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비성대 | |||
| | | | |
기본군사훈련단 | 항공과학고등학교 | 교수학습혁신센터 | 군수1학교 | |
| | | | |
군수2학교 | 정보통신학교 | 항공우주통제학교 | 학생군사학교 | |
그 외 지역 | ||||
| | | | |
행정학교 | 방공포병학교 | 제27예비단 | 보라매리더십센터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공군의 편제 |
공군군수1학교 空軍軍需一學校 ROKAF 1st Logistics School | |
| |
<colbgcolor=#008275><colcolor=#fff> 창설일 | 1952년 6월 (공군기술학교) 2013년 7월 (군수1학교) |
약칭 | 군1교 |
소속 | 대한민국 공군 |
상급부대 | 공군교육사령부 |
규모 | 특기학교 |
역할 | 대한민국 공군의 무기정비 병과의 교육 담당 |
학교장 | 대령 |
주임원사 | 원사 |
위치 | 경상남도 진주시 금산면 송백로 46, 공군교육사령부 내 |
홈페이지 |
[clearfix]
1. 개요
하늘의! 안전은! 우리가! 지킨다!
정예! 공군! 기술인!의 요~람 군수~1! 학교!
정예! 공군! 기술인!의 요~람 군수~1! 학교!
경남 진주시 공군교육사령부 예하의 특기학교로 1952년 사천기지(제3훈련비행단)에 세워졌다. 원래 이름은 공군기술학교였고 2005년에 영선, 시설, 보급, 수송, 급양 등이 공군군수학교로 분리하였다. 그리고 항공무기정비 병과와 보급수송 병과가 군수 병과로 통합되면서 다시 개명하여 공군기술학교는 공군군수1학교가 되었고 공군군수학교는 공군군수2학교가 되었다. 간혹 공군군수학교 1단지가 군수1학교, 2단지가 군수2학교가 된 걸로 오인하는 경우도 있는데 전혀 아니다. 그냥 사실상 공군정비교육(단, 지상레이다체계정비는 정보통신학교에서, 방공유도무기정비는 방공포병학교에서 한다.)을 하는 곳이라고 보면 되며, 그 외의 군수업무(시설, 공병 포함)은 군수2학교라고 보면 된다.
특기학교 중 가장 항목이 마지막에 생겼는데 이는 기술학교 시절에 가장 많은 숫자를 차지하던 기지방호전대 및 작전지원전대 특기들이 군수학교(군수2학교)로 간 통에 상대적으로 항공정비전대로 갈 특기들인 기술학교(군수1학교)에 대한 관심이 줄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2. 역사[1]
(태동기 (1952 ~ 1970))- 1952. 06. 제 80 항공본창 예하 기술학교 모체
- 1952. 12. 기술학교 창설(사천)
- 1953. 12. 김해기지로 이전
- 1956. 08. 기술교육단(現교육사령부)에 예속
- 1958. 05. 정비교육대 -> 병참교육대대로 승격
- 1961. 06. 시설교육대대 창설
- 1965. 06. 대전기지로 이전
(정착기 (1974 ~ 1988))
- 1973. 04. 공군교육사령부로 예속 변경
- 1974. 06. 항공기 정비중대 창설(실습항공기, 장비 등 관리)
- 1974. 07. 무장전자교육대대 창설
- 1988. 10. 교육사령부 이전에 따라 진주기지로 이동
- 1988. 10. 학교본부 신축/개장(현 학교 건물)
- 1988. 10. 학과장 및 정비실습장(제1,2 격납고) 신축/개장
(발전기 (1995 ~ 2005))
* 1995. 04. 항공정비사 전문교육기관 지정(건설교통부)
* 1995. 10. F-16 항공기 정비교육대대 학과장 신축/개장
* 1997. 05. 폭발물처리(EOD) 및 정밀측정 교육과정 인수/개설
* 1997. 09. 폭발물처리(EOD) 실습장 개장(사천비행장 위치)
* 1998. 12. 무장실습장 신축/개장
* 2005. 04. 병과학교 개편에 따라 정비 및 무장분야 외 교육과정 신설학교로 이관
* 1995. 04. 항공정비사 전문교육기관 지정(건설교통부)
* 1995. 10. F-16 항공기 정비교육대대 학과장 신축/개장
* 1997. 05. 폭발물처리(EOD) 및 정밀측정 교육과정 인수/개설
* 1997. 09. 폭발물처리(EOD) 실습장 개장(사천비행장 위치)
* 1998. 12. 무장실습장 신축/개장
* 2005. 04. 병과학교 개편에 따라 정비 및 무장분야 외 교육과정 신설학교로 이관
- 군수학교 신설 : 보급 / 시설/ 수송분야 교육수행
(현재 (2006 ~ ))
* 2006. 11. EOD 실습장 개장(교육사)
* 2007. 12. 병 교육생 생활관 신축/개장
* 2010. 02. 비파괴검사(NDI) 이론 및 실습교육장 신축/개장
* 2013. 07. 학교 명칭 변경(기술학교 -> 군수1학교)
* 2014. 01. 국방분야 항공장구관리사 자격검증 기관 지정(국방부)
* 2014. 12. 이론교육 학과장
* 2015. 06. 급조폭발물(IED) 훈련장 신축/개장
* 2016. 12. 항공정비 실습장(1,2격납고) 리모델링
* 2018. 01. 국방분야 폭발물처리 관리사 자격검증기관 지정(국방부)
* 2006. 11. EOD 실습장 개장(교육사)
* 2007. 12. 병 교육생 생활관 신축/개장
* 2010. 02. 비파괴검사(NDI) 이론 및 실습교육장 신축/개장
* 2013. 07. 학교 명칭 변경(기술학교 -> 군수1학교)
* 2014. 01. 국방분야 항공장구관리사 자격검증 기관 지정(국방부)
* 2014. 12. 이론교육 학과장
* 2015. 06. 급조폭발물(IED) 훈련장 신축/개장
* 2016. 12. 항공정비 실습장(1,2격납고) 리모델링
* 2018. 01. 국방분야 폭발물처리 관리사 자격검증기관 지정(국방부)
3. 편제
- 학교장
- 교무행정과
3.1. 제1정비교육대
3.2. 제2정비교육대
3.3. 학생대
4. 구성원
4.1. 교관
4.2. 훈육요원
4.2.1. 훈육관
4.2.2. 훈육조교
4.3. 그외(기간장병)
4.4. 교육생
5. 교육 과정
항공무기정비 관련 특기 과정을 운영한다.5.1. 장교 과정
<rowcolor=#fff> 특기군 | 특기번호 | 과정명 | 교육기간[2] |
무기정비 | 4006 | 장교초급과정 | 4주 |
4007 | 장교참모과정 | 3주 |
장교과정은 초급과 참모 과정 두개만 운영되며, OAC를 운영 중인 몇 안되는 특기학교 중 하나인데[3], OBC는 무기정비 초급, OAC는 무기정비 참모라고 부른다.
5.2. 부사관 과정
부사관 특기번호는 4자리로 마지막 4번째 자리는 계급별로 변동된다.
다만 특기교육은 계급별 번호다르게 부여되니 본인 특기번호와 계급별 교육과정 번호가 다소 다르니 유의할 것.
부사관 과정이라고 하지만 군무원도 해당과정에 같이 입과하여 수료한다.
<rowcolor=#fff> 계급 | 특기번호(앞 3자리) | 특기번호(마지막번호) | 과정번호(마지막번호) |
하사 | 4XX | 3(4XX3) | 3(4XX3)(초급) |
중사 | 4(4XX4) | 4(4XX4)(중급) | |
상사 | 5(4XX5)(고급) | ||
원사 | 운영안함[4] |
준사관 선발된 인원에 한해 준사관 입과전 '정비반장보임전(4XX5)' 과정에 입과하며 1년에 한차례 운영한다.
5.2.1. 초급(하사) 과정
5.2.1.1. 일반 과정
<rowcolor=#fff> 특기군 | 특기번호 | 특기명 | 교육기간[5] |
무기정비 | 401X | 항공통신항법장비정비 | 6주 |
402X | 항공전자전장비정비 | ||
403X | 항공전산장비정비 | ||
404X | 항공전자제어장비정비 | 7주 | |
405X | 비행제어장비정비[6] | ||
406X | 정밀측정장비정비 | 13주 | |
408X | 항공기공유압정비 | 6주 | |
410X | 항공기전기장치정비 | ||
411X | 항공기지상장비정비 | ||
413X | 항공기기체정비 | 7주 | |
414X | 항공기기관정비 | ||
415X | 항공장구정비 | 6주 | |
416X | 항공기무기정비 | ||
417X | 항공탄약정비[7] | ||
418X | 항공기제작정비 | ||
419X | 비파괴검사[8] | 8주 |
- 비파괴검사 특기는 초급 수료 후 level 등급 이수로 수시로 입과 해야한다.
5.2.1.2. 항과고, 부학군 과정
5.2.1.3. 임기제 부사관[9] 과정
<rowcolor=#fff> 특기군 | 특기번호 | 특기명 | 교육기간[10] |
무기정비 | 4133(임) | 항공기기체정비 | 2주 |
5.2.2. 중급(중사), 고급(상사), 정비반장보임전 과정
과정별로 다소 다르나 대체로 중급(중사)은 3주, 고급(하사)은 2주
<rowcolor=#fff> 특기군 | 과정등급 | 과정번호 | 교육기간[11] |
무기정비 | 중급(중사) | 4XX4 | 3주 |
고급(상사) | 4XX5 | 2주 | |
정비반장보임전(원사)[12] | 4XX5 | 1주 |
5.2.3. 그외 과정
5.3. 병 교육 과정
5.3.1. 일반 과정
<rowcolor=#fff> 특기군 | 특기번호 | 특기명 | 교육기간[13] |
무기정비 | 41810 | 항공기제작정비 | 1주 |
41810(비) | 비파괴검사[14] | ||
41110 | 항공기지상장비정비 | 1주 3일 | |
41610 | 항공기무기정비 | ||
40110 | 항공전자장비정비 | 2주 1일 | |
40810 | 항공기유압전기정비[15] | ||
41310 | 항공기기체정비 | ||
41310(장) | 항공장구정비 [16] | ||
41410 | 항공기기관정비 | ||
41710 | 항공탄약정비 |
숙소는 군수1학교 학생대 병교육생 생활관[17]을 사용하며 3층 건물로 특기별로 분류하여 호실을 배정받는다.[18]
5.3.2. 특성화고[19] 과정
<rowcolor=#fff> 특기군 | 특기번호 | 특기명 | 교육기간[20] |
무기정비 | 40110(특) | 항공전자장비정비(특) | 1주 |
41310(특) | 항공기기체정비(특) | ||
41410(특) | 항공기기관정비(특) |
5.4. 그외 교육 과정
6. 특징
군수1학교 학생대 건물[21]은 황토방으로 겨울에도 난방도 빵빵해서 한겨울에 더워서 깰 정도(!) .[22] TV 시청, 체력단련실, 작은 도서관도 있다. 물론 다른 특기학교도 다 있다.그래도 행정학교를 제외한 다른 학교 건물에 비하면 좋은편.
물론 다른특기학교에 비해 좋다는거지 최근 훈련단 건물이 리모델링 완공됨에 따라 훈련단과 비교하면 다소 실망할수 있다.
학생대가 언덕 위에 위치해 있는 것이 큰 단점[23]인데, 매일 아침 뜀걸음할 때 언덕을 내려갔다 올라오기 때문. 이 때 간격을 못 맞추거나 그냥 빨리 뛰는 날엔 아침부터 상쾌하게 시작할 것이다. 주변이 죄다 산에 고지대다 보니 새벽엔 사슴이 점호장을 뛰어다니기도 한다. 부사관의 경우[24] 817 생활관이나 502생활관을 쓰는데 조교보다 짬이 낮으면 817건물[25], 조교보다 짬이 높은 현역[26]과 군무원은 502건물에서 생활한다. 다만 '25년에 817 건물을 철거 후 신축함에 따라 502 건물을 쓸 가능성이 높아졌다.
여군과 여자군무원은 501숙소로 교육사령부의 4개 학교[27]가 과정 상관없이 통합으로 쓴다.
군수1학교 식당에서 밥을 먹는다. 다만 식당 바로 옆에 교육사령부의 기간병사들이 거주하는 통합생활관[28]인원도 여기서 밥을 먹는다[29]. 이에 군수1학교 식당은 교육사 내에서 기훈단 식당 다음으로 큰 규모를 자랑한다. 밥맛은 규모에 비해 매우 괜찮은 편이나 식사 중 식당을 이용하는 기간장병을 필연적으로 마주치기에 다소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기간장병을 보면 부러운건 덤이다.
아무래도 정비 특기이다 보니 병보다는 부사관이 중심이 되는 교육과정이다. 즉, 병들이 교육을 위해 돌아다니면 초급 부사관 과정을 밟고 있는 부사관들을 자주 볼 수 있다.
모자가 노란색이었고 특기가 특기이다 보니 '피카츄'라는 별명이 조교들에게 붙었으나 2016년부터 청록색으로 바뀌었다.
자체 BX를 운영하였으나 현재는 폐쇄하여, 교육사 복지회관 내에 있는 BX를 이용한다.[30]
7. 근무 및 사역
7.1. 자치 근무자
7.2. 불침범
8. 생활
8.1. 면회
8.2. 종교참석
9. 마스코트
기존의 공군 캐릭터의 변형이다.
[1] 출처: 공군군수1학교 홈페이지[2] 2025년기준[3] 공군에서는 무기정비와 방공포 관련 특기 외에는 OAC를 운영하지 않는다. 즉, 군수1학교와 방공포병학교만 OAC를 운영한다. 다르게 이야기하면 몇몇 특기 외에는 OAC가 필요하지 않다는 이야기이며, 정책 특기의 경우 OAC 경력이 없는 상태로 대령 ~ 준장까지 달다가 집에 간다.[4] 특기별 원사 교육과정은 없으나 행정학교에서 전특기 대상으로 '원사능력과정'을 운영한다.[5] 2025년 초급(하사)기준[6] 구 계기/비행조종장비정비[7] 특기 경력 1년이 넘으면 폭발물처리(EOD : Explosive Ordnance Disposal) 초급교육 수강 요건이 충족된다.417X(폭)[8] 병 과정과 다르게 별도 특기번호를 부여받는다.[9] 항공기기체정비(4133) 특기 전문/첨단 출신만 입과 가능[10] 2025년 초급(하사)기준[11] 2025년 기준[12] 준사관 임용예정자에 한함[13] 2025년 기준[14] 기수에 따라 41810 항공기제작정비 인원에서 추가 선발 한다. 부사관은 별도 특기번호로 부여 받는다.[15] 구 항공기부속정비로 부사관의 경우 유압과 전기를 분리해서 선발[16] 41310(항공기기체정비) 특기중 입과 첫날 지원받아 선발한다. 히든특기로 기체특기와 별도 자대 TO로 운영한다. 부사관은 별도 특기번호로 부여 받는다.[17] 818건물이라 한다.[18] 단 인원에 따라 섞일수 있다.[19] 강호/경북항공고[20] 2025년 기준[21] 병 교육생 건물[22] 현재는 행정학교 2동이 가장 최신에 시설이 가장 좋다.[23] 교육사령부 생활관 중 가장 높은곳에 있다.[24] 초급과정으로 보통 하사 기준[25] 10인 1실 침상형 건물로 지어진지 20년이 넘은 건물로 군수1학교에서 제일 낙후된 건물이다.[26] 보통 기성하사로 불리며 특기전환을 했거나 전문하사등 자대에서 온 인원이 대부분이다.[27] 군수1학교, 군수2학교, 정보통신학교, 행정학교[28] 교육사 소속 기간병사들이 모두 이 통합생활관에 있는 건 아니다. 기훈단이나 군수2학교 등 별도로 생활관을 쓰는 부대도 많다. 2014년 11월 생활관 통합으로 대부분 기간병은 군수 1학교 식당에서 밥을 먹는다.[29] 내부 공간은 분리 되어있다.[30] 단 마음대로 이용할수 있는것은 아니고 지시에 따라 정해진 요일과 시간에만 갈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