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lkeepall>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 | |||||||
| 플레이-인 (10/14) | 플레이-인 스테이지 | ||||||||
| 스위스 (10/15~10/25) | R1 | R2 | R3 | R4 | R5 | ||||
| 녹아웃 | 8강 (10/28~10/31) | ||||||||
| 4강 (11/1~11/2) | |||||||||
| 결승 (11/9) | |||||||||
| 결산 | |||||||||
1. 개요
2025년 LoL e스포츠 대회 진행 방식 대개편으로 인해 이번 월드 챔피언십 플레이-인 스테이지는 MSI에서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두 지역인 LCK와 LPL에서 4시드로 진출한 두 팀이 마지막 스위스 스테이지 진출권을 두고 단 한 경기만 진행된다.
2. 경기 전 전망
| <bgcolor=#e2012d,#e2012d> T1 | Invictus Gaming |
| | |
| | |
특히 패배팀은 여러 불명예 기록들을 몇 개나 갈아치우는데, 이번 월즈의 첫 탈락팀, LCK 또는 LPL 최초 플레이-인 스테이지 탈락팀, 시즌 3 이후 최초로 한 팀만 상대하고 탈락한 팀이라는 여러 불명예 기록이란 기록은 전부 떠안게 되기 때문에[4] 양 팀 모두 승리를 위해 총력을 다해야만 하는 단두대 매치라고 할 수 있다.
9월 21일, LCK 플레이오프 패자조 3라운드에서 T1이 젠지에게 패배해 4시드 및 플레이-인 스테이지 진출이 확정되었고 5일 뒤인 26일, LPL 4시드 결정전에서 IG가 징동을 상대로 승리하며 T1과 IG는 2019 MSI 이후 약 6년 5개월 만에 만나게 되었다. 2019 MSI 당시 '1557'이라는 T1 역사상 최악의 흑역사를 만들었던 팀이 바로 IG인데, T1이 이를 갚아줄 수 있을지가 관전 포인트다.[5] 또한 이 경기는 두 베테랑 미드 라이너 페이커와 루키의 첫 Bo5 맞대결이기도 하다.[6]
IG는 6년 만에 월즈에 복귀하자마자 첫 경기부터 2023-2024 월즈 리핏 챔피언이자 월즈 LPL 상대 다전제 전적 10전 전승의 LPL 저승사자 T1과 단두대 매치를 치르게 되었다. T1은 비록 플레이오프에서 4위로 탈락했지만 젠지를 상대로 풀세트 석패를 당한 것[7]이고, 그동안 LPL을 상대로 보여준 전적이 증명하듯 유독 월즈에서 강해지는 팀 컬러가 있기에 월즈에서 T1을 상대해본 적이 없는 IG에게 T1은 철저한 경계를 안 할 수가 없는 팀이다. IG 입장에서는 EWC에서 AL이 보여준 것처럼 최대한 LCK 팀들이 T1을 상대하며 파악해낸 답안지를 참고하는 것과 더불어 T1의 저점을 집요하게 파고드는 것이 승리의 관건이 될 것이다.[8]
월즈를 앞두고 진행되었던 ASI에서 LPL 출전팀인 JDG, WBG, NIP 중 유일하게 4강에 간 WBG가 DK를 한 번 잡은 것 외에는 LCK의 DK, BFX, NS에게 도륙당하고, LCP의 GAM, MVKE에게 지거나 질 뻔한 상황이 나와 1~3위가 모조리 LCK 독식이라는 결과가 나오면서는 LPL 스플릿3+선발전에서 이들과 월즈 진출을 두고 경쟁했던 IG보다는 T1이 압도적인 정배로 여겨진다. ASI에서 드러난 LCK와 LPL 간의 수준, 자세 차이를 생각하면 T1이 한 세트라도 내주는 게 이상할 수준.[9]
그래도 방심은 금물인 것이, 시즌 전부터 '타도 LCK'라 자신할 만한 역대급 슈퍼팀을 꾸려왔다는 소리를 듣는 IG 선수들의 이름값은 월즈 우승 경력 선수만 3명에 MSI 우승 경력 선수 2명까지 매우 화려하며, 이론상 고점은 세계 최고급으로 평가받는 선수들이 대거 포진[10]한데다가 T1이 유일하게 전적상 밀리는 LPL 팀이 바로 IG다.[11]
무엇보다 T1은 매 월즈마다 어느 정도의 예열이 필요했던 팀이었기에 마찬가지로 칼을 갈고 임해야 하는 경기이다. 실제로 T1은 그동안 진출한 월즈에서 2015, 2016, 2019 월즈를 제외하고 유독 첫 번째, 두 번째 경기에서 폼이 저조한 모습을 보이기도 하여[12] 체급이 낮은 팀을 상대로 승리했음에도 크게 고전하거나 패배하곤 했기에 지면 바로 탈락인 엘리미네이션 다전제를 첫 경기부터, 그것도 월즈서 LPL 상대 Bo5 무승인 도란과[13] LPL 공식 경기장 6곳 중 하나이자 JDG의 홈구장인 베이징 e스포츠 센터에서 치르는 것은 명백한 부담 요소이다. T1 입장에서도 작년과 달리 첫 경기 징크스를 떨쳐내지 못한다면 플레이-인에서 광탈하는 수모를 겪을 수도 있기에 대회 초반의 빠른 적응이 반드시 필요하다. 거기다 이 경기를 패배할 시 7년 만에 역대 LCK 팀 월즈 최저 성적 경신[14] 및 LCK 팀 최초 플레이-인 탈락, 12년 만에 팀 역사상 첫 월즈 LPL 상대 다전제 패배, 팀 월즈 최저 성적 경신 및 최소 4강 진출 기록 종료, 2021 시즌 이후 4년 만에 단일 년도 무관 기록 등 그야말로 최악의 기록들이 한꺼번에 경신되고 만다. 반대로 이 경기를 승리하면 IG에게 LPL 첫 플레이-인 탈락 및 월즈 최저 성적 경신을 안겨주게 된다.
어쨌든 어느 쪽이든 패배하면 추가 기회 없이 그대로 월즈에서의 여정을 마쳐야 하기 때문에, 이 경기의 관건은 어느 팀이 월즈 패치에 더 빠르게 적응하고 챔피언과 조합 숙련도를 끌어올리냐가 핵심이 될 전망이다. 두 팀 모두 보름 정도의 준비 기간이 남아있는 다전제인 만큼 어느 팀이 폼을 끌어올려 시즌 내 증명했던 본인들의 고점을 다시 보여줄지, 새로운 패치 버전에 맞는 메타 해석을 잘 해내면서도 당일 컨디션이 어떠냐가 가장 큰 관건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더군다나 피어리스 드래프트로 진행되는 첫 월즈의 개막전이라는 점도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그나마 T1은 MSI와 EWC에서 피어리스 드래프트로 진행된 국제전을 소화했지만, IG는 그러지 못한 점도 변수.
1세트 진영 선택권은 코인 토스로 결정되며, IG가 승리해 블루 진영을 선택했다. #
3. 경기 정보
| 플레이-인 스테이지 대진표 | |||||
| <keepall> 플레이-인 (10/14) | |||||
| | T1 LCK #4 | 3 | 1 | IG LPL #4 | |
| <keepall> 파란색: 스위스 스테이지 진출 | |||||
| | ||
| <rowcolor=#dbdbdb,#dbdbdb> 캐스터 | 해설 | |
| 전용준 | 이현우 | 임주완 |
| | ||
| <rowcolor=#dbdbdb,#dbdbdb> 아나운서 | 분석가 | |
| 윤수빈 | 고수진 | 신동진 |
4. 경기 내용
| (2025. 10. 14. 17:00 KST) | |||||||||||
| T1 | 3 | 1 | Invictus Gaming | ||||||||
| ○ | × | ○ | ○ | - | × | ○ | × | × | - | ||
| 스위스 스테이지 진출 | 결과 | 탈락 | |||||||||
| |
| 문현준 (Oner) |
| 플레이-인 스테이지 선발 라인업 | ||
| | <colbgcolor=black,black> | |
| T1 | Invictus Gaming | |
| <colbgcolor=black,black><colcolor=white,white> 최현준 (Doran) | | <colbgcolor=#808080,#808080><colcolor=white,white> 강승록 (TheShy) |
| 문현준 (Oner) | | 옌양웨이 (Wei) |
| 이상혁 (Faker) | | 송의진 (Rookie) |
| 이민형 (Gumayusi) | | 천웨이 (GALA) |
| 류민석 (Keria) | | 톈예 (Meiko) |
4.1. 1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현상금 제거), match=플레이-인 스테이지 1세트, year=2025, month=10, day=14
, bteam=IG, bresult=LOSS, rteam=T1, rresult=WIN, time=34:21
, bkill=9, bdeath=15, bassist=15, rkill=15, rdeath=9, rassist=39
, bgold=61.2, rgold=67.7)]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10밴픽
, blueteam=Invictus Gaming, redteam=T1
, d_blueban1=바드(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아지르, d_blueban3=자르반 4세, d_blueban4=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직스
, p_blueban1=bard, p_blueban2=azir, p_blueban3=jarvanIV, p_blueban4=caitlyn, p_blueban5=ziggs
, d_redban1=유나라, d_redban2=카이사, d_redban3=오리아나(리그오브 레전드), d_redban4=레넥톤, d_redban5=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yunara, p_redban2=kaisa, p_redban3=orianna, p_redban4=renekton, p_redban5=vi
, d_bluepic1=렉사이, d_bluepic2=키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3=라이즈(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코르키, d_bluepic5=니코(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reksai, p_bluepic2=qiyana, p_bluepic3=ryze, p_bluepic4=corki, p_bluepic5=neeko
, d_redpic1=암베사, d_redpic2=트런들, d_redpic3=탈리야, d_redpic4=시비르, d_redpic5=알리스타
, p_redpic1=ambessa, p_redpic2=trundle, p_redpic3=taliyah, p_redpic4=sivir, p_redpic5=alistar)]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지표
,bluename1=TheShy, bluename2=Wei, bluename3=Rookie, bluename4=GALA, bluename5=Meiko
, redname1=Doran, redname2=Oner, redname3=Faker, redname4=Gumayusi, redname5=Keria
, d_bluepic1=렉사이, d_bluepic2=키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3=라이즈(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코르키, d_bluepic5=니코(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reksai, p_bluepic2=qiyana, p_bluepic3=ryze, p_bluepic4=corki, p_bluepic5=neeko
, d_redpic1=암베사, d_redpic2=트런들, d_redpic3=탈리야, d_redpic4=시비르, d_redpic5=알리스타
, p_redpic1=ambessa, p_redpic2=trundle, p_redpic3=taliyah, p_redpic4=sivir, p_redpic5=alistar
, blueKDA1=2/6/1, blueKDA2=3/2/3, blueKDA3=3/2/4, blueKDA4=1/1/4, blueKDA5=0/4/3
, bluedealt1=23.7, bluedealt2=17.9, bluedealt3=21.8, bluedealt4=20.8, bluedealt5=16.2
, redKDA1=1/3/8, redKDA2=4/2/8, redKDA3=4/1/5, redKDA4=5/1/7, redKDA5=1/2/11
, reddealt1=23.1, reddealt2=11.3, reddealt3=21.2, reddealt4=27.5, reddealt5=5.6
, blueKDA1st=4, bluedealt1st=1, redKDA1st=4, reddealt1st=4)]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1
, bluedragon1=Chemtech, bluedragon2=Mountain
, bluedragon3=Infernal, bluedragon4=Infernal
, reddragon1=, reddragon2=
, reddragon3=, reddragon4=)]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무력행사
, team=블루
, bluefblood=실패, bluefturret=성공, blueobject=성공
, redfblood=성공, redfturret=실패, redobject=실패)]
| |
초반에 더샤이가 점멸을 사용하여 다이브를 성공시키지만 라인 스왑을 한 구마유시가 바로 잡아내고, 이후 유충이 나오기 직전 점멸이 없는 렉사이를 다시 한 번 잡아내고 T1이 갱킹에 턴을 사용했기 때문에 유충은 IG가 챙겨간다. 이어 T1이 첫 드래곤 앞에서 렉사이를 한 번 더 잡아내고, 탑에서 라인 이득을 매우 크게 보며 드래곤을 내주며 T1이 기분 좋은 시간을 보낸다.
전령 전에 페이커가 좋은 딜교환으로 라이즈를 몰아내고 트런들에게 타워를 때릴 각을 만들어줬지만, IG가 역으로 타워를 치던 트런들을 잘라내고 전령을 먹었고 탈리야를 잡고 탑 타워마저 밀어내며 본격적인 압박을 시작한다. 이후 니코와 드래곤이 교환되는 구도가 나오고, T1은 바텀에서 렉사이를 다이브해 잡아내고 IG는 미드 다이브로 시비르를 잡아내는 등 조합의 목표인 오브젝트를 모두 챙기며 게임을 주도하기 시작한다.
T1이 아타칸에 먼저 모이지만 뭔가 하진 못했고, IG가 라인 이득을 보며 T1이 한 번 정비하는 사이 아타칸을 치기 시작한다. 정비 후 복귀한 T1이 IG를 밀어내며 아타칸은 트런들이 먹었지만 키아나를 노린 T1의 연계가 실패해 키아나가 살아나가고, IG가 렉사이의 핑퐁과 라이즈의 프리딜로 니코만 내주고 암베사-트런들-알리스타를 잡아내는데 성공한다, 그리고 드래곤까지 먹으며 IG가 확실히 유리해진다. 이후 라이즈의 공간 왜곡을 활용한 서로의 설계 등이 있었지만 4번째 드래곤까지 큰 사건은 없었다. 4용이 나왔을 때 알리스타가 체력이 갈리며 시야를 확보하지 못했고, IG가 드래곤 영혼을 챙겨간다.[15] T1은 미드 타워를 밀어내며 그나마 게임을 따라간다.
그런데 웨이와 더샤이가 시비르를 노리러 갔는데, 문제는 더샤이가 순간이동을 탄 와드의 위치가 생각보다 애매하게 드러난 위치에 있었고 렉사이가 도착하기 전에 T1의 시야에 발각된다. 그럼에도 IG는 다이브를 강행하였으나 이미 시야로 포착한 T1은 렉사이가 뛰어들자마자 탈리야의 궁극기 커버를 필두로 커버를 왔고, 결국 키아나의 여왕의 진가는 구마유시가 반응하고 렉사이는 혼자 고립되어 타워 안에서 집중 포화를 당해 비명횡사했다.[16] 이후 페이커가 IG의 핵심 딜러인 코르키와 라이즈에게 지각변동을 적중시키는 슈퍼 플레이를 시전하며 둘을 잡아버린 T1이 바론을 사냥한다.
그렇게 T1은 역으로 바론 버프를 들고 IG를 압박하기 시작한다. 대치 중 도란이 니코를 잘라내지만 라이즈의 광역 딜이 잘 들어가 순간 더샤이가 진입해 암베사를 잘라냈으나, 들어간 렉사이가 죽고 IG가 추격하는 과정에서 코르키가 죽었으며 이후 쌍둥이에서 남은 IG 선수들이 저항하지만 에이스를 당하며 1세트를 내준다.
IG 입장에서는 잘 풀리던 게임을 의아한 판단으로 던져버리며 패배했다. 초중반까지 잘하다가 미드 1차 앞에서 시비르를 물려던 과한 행동이 독이 되었고, 렉사이가 끊겼지만 천천히 버티기를 했으면 유리하게 갈 수 있던 경기를 갑작스런 급발진이 나오면서 패배했기에 더욱 뼈아프게 되었다.
T1은 탑에서 오너의 이상한 판단으로 한 번[17], 아타칸 교전에서 암베사의 공개처형을 적중시키지 못한 것 한 번으로[18] 큰 실수를 두 번 저지르면서 게임이 매우 어려워졌으나, 이에 IG도 화답하듯 미드 1차 타워에서 시비르를 무리하게 물려다 스펠을 대량으로 소모하고 렉사이만 잘리는 판단 실수를 하며 T1에게 기회를 줬다. 그리고 이 상황에 월즈의 페이커 모드가 발동하며 지각변동을 적 미드와 원딜에게 정확하게 적중, T1이 한타를 대승하고 바론까지 먹으며 게임을 순식간에 역전하고 이후 바론 버프로 IG의 본진을 공성함으로써 바로 게임을 끝내버렸다.
LPL에서만 자주 기용되던 마이너 카드인 렉사이와 키아나를 쓰고 이길 수 있던 경기를 역전패해 T1의 챔피언 폭을 많이 견제하지 못한 것도 IG 입장에서는 찝찝한 뒷맛으로 남았다. 심지어 렉사이는 더샤이가 잘 쓰는 것으로 유명하고, 키아나는 LPL에서는 흥했으나 막상 IG는 이번 시즌에 한 번도 쓰지 않았다가 이번에 처음 꺼낸 픽이긴 하나 뒤집어 말하면 안 하던 픽을 기습적으로 꺼낸 조커 픽에 가까웠음에도 진 것이다.
4.2. 2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현상금 제거), match=플레이-인 스테이지 2세트, year=2025, month=10, day=14
, bteam=IG, bresult=WIN, rteam=T1, rresult=LOSS, time=37:39
, bkill=25, bdeath=14, bassist=70, rkill=14, rdeath=25, rassist=31
, bgold=76.1, rgold=62.8)]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피어리스 밴픽
, blueteam=Invictus Gaming, redteam=T1
, d_bluefearlessban1=렉사이, d_bluefearlessban2=키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fearlessban3=라이즈(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fearlessban4=코르키, d_bluefearlessban5=니코(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fearlessban1=reksai, p_bluefearlessban2=qiyana, p_bluefearlessban3=ryze, p_bluefearlessban4=corki, p_bluefearlessban5=neeko
, d_redfearlessban1=암베사, d_redfearlessban2=트런들, d_redfearlessban3=탈리야, d_redfearlessban4=시비르, d_redfearlessban5=알리스타
, p_redfearlessban1=ambessa, p_redfearlessban2=trundle, p_redfearlessban3=taliyah, p_redfearlessban4=sivir, p_redfearlessban5=alistar
, d_blueban1=바드(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아지르, d_blueban3=갈리오, d_blueban4=오로라(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5=자야(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bard, p_blueban2=azir, p_blueban3=galio, p_blueban4=aurora, p_blueban5=xayah
, d_redban1=유나라, d_redban2=카이사, d_redban3=뽀삐(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룰루(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브라움
, p_redban1=yunara, p_redban2=kaisa, p_redban3=poppy, p_redban4=lulu, p_redban5=braum
, d_bluepic1=사이온, d_bluepic2=오공(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3=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카르마(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sion, p_bluepic2=wukong, p_bluepic3=orianna, p_bluepic4=caitlyn, p_bluepic5=karma
, d_redpic1=크산테, d_redpic2=자르반 4세, d_redpic3=아칼리, d_redpic4=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ksante, p_redpic2=jarvanIV, p_redpic3=akali, p_redpic4=missFortune, p_redpic5=rakan)]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지표
,bluename1=TheShy, bluename2=Wei, bluename3=Rookie, bluename4=GALA, bluename5=Meiko
, redname1=Doran, redname2=Oner, redname3=Faker, redname4=Gumayusi, redname5=Keria
, d_bluepic1=사이온, d_bluepic2=오공(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3=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5=카르마(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sion, p_bluepic2=wukong, p_bluepic3=orianna, p_bluepic4=caitlyn, p_bluepic5=karma
, d_redpic1=크산테, d_redpic2=자르반 4세, d_redpic3=아칼리, d_redpic4=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ksante, p_redpic2=jarvanIV, p_redpic3=akali, p_redpic4=missFortune, p_redpic5=rakan
, blueKDA1=4/1/8, blueKDA2=5/2/14, blueKDA3=8/2/15, blueKDA4=7/4/12, blueKDA5=1/5/21
, bluedealt1=26.2, bluedealt2=30.1, bluedealt3=41.6, bluedealt4=37.1, bluedealt5=13.3
, redKDA1=4/6/6, redKDA2=1/6/9, redKDA3=7/3/3, redKDA4=2/4/4, redKDA5=0/6/9
, reddealt1=22.1, reddealt2=10.5, reddealt3=29.3, reddealt4=37.0, reddealt5=7.5
, blueKDA1st=1, bluedealt1st=3, redKDA1st=3, reddealt1st=4)]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1
, bluedragon1=Infernal, bluedragon2=Mountain
, bluedragon3=Mountain, bluedragon4=
, reddragon1=Hextech, reddragon2=Mountain
, reddragon3=, reddragon4=)]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무력행사
, team=블루
, bluefblood=성공, bluefturret=성공, blueobject=
, redfblood=실패, redfturret=실패, redobject=)]
| |
미니언이 도착하기도 전에 2025 월즈 첫 퍼즈가 걸렸다.
7분경, 첫 드래곤 앞에서 3:3 교전에서 T1이 오리아나를 노리지만 딜 부족으로 실패하며 도리어 라칸이 잡히고 용까지 내준다. 유충 앞 교전에서 IG가 자르반을 먼저 잡아내지만 스킬이 많이 빠진 상황이었고, 이어진 교전에서 T1이 미스 포츈만 내주고 사이온을 제외한 전부를 잡아낸다. 다만 이후 더샤이가 드리블에 성공하며 크산테를 잡아내고 IG가 역으로 유충 2개를 챙겨간다. 이후 자잘한 교전이 이어질 때마다 IG가 조금씩 야금야금 이득을 보며 3~4천 골드 가량 차이를 벌리며 서서히 T1이 불리해진다. 그러나 21분경 아타칸 근처에서 서로 눈치를 보던 중 페이커가 오리아나를 사실상 솔로킬내고, 아칼리의 집을 끊으러 나온 케이틀린을 케리아가 날카롭게 물어내며 잡아내고 한타를 대승, 아타칸까지 챙기며 게임을 수습한다.
25분경 네 번째 드래곤을 두고 벌어진 대치 상황에서 크산테의 뒷텔과 자르반의 이니시를 필두로 T1이 먼저 교전을 걸었고, 미스 포츈을 잡으려 빨려들어온 오공이 도리어 터져버리며 IG의 앞라인에 공백이 생기고 크산테와 자르반의 CC기 연계로 케이틀린을 터뜨리면서 T1이 1:4 교환으로 또 다시 대승, 골드 격차를 뒤집어낸다. 하지만 직후 28분경 T1이 탑 1차에서 미니언을 먹던 오리아나를 다이브로 잡아내려다 체력 1짜리 포탑에 신나게 얻어맞으며 실패하고, 이 과정에서 뒤쳐진 미스 포츈이 오공에게 제대로 물리면서 최악의 구도에서 싸움이 열리고 그대로 5:0 에이스를 당한 것은 물론 바론까지 내주며 다시 급격하게 불리해진다.
사이온이 없는 사이 30분경 바텀 2차를 미는 IG 본대를 T1은 아칼리의 뒷텔로 급습하지만, 페이커가 상대 바텀을 잡기는 했지만 아칼리-자르반-라칸이 죽어버리고 미스 포츈도 긴 추격전[19] 끝에 죽으며 데스 타이머가 꼬여 4용을 내준다. 결국 두 번째 바론 체크 과정에서 E-Q를 안일하게 사용한 오너가 죽고, 실낱같은 희망이었던 봉풀주 라칸의 바론 스틸도 실패하면서 게임이 완전히 넘어간다. 이후 바론 버프를 먹고 진격한 IG가 에이스를 내며 넥서스를 부숴버린다.
사실상 밴픽에서부터 터진 게임이었다. T1은 3라인 모두 주도권이 없는 것은 물론 4픽에서 굳이 케이틀린 대신 아칼리를 픽하면서 본인들의 장점 중 하나인 바텀 라인전을 제대로 해보지도 못했다.[20] 그나마 IG의 1페이즈 픽들이 아칼리로 잘라먹기 좋은 픽이었다면 모르겠으나 오리아나를 제외하면 그것도 아니었고, 사이온이 있는 상황에서 초반에 게임을 터뜨리지 못하면 딜이 나올 수가 없는 조합이었고 실제로 T1이 그나마 한타를 승리하며 리드를 잡을 때도 사이온은 못 잡는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게임이 돌이킬 수 없는 지점까지 가자 사이온은 말 그대로 태산이 되었다.
사실 오리아나-오공-사이온을 전부 내준 시점에서 IG의 조합의 밸류가 너무 높아져 버리는 바람에 T1이 타임어택을 해내지 못하면 질 확률이 너무 높은 게임이었다. 그인게임에서도 초반에 도리어 손해를 보며 게임이 암울해져가고 있던 상황이었으나, T1이 페이커를 필두로 한 엄청난 교전력을 보여주고 여기에 IG의 실수가 겹치며 불리하던 게임을 역전해내기 직전까지 갔다. 하지만 이렇게 어렵게 뒤집은 게임을 T1 본인들이 탑 1차에서 거하게 던지며 다시 뱉어내버렸고, IG도 바론을 먹은 후 한 차례 위기가 있긴 했으나 잘 흘려냈고 그 뒤로는 정신을 차린 듯 단단한 포지션을 보여주기 시작하면서 더 이상 T1이 IG의 조합을 뚫어낼 방도가 없어졌다. 얄궂게도 T1이 패배한 원인은 아이러니하게도 1세트에서 IG가 저질렀던 1차 타워 생존 상태의 다이브 한타라는 급발진 플레이였다.
4.3. 3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현상금 제거), match=플레이-인 스테이지 3세트, year=2025, month=10, day=14
, bteam=T1, bresult=WIN, rteam=IG, rresult=LOSS, time=35:26
, bkill=27, bdeath=11, bassist=66, rkill=11, rdeath=27, rassist=17
, bgold=68.8, rgold=60.4)]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피어리스 밴픽
, blueteam=T1, redteam=Invictus Gaming
, d_bluefearlessban1=암베사, d_bluefearlessban2=트런들, d_bluefearlessban3=탈리야, d_bluefearlessban4=시비르, d_bluefearlessban5=알리스타
, p_bluefearlessban1=ambessa, p_bluefearlessban2=trundle, p_bluefearlessban3=taliyah, p_bluefearlessban4=sivir, p_bluefearlessban5=alistar
, d_bluefearlessban6=크산테, d_bluefearlessban7=자르반 4세, d_bluefearlessban8=아칼리, d_bluefearlessban9=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fearlessban10=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fearlessban6=ksante, p_bluefearlessban7=jarvanIV, p_bluefearlessban8=akali, p_bluefearlessban9=missFortune, p_bluefearlessban10=rakan
, d_redfearlessban1=렉사이, d_redfearlessban2=키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d_redfearlessban3=라이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fearlessban4=코르키, d_redfearlessban5=니코(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fearlessban1=reksai, p_redfearlessban2=qiyana, p_redfearlessban3=ryze, p_redfearlessban4=corki, p_redfearlessban5=neeko
, d_redfearlessban6=사이온, d_redfearlessban7=오공(리그 오브 레전드), d_redfearlessban8=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d_redfearlessban9=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 d_redfearlessban10=카르마(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fearlessban6=sion, p_redfearlessban7=wukong, p_redfearlessban8=orianna, p_redfearlessban9=caitlyn, p_redfearlessban10=karma
, d_blueban1=카이사, d_blueban2=판테온(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3=브라움, d_blueban4=렐, d_blueban5=오로라(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ban1=kaisa, p_blueban2=pantheon, p_blueban3=braum, p_blueban4=rell, p_blueban5=aurora
, d_redban1=바드(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2=아지르, d_redban3=뽀삐(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오른, d_redban5=룰루(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bard, p_redban2=azir, p_redban3=poppy, p_redban4=ornn, p_redban5=lulu
, d_bluepic1=갈리오, d_bluepic2=신 짜오, d_bluepic3=애니(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유나라, d_bluepic5=레나타 글라스크
, p_bluepic1=galio, p_bluepic2=xinZhao, p_bluepic3=annie, p_bluepic4=yunara, p_bluepic5=renataGlasc
, d_redpic1=럼블, d_redpic2=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3=흐웨이, d_redpic4=스몰더, d_redpic5=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rumble, p_redpic2=vi, p_redpic3=hwei, p_redpic4=smolder, p_redpic5=leona)]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지표
, bluename1=Doran, bluename2=Oner, bluename3=Faker, bluename4=Gumayusi, bluename5=Keria
, redname1=TheShy, redname2=Wei, redname3=Rookie, redname4=GALA, redname5=Meiko
, d_bluepic1= 갈리오, d_bluepic2=신 짜오, d_bluepic3=애니(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4=유나라, d_bluepic5=레나타 글라스크
, p_bluepic1=galio, p_bluepic2=xinZhao, p_bluepic3=annie, p_bluepic4=yunara, p_bluepic5=renataGlasc
, d_redpic1=럼블, d_redpic2=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3=흐웨이, d_redpic4=스몰더, d_redpic5=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rumble, p_redpic2=vi, p_redpic3=hwei, p_redpic4=smolder, p_redpic5=leona
, blueKDA1=3/1/11, blueKDA2=10/1/11, blueKDA3=4/4/15, blueKDA4=10/3/8, blueKDA5=0/2/21
, bluedealt1=20.7, bluedealt2=24.6, bluedealt3=17.8, bluedealt4=30.3, bluedealt5=8.3
, redKDA1=2/8/1, redKDA2=1/7/7, redKDA3=5/3/4, redKDA4=3/2/1, redKDA5=0/7/4
, reddealt1=19.1, reddealt2=14.1, reddealt3=34.6, reddealt4=35.0, reddealt5=3.6
, blueKDA1st=2, bluedealt1st=4, redKDA1st=3, reddealt1st=4)]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1
, bluedragon1=Infernal, bluedragon2=Ocean
, bluedragon3=Hextech, bluedragon4=Hextech
, reddragon1=Hextech, reddragon2=Hextech
, reddragon3=, reddragon4=)]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무력행사
, team=블루
, bluefblood=성공, bluefturret=, blueobject=성공
, redfblood=실패, redfturret=, redobject=실패)]
| |
임주완: 상대가, 상대가 말도 안 되는 실수를... 하면 좋겠지만 그럴 만한 분위기도 아니고...
(웨이가 와드를 지우러 금고 부수기를 사용해 바론 둥지 안으로 진입하다 물려서 사망함)
임주완: 아니 웨이 이런 일탈을 저질러요? 아니 웨이? 와이! 왜?! 왜 이런 걸...?
이현우: 땡큐!
3세트를 끝장낸 웨이의 트롤링을 보며[21]
앞 세트 저격 밴 중 카이사, 아지르와 바드 저격 밴이 이어진다. T1이 유나라를 선픽한 가운데, IG는 선호하던 바이에 럼블을 픽한다. T1이 바이와 럼블에 강한 신 짜오와 갈리오를 픽하고, IG는 스몰더까지 픽한다. IG가 2페이즈에서 레오나까지 픽하자 T1은 레나타로 응수하고, IG는 5픽으로 흐웨이를 픽하며 멀리서 호응할 수 있게끔 팔이 긴 조합을 구성한다.(웨이가 와드를 지우러 금고 부수기를 사용해 바론 둥지 안으로 진입하다 물려서 사망함)
임주완: 아니 웨이 이런 일탈을 저질러요? 아니 웨이? 와이! 왜?! 왜 이런 걸...?
이현우: 땡큐!
3세트를 끝장낸 웨이의 트롤링을 보며[21]
밴픽 이후 게임이 시작하기 전에 테크니컬 이슈로 다시 퍼즈가 걸렸다.
T1이 다이브를 강행해 깔끔한 연계로 레오나가 옆에 있었음에도 럼블을 잡아낸다. 첫 드래곤 앞에서의 교전에서 IG가 애니를 먼저 물어 죽이는 데는 성공하지만, 레오나가 신 짜오에게 죽고 라인을 버리고 합류한 더샤이가 앞점멸까지 사용하며 교전을 더 걸어 레나타를 잡는다. 하지만 이후 긴급 구제를 받은 신 짜오가 살아남고 유나라가 럼블과 바이까지 죽이며 T1이 꽤나 유리하게 시작한다.
이후 미드가 서로 한 번씩 잡히는 헤프닝이 있었고, T1이 두 번째 드래곤 교전에서 드래곤을 먹고 루키가 절단의 번개로 유나라를 잡아내는 데는 성공했지만 IG는 바이와 레오나에 럼블까지 죽는다. 이에 신 짜오를 5/0/3에 8분대에 갈라진 하늘이 나올 정도로 과성장시킨 T1이었지만, 일단 IG도 스몰더를 탑에서 프리 파밍을 시키면서 흐웨이를 성장시켜 두었기에 불안 요소가 있었다. 실제로 IG가 계속해서 자잘한 이득을 보면서 골드 그래프를 역전시키면서 경기의 행방을 알 수 없게 되었다. 결국 3용을 앞두고 IG가 상대의 스킬을 잘 빼내고[22] 일어서며 드래곤 앞에서 대치하게 되는데, 이 한타에서 케리아가 적대적 인수를 깔면서 T1이 3용을 가져가고 이에 IG 선수들이 드래곤 둥지에 갇힌 T1의 챔피언 2명에 시선이 쏠린 사이 T1의 본대가 우측에 돌출된 럼블을 뚫으면서 한타를 대승하고 전령으로 미드 타워까지 밀며 게임을 어느 정도 굳힌다.[23]
아타칸을 앞두고 스몰더가 물리는 구도로 싸움이 열렸고, 레오나-스몰더-흐웨이가 죽어버리며 아타칸까지 T1이 챙겨간다. IG는 네 번째 드래곤 타이밍에 마공용 포탈 앞에서 신 짜오를 잡아냈고, 드래곤 시야를 먹으려 본대가 쏠린 사이에 미드에서 흐웨이가 물려 죽고 미드 2차와 억제기 포탑이 날아간다. 남아있던 바이와 스몰더가 버스트를 시도해 드래곤은 어떻게든 먹었지만 바이도 죽었다. 바론 옆에서 바이와 애니가 교환된 가운데 T1이 교전을 더 이어가는데, IG의 광역 딜에 체력이 갈리고 유나라와 레오나가 교환된다. 하지만 T1이 교전을 더 이으려다 다시 한 번 중요한 유나라와 망한 럼블이 교환되고, 유나라가 없는 사이 드래곤 스택을 또 내주며 흐웨이와 스몰더가 성장하며 게임이 조금씩 끌리기 시작한다.
그런데 32분 경에 갑자기 바론 둥지에서 웨이가 와드를 지우러 혼자 Q로 들어가다 잘리는 근거 없는 판단으로 자멸해 버렸고, 갈라가 포킹으로 T1의 체력을 깎아내면서 반항하였으나 바론 버프는 T1에게 넘어간다. 스몰더의 포킹으로 갈리오를 밀어낸 IG는 드래곤 버스트를 시도하지만 구마유시가 드래곤을 스틸하는데 성공하고
1세트에서 더샤이가 게임을 던졌다면 3세트는 웨이가 근거 없는 쓰로잉 하나로 게임을 망쳐버렸다. 게임 내내 오너의 신 짜오에게 강타 싸움, 한타 등 모든 것이 밀리며 침묵 중이었는데, 결국 참지 못한 나머지 바론을 앞둔 상황에서 치명적인 실책으로 팀을 폭파시켰다.[24] IG는 흐웨이와 스몰더를 어떻게든 키워서 힘을 비축하고 있었고, 실제로 웨이의 쓰로잉 전까지는 사거리가 짧은 T1의 조합이 점차 IG와의 사거리 싸움에서 밀리며 뒤로 밀려나고 있었다. 하지만 웨이의 쓰로잉으로 바론 버프를 얻은 T1은 다시 스노우볼을 굴리기 시작했고, 게임은 그대로 끝나버렸다. 웨이의 쓰로잉이 너무 치명적이어서 그렇지, 더샤이 또한 이번 세트에서도 첫 교전에서 라인을 버리고 교전에서도 앞점멸로 손해를 보고 이후로도 대차게 죽어나가며 IG의 초반을 어렵게 만드는 데에 일조했다.
T1은 좋은 교전력으로 초반에 크게 앞서나갔으나 IG가 한타 패배 후 상대가 미드 억제기 포탑을 밀러 간 틈에 빠르게 드래곤을 먹는 판단으로 T1의 4용을 늦췄고, 그 덕에 스몰더가 225스택을 쌓을 시간이 마련되어 IG의 조합의 플랜이 완성됐고 이 때문에 게임이 상당히 팽팽해졌다. 그러나 이런 말이 무색하게 IG가 바론과 4용에서 각각 최악의 판단을 내리며 자멸했고[25], T1은 이를 그대로 받아먹으며 IG의 넥서스를 접수했다.
IG는 더샤이와 웨이도 문제였지만 팀적으로도 게임의 방향성을 못 잡는 느낌을 보여줬다. 본인들의 조합은 흐웨이와 스몰더를 통한 압도적인 사거리와 밸류로 상대를 압도하는 조합이기에 극후반을 지향하는 것이 맞았으나, 인게임에선 그러한 방향성과 다른 플레이를 펼쳐 이길 수 있던 게임을 던져버렸다. 경기 중 임주완 해설이 말했듯이 이렇게 극단적인 후반 조합은 3용까지도 그냥 주는 경우도 있는 것처럼 굳이 3용에서 한타를 할 필요가 없었다. 굳이 3용을 볼 거라면 강타를 통한 스틸만 노리고 한타는 최대한 지양해야 했으나, 드래곤을 먹지도 못했고 심지어 이어진 한타에서도 더샤이와 메이코가 둥지 안에 존재하여 무방비인 T1의 본대를 노린 것이 아니라 바이와 스몰더로 갈리오를 보는 판단을 하여 T1에게 한타 대승을 안겨주었다.
그리고 마지막 드래곤 한타에서도 결국 후반까지 이어진 경기에서 흐웨이의 포킹에 대처할 수단이 없는 T1은 드래곤을 먼저 치자니 포킹에 노출이 되고, 그렇다고 드래곤을 주자니 게임이 점점 후반으로 이어져 더 이길 수가 없는 지옥의 이지선다의 상황에 있었다. 심지어 갈리오는 흐웨이의 포킹에 의해 체력이 갈려 순간이동까지 빠진 상황이었는데, IG는 버스트를 통해 드래곤만 먹고 빠지려고 했는지 먼저 드래곤을 치는 최악의 판단을 하였고 레나타의 적대적 인수로 인해 본대와 앞라인이 완벽하게 분리된 IG는 그대로 박살이 나버렸다.
여담으로 T1은 이 경기를 이기면서 통산 첫 유나라 승리를 취했다.[26]
4.4. 4세트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결과(현상금 제거), match=플레이-인 스테이지 4세트, year=2025, month=10, day=14
, bteam=IG, bresult=LOSS, rteam=T1, rresult=WIN, time=27:02
, bkill=13, bdeath=29, bassist=27, rkill=29, rdeath=13, rassist=74
, bgold=47.6, rgold=56.1)]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피어리스 밴픽
, blueteam=Invictus Gaming, redteam=T1
, d_bluefearlessban1=렉사이, d_bluefearlessban2=키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fearlessban3=라이즈(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fearlessban4=코르키, d_bluefearlessban5=니코(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fearlessban1=reksai, p_bluefearlessban2=qiyana, p_bluefearlessban3=ryze, p_bluefearlessban4=corki, p_bluefearlessban5=neeko
, d_bluefearlessban6=사이온, d_bluefearlessban7=오공(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fearlessban8=오리아나(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fearlessban9=케이틀린(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fearlessban10=카르마(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fearlessban6=sion, p_bluefearlessban7=wukong, p_bluefearlessban8=orianna, p_bluefearlessban9=caitlyn, p_bluefearlessban10=karma
, d_bluefearlessban11=럼블, d_bluefearlessban12=바이(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fearlessban13=흐웨이, d_bluefearlessban14=스몰더, d_bluefearlessban15=레오나(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fearlessban11=rumble, p_bluefearlessban12=vi, p_bluefearlessban13=hwei, p_bluefearlessban14=smolder, p_bluefearlessban15=leona
, d_redfearlessban1=암베사, d_redfearlessban2=트런들, d_redfearlessban3=탈리야, d_redfearlessban4=시비르, d_redfearlessban5=알리스타
, p_redfearlessban1=ambessa, p_redfearlessban2=trundle, p_redfearlessban3=taliyah, p_redfearlessban4=sivir, p_redfearlessban5=alistar
, d_redfearlessban6=크산테, d_redfearlessban7=자르반 4세, d_redfearlessban8=아칼리, d_redfearlessban9=미스 포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fearlessban10=라칸(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fearlessban6=ksante, p_redfearlessban7=jarvanIV, p_redfearlessban8=akali, p_redfearlessban9=missFortune, p_redfearlessban10=rakan
, d_redfearlessban11=갈리오, d_redfearlessban12=신 짜오, d_redfearlessban13=애니(리그 오브 레전드), d_redfearlessban14=유나라, d_redfearlessban15=레나타 글라스크
, p_redfearlessban11=galio, p_redfearlessban12=xinZhao, p_redfearlessban13=annie, p_redfearlessban14=yunara, p_redfearlessban15=renataGlasc
, d_blueban1=바드(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ban2=리 신, d_blueban3=브라움, d_blueban4=렐, d_blueban5=세라핀
, p_blueban1=bard, p_blueban2=leeSin, p_blueban3=braum, p_blueban4=rell, p_blueban5=seraphine
, d_redban1=카이사, d_redban2=아지르, d_redban3=오로라(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4=요릭(리그 오브 레전드), d_redban5=그웬(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ban1=kaisa, p_redban2=azir, p_redban3=aurora, p_redban4=yorick, p_redban5=gwen
, d_bluepic1=바루스, d_bluepic2=판테온(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3=사일러스, d_bluepic4=직스, d_bluepic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varus, p_bluepic2=pantheon, p_bluepic3=sylas, p_bluepic4=ziggs, p_bluepic5=nautilus
, d_redpic1=오른, d_redpic2=녹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3=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룰루(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ornn, p_redpic2=nocturne, p_redpic3=leblanc, p_redpic4=ashe, p_redpic5=lulu)]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지표
, bluename1=TheShy, bluename2=Wei, bluename3=Rookie, bluename4=GALA, bluename5=Meiko
, redname1=Doran, redname2=Oner, redname3=Faker, redname4=Gumayusi, redname5=Keria
, d_bluepic1=바루스, d_bluepic2=판테온(리그 오브 레전드), d_bluepic3=사일러스, d_bluepic4=직스, d_bluepic5=노틸러스(리그 오브 레전드)
, p_bluepic1=varus, p_bluepic2=pantheon, p_bluepic3=sylas, p_bluepic4=ziggs, p_bluepic5=nautilus
, d_redpic1=오른, d_redpic2=녹턴(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3=르블랑(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4=애쉬(리그 오브 레전드), d_redpic5=룰루(리그 오브 레전드)
, p_redpic1=ornn, p_redpic2=nocturne, p_redpic3=leblanc, p_redpic4=ashe, p_redpic5=lulu
, blueKDA1=2/6/3, blueKDA2=6/7/2, blueKDA3=2/4/7, blueKDA4=2/5/5, blueKDA5=1/7/10
, bluedealt1=19.4, bluedealt2=15.7, bluedealt3=12.3, bluedealt4=21.8, bluedealt5=7.4
, redKDA1=2/3/19, redKDA2=6/3/16, redKDA3=8/2/9, redKDA4=10/2/12, redKDA5=3/3/18
, reddealt1=14.9, reddealt2=16.6, reddealt3=20.3, reddealt4=28.8, reddealt5=10.0
, blueKDA1st=3, bluedealt1st=4, redKDA1st=4, reddealt1st=4)]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경기 드래곤1
, bluedragon1=, bluedragon2=
, bluedragon3=, bluedragon4=
, reddragon1=Hextech, reddragon2=Cloud
, reddragon3=Mountain, reddragon4=)]
[include(틀:리그 오브 레전드/무력행사
, team=블루
, bluefblood=성공, bluefturret=성공, blueobject=
, redfblood=실패, redfturret=실패, redobject=)]
애쉬가 탑에서 시작한 가운데 서포터들이 스왑 때문에 미드에서 라인전을 이어간다. 그렇게 미드에서 서포터와 미드가 라인전을 하다가 페이커가 딜교를 강하게 걸 때 메이코가 회복으로 사일러스를 살려준 이후, 르블랑을 끝까지 쫓아가면서 평타로 듀오킬을 따낸다. 이후 딜교를 시도하던 루키의 사일러스를 T1이 궁극기를 여러 개 투자해 잡아내고 유충 1개를 먹고 빠진다. IG가 탑 다이브를 시도해 오른이 죽지만 오너가 피해망상으로 노틸러스를 잡아내면서 수습한다. 이후 IG는 유충 2개와 직스의 힘으로 타워까지 가져가고, T1은 반대편에서 첫 번째 드래곤을 챙기고 추격을 뿌리치고 살아나간다.
이후 IG가 노틸러스-판테온의 힘으로 T1 바텀을 물고 이를 궁극기로 커버하려던 오너의 녹턴을 잡아낸다. 그리고 그동안 더샤이가 오른을 솔로킬내고, 페이커가 탑 타워를 밀어냈지만 녹턴의 피해망상을 IG가 수비적으로 흘리며 바루스가 오른을 편하게 압박하는 구도가 이어지며 IG가 밴픽의 이유를 보여준다.
하지만 아래 강가에서 노틸러스가 룰루를 물어 잡아내긴 했는데 컨디션이 매우 좋던 루키가 무리한 포탑 다이브를 강행하여 애쉬와 사일러스가 교환되고[28], 아래쪽에서는 T1이 풀컨디션의 르블랑과 오른의 합류로 바루스를 빠르게 녹인 뒤 IG의 남은 인원[29]까지 쓸어담아 에이스를 띄우며 게임이 이상해진다. 직후 웨이가 거대 유성으로 룰루를 잡아냈고, 오너와 도란이 다소 억지로 바루스를 잡아내는 과정에서 시간이 오래 끌려 IG가 합류하면서 녹턴을 물 작정으로 달려들었으나, 직후 애쉬 궁맞고 기절한 직스를 녹턴이 달려들어 터트려버리자 갑자기 IG의 딜이 반토막 나더니 판테온까지 저항 끝에 잘리고, 샌드백으로 전락한 노틸러스까지 잘리면서 결과적으로 사일러스를 제외한 IG 챔피언 전원을 쓸어버리고 드래곤과 전령까지 먹은 뒤, 미드에 전령을 풀고, 레드 쪽 정글에 고립된 바루스를 녹턴과 오른 궁, 애쉬 궁으로 또 잘라낸다. 이후 이어진 교전에서 IG의 딜이 부족한 모습과 함께 르블랑과 룰루만 내주고 다시 한 번 사일러스를 제외한 IG 전원이 죽으며 킬 스코어는 15분 4:2에서 20분 전에 9:15로 바뀌었으며, IG는 4분 동안 무려 13데스를 기록하며 T1이 꽤나 유리해진다.
20분에 IG가 바로 아타칸을 치기 시작하지만 서로 광역 딜이 잘 들어가며 T1은 오른, 르블랑, 룰루가, IG는 사일러스, 직스가 살아남는다. 이후 페이커가 직스를 암살하지만 순간이동으로 돌아온 노틸러스와 사일러스, 바루스가 오른을 잡아낸다. 이때 직스가 없고 사일러스가 집텔을 하려 귀환하는 타이밍에 애쉬의 궁이 사일러스에게 들어가며, T1이 직스를 제외하고 IG 전원을 몰살시키며 22분 만에 서로 36킬을 기록하는 격전 끝에 아타칸까지 챙기고 게임을 굳힌다.
이런 와중에 IG에게 최악의 상황으로 웨이의 스로잉이 또 한번 터지고 말았는데, 탑에서 사일러스와 함께 라인을 밀다 T1이 탑쪽으로 몰려오자 궁으로 도망치려 했지만 애쉬의 매가 날아왔음에도 수정 화살을 생각하지 않고 궁으로 도망치려다 애쉬의 수정 화살[30]에 기절당하고 끊기면서 탑 라인 2차 포탑까지 빼앗기는 결과가 만들어졌다. 이러한 웨이의 스로잉 때문에 불리해진 IG가 과감하게 점멸 닻줄 메이킹을 여러 번 시도하지만, 바루스의 궁이 오른에게 맞고 약간 몸이 앞으로 쓸린 사이에 T1의 역이니쉬가 들어가며 직스를 제외한 인원을 전부 몰살시키며 넥서스로 진격, 쌍둥이 포탑 앞에서 미니언이라도 지우려던 직스의 발악[31]을 가볍게 짓밟으며 IG의 2025 월즈에서 여정이 너무나 빠르게 마무리된다.
앞선 세트들과 마찬가지로 웨이의 스로잉이 터졌으나 루키의 자잘한 실수 또한 결정적 패인으로 작용했다. 한타 시점마다 포탑으로 뛰어들어 죽기, 오른 궁극기 2타 실수, 눈앞에서 쏜 마법의 수정화살 맞아주기 등 연거푸 실수를 범하며 한타마다 석패하는 원인을 제공했다. 반면 T1은 구마유시가 애쉬로 신들린 카이팅과 상대의 실수를 정확히 캐치한 궁극기 활용으로 엄청난 교전 존재감을 뽐내며 딜량 1위를 차지하면서 왜 자신이 월즈의 전어유시라 불리는지 다시금 보여주었다.
T1은 LCK에서 이어오던 직스 상대 연패를 끊는 데에 성공했다. IG는 마지막이 될 수도 있는 세트에서 조커 픽인 탑 바루스를 픽하는 강수를 두었지만, 오너의 치밀한 바루스 마킹에 의해 완전히 무너지게 되면서 이번 월즈에서 17위로 퇴장하게 되었다.
5. 총평
| |
임주완: 18년도 LPL을 빛낸 IG가!
결국 월즈의 악마 T1은
IG는 밴픽에 있어서는 T1을 찍어눌렀다는 평이 많다. 메타가 완전히 기형적으로 변해버려 반드시 한타와 교전이 정해진 타이밍에 일어나는 현 상황에서 T1의 핵심인 바텀 라인전 구도를 억제하면서 분명한 승리 플랜을 만들어내는 밴픽을 보였다. 조합을 이용한 초반 라인전과 스노우볼도 정교했다.
그러나, IG와 T1의 근본적인 체급 차이는 밴픽으로 해결이 불가능했다. 1, 4세트 결정적인 플레이로 T1에게 두 세트를 떠먹인 구마유시, 3세트를 제외하고 모든 경기에서 루키보다 한수 위의 모습을 보인 페이커, 3, 4세트 완벽한 모습을 보인 오너를 필두로 IG는 한타 때마다 조금씩 손해를 보며 무너졌다.
ASI서 졸전을 펼친 웨이보, 징동[32]보단 백배 나은 폼을 보여준 것이 불행 중 다행일 정도.
이런 이유 때문에 보통 팀이 패배하면 감독까지 같이 까이는 것과는 별개로, IG는 쓰로잉을 저지른 선수들은 까이면서도 한국과 중국 양쪽에서 양대인 감독의 밴픽 능력과 판짜기 능력만큼은 극찬하는 기현상이 일어났으며 실제로 선수들의 무지성 쓰로잉과 이해할 수 없는 플레이로 경기 내내 고통받는 양대인 감독의 모습이 포착되기도 한지라 양대인 감독은 자기 팀 선수들한테 억까를 당한 감독이라는 동정표를 사고 있는 중이다.
경기 결과와는 별개로, 첫 3개의 세트는 유리하거나 팽팽한 경기를 한 팀이 크게 던지며 반대쪽 팀이 어부지리로 승리를 챙기는 양상이 일어났다. 또한 두 팀 모두 가만히 눕는 걸 싫어하고 한타 때 원딜을 자주 유기하거나 각개전투를 벌이는 등 비슷한 점이 많은지라 어느 한 쪽이 들이박으면 다른 한 쪽도 같이 들이박고 누가 먼저 멸망하는지 치킨 게임을 벌이는 경기가 자주 나왔다. 덕분에 경기력적으로는 다소 아쉬운 부분이 없지는 않았지만 지루한 양상이 전혀 느껴지지 않는 재미있는 경기로서 시청자들에게 큰 재미를 주며 월즈 개막전의 시작을 잘 끊었다는 평을 받았다. 뷰어십도 기존의 플레이-인에서 볼 수 없던 250만을 기록했다.
여담으로 대회 첫날부터 테크니컬 퍼즈가 두번이나 터지며 대회 운영에 대한 우려가 다소 생겼다. 그나마 두 퍼즈 모두 금방 기술적 문제가 해결되어 속행이 됐다는 게 다행이라면 다행인 부분.
5.1. 스위스 스테이지 진출 - T1
월즈의 T1은 이번에도 LPL에게 지지 않았다. 패배 시 여러 불명예가 걸려있는 멸망전에서 우리는 LPL에게 지지 않는다는 걸 증명하듯, 여러 일이 있었지만 LPL 상대 월즈 다전제 11전 전승이라는 값진 기록과 함께 결국 승리를 챙기며 스위스 스테이지에 마지막으로 초대받는 팀이 되었다.냉정히 말해 T1의 경기력이나 밴픽도 완벽하지는 않았으며[33][34], 유리한 경기를 던져서 헌납하는 순간도 있었다. 실제로 1세트는 서서히 말라죽어 가던 경기 양상을 더샤이의 슈퍼 쓰로잉 한 방으로 겨우 역전했고, 2세트는 역으로 겨우 뒤집은 게임을 본인들이 손수 엎으며 패배를 기록했다. 이 과정에서 리그에서의 대들보였던 도란과 오너의 저점이 겹치며 이후 세트의 전망도 먹구름이 끼는 듯 했으나[35] 1, 2세트에서 페이커와 구마유시가 팀을 지탱하여 패배의 위기를 구하여 1세트 승리를 거두거나 2세트의 압도적인 패배를 막고 경기를 비볐으며, 3세트부터 도란과 오너가 정신을 차리기 시작했고, 최후의 보루인 구마유시가 이곳이 월즈임을 증명하듯 또다시 물오른 기량을 선보이며 팀을 위기 때마다 구해냈다.
무엇보다 최근 메타에서 가장 중요한 한타 교전력만큼은 상대보다 확실히 앞서있었고, 그 교전력을 바탕으로 계속해서 교전 이득을 굴려나가며[36] 게임을 풀어간 끝에 승리를 거머쥐었다. 특히 IG는 원래부터 라인전이 약하고 교전을 선호하는 팀이었는데, 그 교전력에서 상대를 앞서면서 상대의 주 특기를 정면으로 찍어누른 구도가 된 것이 승리의 원동력이었다.
일단 다행인 건 이러니 저러니 해도 스위스 스테이지에 진출해 폼을 가다듬고 메타 해석을 더 완벽하게 할 수 있는 시간을 벌었다는 것이다. 지난 T1의 2년은 저점이 연거푸 터져나오며 월즈에 상처투성이로 진출했지만, 자신들의 강점인 메타 해석력과 팀의 완성도를 바탕으로 정상에 서는 모습으로 1년을 마무리하는 모습이 반복되었다. 그렇기에 쓰리핏에 도전하는 T1에게 필요한 건 유관 DNA를 발동하기 위한 시간이었는데, 일단 스위스 스테이지에 발도 못 붙여보고 탈락하는 대참사는 면했으니 모두가 기억하는 월즈의 T1이 다시 한 번 돌아와 월즈 역사상 최초 3-peat과 V6라는 대기록을 향해 멈추지 않고 나아갈지, 아니면 팀 역사상 가장 암울했던 2018 시즌과 2021 시즌의 뒤를 잇는 세 번째 무관 시즌이라는 흑역사를 맛보게 될지는 이제 본인들에 손에 달려있다.
여담으로 도란은 이번 경기로 커리어 처음으로 LPL에게 월즈 다전제 승리를 거두었다.
5.2. 탈락 (17위) - Invictus Gaming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리그 오브 레전드 2025 월드 챔피언십/결산#s-4.2.4|4.2.4]]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리그 오브 레전드 2025 월드 챔피언십/결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여담
- T1의 서포터 케리아는 경기일인 10월 14일, 본인의 생일에 경기를 치르게 되었으며 3:1로 승리를 거두며 스위스 스테이지 진출을 생일 선물로 받게 되었다. 인터뷰에서도 생일 고깔 모자를 쓴 상태(...)로 인터뷰를 치렀다.
- 2023년에 치러졌던 월즈 선발전 시리즈(WQS)와 유사한 점이 많은 경기다. 5판 3선승제로 상위 라운드 진출팀을 가리는 단두대 매치면서 상위 스테이지 바로 전날 상위 스테이지[37]와 같은 경기장[38]에서 치러지는 점, 메이저 리그의 4시드[39]끼리 맞붙으며 화제를 끈다는 점은 같다. 다만 WQS는 본래 월즈 일정과 충분한 간격을 두고 다른 경기장[40]에서 사전에 열려야 했으나, 일정이 꼬여 한국에 입국해 월즈 개막 전날에야 플레이-인 경기장인 롤 파크에서 진행한 것일 뿐 엄연히 월즈 '선발전'으로 취급되어 월즈 기록은 인정되지 않는다. 이와 달리 이번 경기는 플레이-인 스테이지인 만큼 엄연히 월즈의 경기로 인정되며 자연스레 T1과 IG 모두 올해 월즈에 진출한 것으로 이미 인정받았다는 차이점이 있다.
- 이 경기의 승리 팀이 속한 리그의 3시드는 스위스 스테이지에서 POOL 2에 들어가게 되고, 패배 팀이 속한 리그의 3시드는 POOL 3에 들어가게 된다. POOL 2에 들어가게 되면 첫 번째 경기에서 다른 POOL 2 팀과 맞붙어, POOL 1에 모여 있는 각 지역의 1시드 팀들을 만나지 않기 때문에, LCK와 LPL의 3시드인 KT와 TES는 같은 리그의 4시드인 T1과 IG가 스위스 스테이지로 올라오는 것이 유리한 입장이 되었다.[41][42]
- 리플레이 화면 오류, 골드 그래프 및 팀 캠 반전 표기 등 대회 운영 준비에 대해 부족한 부분을 보였다. 잊을 만하면 나오는 테크니컬 퍼즈도 문제였다. 스위스 스테이지에서도 같은 문제가 발생하여 경기가 지연되지 않게 철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
- 월즈의 개막전이고 한중 양국의 최고 인기 e스포츠 팀인 T1과 IG의 맞대결이다 보니 빅매치로 많은 주목을 받긴 했지만, 한국의 경우 경기가 한창 진행 중인 18시 30분에 시작한 삼성 라이온즈와 SSG 랜더스의 KBO 리그 준플레이오프 4차전[43], 그리고 20시에 시작한 파라과이와의 축구 A대표팀 평가전과 경기 시간이 겹치며 시청자층과 화제성이 분산된 양상을 보였다.[44]
- 4세트에서 대회 최초로 2024 T1 우승 스킨이 사용되었다. 사용된 스킨은 T1 바루스로, 사용자는 스킨 제작자인 구마유시도 맞라인 바텀 라이너인 갈라도 아닌 탑 바루스를 꺼낸 더샤이였다.[45]
[1] 양 팀은 각자의 리그에 첫 월즈 우승을 안긴 팀들이라는 점에서 뿌리 깊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T1은 페이커라는 프랜차이즈 선수를 필두로 현재까지도 변함없이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고 있으며, IG는 2018년 당시 월즈 우승을 이끌어냈던 팀 레전드 더샤이와 루키의 복귀와 더불어 웨이-갈라-메이코라는 국제 대회 커리어가 탄탄한 선수들이 함께 모이며 LPL 내에서 큰 인기를 주도하고 있다.[2] 사실 월즈 개막 몇 달 전부터 우스갯소리로 플레이-인 스테이지에서 두 팀이 마주치면 어떤 상황이 나올까 하면서 예측했던 시청자들이 커뮤니티 등지에서 의외로 꽤 있었다. 가능성이 매우 낮았지만 세계 최고의 인기팀들이 만나는 것으로 대회의 포문을 연다는 것 자체가 대회 흥행에 매우 도움이 되기에 간간이 다뤄졌던 매치업이었다.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3] T1은 2023, 2024 월즈 우승팀이고 로스터 변동도 한 명을 제외하고는 없는 수준이라 엄청난 기대를 받았으며, IG는 아예 슈퍼팀을 꾸리면서 이번에는 성적을 제대로 내겠다는 의지를 보여주었으나 두 팀 모두 무관에 그쳤다.[4] LCK는 대회 직전에 코로나19 이슈로 VCS의 불참이 확정되면서 직행으로 변동된 2020 젠지를 빼도 2019 담원(8강), 2021 한화생명(8강), 2022 DRX(우승)가 모두 녹아웃 스테이지는 갔으며, LPL은 2017 WE(4강), 2018 EDG(8강), 2020 LGD(C조 3위), 2021 LNG(D조 공동 3위), 2022 RNG(8강)가 플레이-인 스테이지에 진출했으며 이 중 가장 성적이 낮은 LGD마저도 플레이-인 스테이지는 통과했다.[5] SKT가 2라운드에서 IG를 압도적으로 이기며 한 방 갚아주기는 했지만, 4강에서 2019년 당시 세계 최강팀이었던 G2에게 패배하며 다전제에서 리매치는 할 수 없었다. 반대편 대진에 있던 IG는 TL에게 LoL e스포츠 역사에 남은 업셋을 당했기에, 결론적으로 2019 MSI는 두 팀 모두에게 4강에서 서양 팀에게 밀려 탈락했던 아픈 과거로 남아있다.[6] 이외 라인을 따져보면 탑의 도란과 더샤이는 2020 MSC 이후 5년 만에, 바텀의 구마유시와 갈라는 2023 월즈 8강 이후 2년 만에 맞대결을 치르며, 정글의 오너와 웨이와 서포터 케리아와 메이코의 맞대결은 작년 월즈에서 성사된 바 있었다.[7] 특히 이후에 치러진 패자조 결승과 결승전에서 각각 KT와 한화생명이 0:3, 1:3 패배를 당하면서 T1의 경기력이 재평가되기도 하였다.[8] LPL 팀은 최근 3년간 8강-준우승-4강이라는 4시드 팀의 호성적 선례가 있는 데다가 1~4시드 팀의 격차가 특출나게 크지 않았었고 어떠한 팀이 4시드로 가도 이상하지 않다는 걸 감안해도, 유독 월즈의 T1은 여태까지의 T1과 전혀 다르고 많은 LPL 팀들도 T1을 분석했지만 어느 누구도 극복하지 못하였기에 철저하게 준비하여 경기를 임해야 할 전망이다.[9] 상술된 최종 성적 외에도 상대 매치 전적 5:1, 세트 전적 10:3의 결과가 나왔다. 더욱이 LCK, LCP는 어쩌면 올해 이후로 안 할 수도 있는 대회일 수도 있는데도 만반의 준비를 했지만, LPL은 자기네 회사가 주최하고 개인방송 플랫폼 3곳에서 후원한 대회인데도 NIP를 제외하고 태도가 개판이었다.[10] 더샤이는 이번 시즌 올프로 퍼스트 탑에 선정될 정도로 이견의 여지가 없는 중체탑으로 꼽히며, 전성기에서 내려온 이후로도 파멸적인 저점이 문제지 고점 하나만큼은 여전히 S급 이상을 노려볼 수 있는 탑으로 꼽힌다. 웨이는 LPL 정글 특유의 저돌적인 초반 교전 위주 플레이 스타일을 대표하는 선수 중 한 명이자 LPL 내에서 흔치 않은 오더형 정글러이며, 실제로 웨이 영입 이후의 IG는 잘라먹기를 위시한 후반 뒷심이 몹시 좋아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루키는 현재 좀처럼 저점을 떨치지 못하고 있으나, 불과 작년까지만 해도 녹슬지 않은 라인전 무력을 과시하며 침몰하는 팀에서 혼자 통나무를 드는 모습을 보여준 바 있다. 갈라는 갈라쇼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LPL을 대표하는 후반 캐리형 원딜러 중 한 명이며, 실제로 4시드 결정전에서는 칼리스타를 들고도 하이퍼 캐리를 선보이는 등 현재 IG의 최대 상수로 활약하고 있다. 메이코는 어느덧 프로 데뷔 11년 차가 되었음에도 여전한 라인전 능력과 이니시를 자랑하며, 루키와 더샤이가 저점을 띄우고 있는 현재는 갈라를 충실히 보좌하며 사실상 IG의 2옵션으로 자리매김한 상태다.[11] 해당 경기 시작 이전 기준 1승 3패. 여담으로 T1과 유일하게 전적이 비등한 LPL 팀은 2승 2패 동률인 WE다.[12] 시즌3 월즈에서는 두 번째 경기인 OMG전에서 패배를 기록했고, 2017 월즈에서는 두 번째 경기 EDG전은 승리하긴 했으나 그 경기가 페이커 쇼크웨이브로 유명한 1만 골드 역전승이라서 경기 자체만 놓고 본다면 크게 고전했고, 2021 월즈에서는 두 번째 경기인 EDG전을 패배했고, 2022 월즈에서는 두 번째 경기인 프나틱전에서 패배했고, 2023 월즈에서는 첫 번째 경기인 TL전에서 가까스로 역전승을 거두고 두 번째 경기인 젠지전에서 패배했고, 2024 월즈에서는 첫 경기인 TES전에서 패배했다.[13] 2번 뿐이긴 하지만 2023, 2024년에 연이어 8강전에서 LPL 팀에게 졌다. 상대가 BLG여서 쩔수였다라고 하기엔 두 번 모두 충분히 할 만할 경기였는데 감코진의 발밴픽으로 졌기에 그 점이 나온다면 큰일날 가능성이 높다.[14] 기존 최저 성적은 2018 월즈 때 젠지의 1승 5패 그룹 스테이지 4위였다.[15] 다만 그 영혼이 화염의 드래곤 영혼이었기에 우월한 기동성을 부여해주는 바람의 드래곤 영혼, 연쇄적인 둔화 번개로 한타 및 추격 밸류를 높여주는 마법공학 영혼 등에 비해서는 밸류가 낮은 편이라 T1에게도 아직 기회가 남았다는 해설이 나왔다.[16] 이 치명적 실수가 IG의 승리 가능성을 완벽히 뒤집어버린 결정지은 순간이었다. 확실히 T1이 오브젝트 싸움에서 아타칸 스틸을 제외하면 4용까지 줄 정도로 밀리던 상태일 정도로 몰아붙여진데다 시비르가 T1의 챔피언들 중에서 최우선 상수인 만큼 렉사이로 시비르를 노린 것 자체는 좋았지만, 문제는 1차 타워를 아직 깨지 않은 채 그대로 타워에 다이브했다는 것. 탈리야는 바위술사의 벽으로, 시비르는 주문 보호막으로 방어가 가능했고, 암베사도 방어막 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다이브를 하면 오히려 렉사이가 빨려들어가 죽는 구도가 완성될 수밖에 없었다. 시비르를 끊고 바론 트라이를 해보려는 시도는 나쁘지 않았으나 미드 1차 타워를 고려하지 않은 급발진이 결국 계획을 도루묵으로 만든 셈. 이게 완벽한 기습으로 들어가기라도 했다면 그나마 다행이었겠으나, 렉사이가 도착하기도 전에 T1의 시야에 발각되면서 T1은 그 전부터 커버를 위해 움직이고 있었다.[17] 탑 1차를 깨던 중 순간이동으로 뒤를 잡힌 상황에서 바로 빠지든 1차를 부수고 죽든 하나를 확실하게 선택했어야 하는데, 빠지는 와중에 다시 1차로 돌아가 Q 한 번만 쓰고 다시 빠지다가 결국 덜미를 잡히는 이해할 수 없는 플레이로 잘렸다. 이렇게 오브젝트 타이밍에 정글이 잘리자 그대로 IG가 오브젝트를 독식할 환경이 만들어졌다.[18] 웨이가 무리한 포지션을 잡다 케리아에게 제대로 물렸고 이에 도란이 호응하기 위해서 공개처형을 사용했으나, 궁극기 거리가 아주 조금 모자란 바람에 빗나갔고 결국 키아나가 살아나가버려 교환에서 손해를 보았다. 얼핏 보면 웨이가 점멸로 피한 것처럼 보이지만, 느린 시점에서 자세히 보면 아슬아슬하게 거리가 부족해서 공개처형이 먼저 증발하고 그 직후에 점멸을 쓴 것이다.[19] 이 추격전 과정이 콩트 개그같은 형식으로 전개됐는데, 도란의 크산테와 함께 바텀에 있다가 둘이 물리는 각이 나오자 도란만 혼자 텔을 타고 도망친 덕분에(...)-오늘도 유기된 구마유시는 게임이 재미가 없다 미스 포츈 혼자서 필사적으로 도망을 쳐야만 했고 이를 사이온이 미스 포츈을 무조건 잡고 말겠다는 집념으로 멈출 수 없는 맹공으로 돌진한 끝에 미스 포츈이 결국 붙잡히고 만 것. 이걸 본 이현우 해설은 미스 포츈 추노전을 해설할 때 도란이 텔포로 도망가고 구마유시만 유기되는 상황을 보며 "나는?"이라는 드립을 날려 시청자들을 자지러지게 만들었다.[20] IG가 이미 1픽으로 오리아나를 픽한 상황이었고 원딜이 대거 밴 당하며 미스 포츈, 케이틀린, 루시안, 제리 정도밖에 남지 않아 후픽의 메리트가 적은 상황이었으나, 상대의 선호도를 근거로 미룬 것인지, 아니면 케이틀린을 상대할 자신이 있었는지 아칼리가 먼저 나왔고 밴픽의 이유를 보여주지 못하며 패배했다. 특히 케이틀린은 구마유시의 시그니처 챔피언이기도 하고, 아칼리가 카르마에게 견제당하면서 격차가 벌어진 후반에는 아칼리가 아무것도 하지 못하는 그림이 반복되었다는 점에서 더욱 아쉬운 밴픽이였다.[21] 경기 후 이현우 해설은 개인 방송에서 어떠한 옹호의 소지가 존재하지 않는 플레이라고 말하며, 그나마 이유를 추측해보자면 바론 둥지의 와드가 거슬려서 정도일 것으로 추측했다.[22] 스몰더의 궁극기만 빠진 가운데 구원과 점멸도 없는 신 짜오의 현월수호가 다소 쉽게 빠졌다.[23] 또한 잘 티가 나지 않았지만 이때 이미 미드를 관리하고 내려오느라 흐웨이가 마나가 거의 없던 상황이었다. 이것 때문에 흐웨이의 전투 지속력이 떨어졌고 스킬을 본래 힘만큼 쏟아내지 못했다.[24] 임주완 해설은 리스크와 리턴을 서로 비교하면 리스크가 백 배는 되는 플레이라고 일침했으며 아예 이 플레이를 일탈이라고 취급할 정도로 표현할 만큼 정말 위기의 T1을 수렁에서 끌어올려버린 자충수 중의 자충수였다. 이현우 해설도 개인 방송에서 옹호받을 자격이 없는 뇌가 없는 수준의 플레이라고 극딜했으며 프레이 또한 웨이의 트롤 쓰로잉을 보고는 "이거 미친 새끼네?"라는 욕설까지 써가며 황당해했다.# 당연히 이런 대형사고를 목격한 양대인 감독은 리플레이 화면에서 "아니 씨X! 그걸 왜 들어가냐 진짜!"라고 답답해하며 웨이를 씹어댔다.[25] 바론에서는 웨이가 치명적인 본헤드 플레이로 혼자 잘리며 T1이 바론을 공짜로 먹었고, 4용에서는 사거리 차이를 이용해야 하는 조합으로 먼저 오브젝트를 치는 아쉬운 판단을 내리며 T1이 싸움을 열 각을 열어줬다.[26] 이전 기록은 2025 LCK 정규시즌 5라운드 젠지전 3세트, 2025 LCK 플레이오프 2경기 한화생명전 2세트로 둘 다 패배했다.[27] 오른과 녹턴은 멀리서 뚜벅이 챔피언을 무는 데 도가 텄으며, 이 둘을 제외해도 한 번 걸리면 도망조차 허용하지 않는 르블랑과 마법의 수정화살로 대놓고 장시간 기절을 먹이는 애쉬까지 있어 바루스가 살아남기 매우 힘든 환경이었다. 그러나 양대인 감독이 인터뷰에서 같은 상황이 다시 찾아와도 자신들은 탑 바루스를 꺼내들 것이다라고 밝혔는데, 녹턴이 나왔어도 미드에 사일러스, 바텀에 직스를 꺼낸 이상 AD 딜을 채우면서 오른을 뚫기 위해 바루스를 꺼내들 수 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이며 적어도 초반에는 오른을 영혼까지 털며 바루스를 꺼낸 이유를 보여주기도 했다. 여담으로 이현우 해설은 탑 바루스를 한다는 것은 좋은 의미로 간이 큰 배짱있는 선택이라 표현했으며 개인 방송에선 "탑 바루스가 져야 협곡의 정의가 지켜진다."라고 내심 고소해하는 모습을 보여줬는데, 롤드컵이 있기 전의 SOOP에서 치뤄진 인터넷 방송 리그에서 탑 포지션으로 팀 플레이를 했다가 상대 팀의 탑 바루스에게 참교육을 당했기 때문이다(...)[28] 1 vs 1 구도였기 때문에 사일러스 입장에서도 해볼 만한 판단이었지만, 애쉬가 거의 풀컨디션에 성장이 부족한 편도 아니었던 데다가 고점이 터진 구마유시의 혼신의 카이팅으로 결국 포탑에서 빠져나오지 못했다.[29] 이 와중에 직스가 오른과 르블랑에게 얻어맞고도 벽너머로 도망치는데 성공하나, 레드를 먹은 녹턴의 황혼의 궤적을 맞고 재로 변해버린다.[30] 수정 화살이 적중한 전투가 많았던 게임이었다. 녹턴과 오른에게서 도주하는 바루스를 기절시켰고, 바텀에서는 귀환하는 사일러스를 궁으로 끊어낸 것이 기점이 되어 아타칸 전투에서 승리한다. 장거리에서 판테온 저격까지 성공시키면서 애쉬가 팀적인 이득을 만드는 동시에 딜링에도 좋은 활약을 보였다.[31] 궁이라도 있다면 미니언을 대동할 방법이 미드 쪽 뿐이라 시간을 좀 더 벌 수라도 있었겠지만, 직전 교전에서 이미 노틸 궁 맞은 르블랑에게 써버린데다 그마저도 피해버렸다.[32] 갈라 원맨 캐리로 징동을 꺾고 진출한 IG가 T1과도 나름 합을 맞추는 경기력과 깔끔한 밴픽을 보여주며 "왜 하필 T1이 여기에 와서..."라는 동정이나마 받았지만, 징동은 ASI에서 경기에 대충 임했음이 더 명확해지고 있다.[33] 밴픽 면에서는 2, 3세트는 IG에게 졌다는 것이 중론이며, 4세트도 IG가 궁여지책으로 탑 바루스를 꺼낸 게 좋은 결과로 이어지지 않아서 그렇지 T1도 밴픽이 좋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물론 T1은 패치 변경 직후에는 티어 정립에 시간이 좀 걸리는 모습이 있었고, 우승한 작년/재작년 월즈에서도 초기에는 이런 비판이 나왔다. 즉, 밴픽 문제는 앞으로의 일정 동안 지켜볼 필요가 있다.[34] 경기 후 임재현 코치는 오늘의 경기력이 평소의 50% 정도라며 좋지 못했고 밴픽 역시 좋지 못했다는 인터뷰를 남겼다.#[35] 실제로 3세트 테크니컬 퍼즈 중 해설진들의 말을 들어보면 LCK vs LPL 구도임에도 상대의 플레이나 상태가 더 좋아 보인다는 말을 여러 번 했을 정도로 2세트까지 T1은 정상적이지 못했다.[36] 실제로 T1이 한타에서 진 순간들은 대부분 T1이 구도를 제대로 정돈해 잡지 못하고 설계를 이상하게 했거나 혹은 포지셔닝이 망가진 상태에서 IG가 잘 찔러들어온 결과였고, 서로 잘 정돈된 상태로 붙은 한타는 전부 T1이 이겼다. 그나마 그 법칙에서 벗어난 건 밴픽부터 망했던 2세트 정도였다.[37] 2023년 당시는 플레이-인 스테이지[38] 대한민국 LoL PARK[39] LCS의 Golden Guardians, LEC의 Team BDS[40] 두 참가팀의 각 소속 리그와 관련 있는 지역(북미, 유럽) 내 경기장. 2023년의 경우 북미[41] 젠지와 BLG는 명백한 이번 월즈 우승 후보 팀들이며, 다른 1시드 팀들(G2, FLY, CFO) 역시 우승 후보급으로 보긴 어려우나 스위스 스테이지를 통과할 저력은 충분히 있는 다크호스 팀들이기에 현재 불안한 점이 있는 KT와 TES가 첫 경기부터 부딪히기에는 부담이 적잖이 생긴다.[42] 여담으로 T1은 KT를 작년 월즈 선발전, 그것도 4시드 결정전에서 탈락시키는 걸 필두로 역사적으로 KT에게 좋은 일은 많이 안 해주고는 했는데, 이번에는 좋은 일을 안 시켜주면 본인 팀의 시즌 종료가 걸려있기 때문에 어떤 결과가 나올지도 흥미로운 부분이다. 목숨을 버려가며 좋은 일 안 시켜주기 vs 본인도 살고 좋은 일도 시켜주기 결국 본인이 사는 길을 택했다[43] 원래는 5차전 진행시 이동일이라 경기가 없는 날이었는데, 2차전이 우천순연되면서 이후 일정들도 연달아 하루씩 늦어졌다.[44] 다만 A대표팀 평가전의 경우, 2만명 초반대의 관중만 입장하며, 2008년 이후 상암 경기장 최소 관중을 기록했다.[45] 바이와 사일러스도 챔피언 자체는 사용되었지만 T1 스킨은 사용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