군)로 재분류한다.(교육부, 2022)
그러한 교과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교과교육 역시 국어교육, 수학교육, 영어교육, 역사교육, 지리교육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대한민국의 교과 | ||
※ 창의적 체험활동은 교육과정의 일부이나, 교과에 속하지 않는다. ※ 교과 분류 체계는 2022 개정 교육과정(고등학교)을 기준으로 한다. |
5. 참고문헌
- 교육부(2022).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고시 제2022-33호 [별책 1].
- 소경희(2017). 교육과정의 이해. 경기: 교육과학사.
- 한국교원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초등교과교육연구회(2017). 초등 교과교육의 이해. 경기: 양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