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대 고지라(고질라) | |||||
| {{{#!wiki style="margin: 0 -10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고지라 (1954) | 쇼와 시리즈 (1955 ~ 1975) | Godzilla (1978 ~ 1979) | ||
| [[고질라(1978년 애니메이션)| | |||||
| 헤이세이 시리즈 (1984 ~ 1995) | 고질라 (1998) | Godzilla: The series (1998 ~ 2000) | |||
| [[고지라(헤이세이 시리즈)| | [[고지라(GTS)| | ||||
| 고질라 2000 (1999) 고지라 X 메가기라스 G 소멸작전 (2000) | 고지라·모스라·킹 기도라: 대괴수 총공격 (2001) | 기룡 사가 (2002 ~ 2003) | |||
| [[고지라(밀레니엄)| | [[고지라(GMK)| | [[고지라(기룡 사가)| | |||
| 고질라 - 파이널 워즈 (2004) | 몬스터버스 (2014 ~) | 신 고질라 (2016) | |||
| [[고지라(고질라 - 파이널 워즈)| | [[고지라(몬스터버스)| | [[고지라(신 고질라)| | |||
| GODZILLA 시리즈 (2017 ~ 2018) | 고질라: 싱귤러 포인트 (2021) | 고질라 마이너스 원 (2023) | |||
| [[고지라 어스| | [[고지라(고질라 마이너스 원)| | ||||
| 고지라 ゴジラ | Godzilla | |
| <nopad> | |
| 개체명 | 고지라 ゴジラ | Godzilla |
| 이명 | 괴수의 왕 怪獣王 | King of the Monsters 신세기 괴수왕 新世紀怪獣王 | New Century King of the Monsters |
| 신장 | 55m |
| 길이 | 122.5m (전체 길이) 78m (꼬리 길이) |
| 체중 | 25,000t |
| 기원 | 선사시대의 거대 생물 |
| 배우 | 기타가와 츠토무 |
| 포효 소리 | |
1. 개요
| <colbgcolor=#DB5D3B><colcolor=#fff> |
2. 특징
2.1. 디자인
| <nopad> |
G소멸작전에 등장한 기라고지는 기본적으로 미레고지와 동일한 형태를 채용했으나 얼굴부분이나 슈트를 경량화하는 등의 개선점이 들어갔다. 얼핏 봐선 미레고지와 기라고지를 구분하기 어렵지만, 기라고지는 운동성을 위해 허벅지가 살짝 작아졌고 얼굴도 입의 크기 등의 부분이 미묘하게 달라졌다. 전반적으로 육중하면서도 사나운 싸움꾼에 가까운 고지라의 이미지를 잘 살려서, 밀레니엄 시리즈 초기의 고지라는 역대 고지라 디자인 중 최고로 간지나는 디자인으로 꼽힌다.
2.2. 스펙
3. 작중 행적
편의상 같은 문서에서 서술하지만 이 둘은 전혀 다른 개체다.3.1. 고질라 2000
| <nopad> |
| 메인 테마 |
1954년 1대 고지라가 죽은 이후, 어느날 나타난 2대 고지라는 이후 지속적으로 일본을 공격해 왔고 사람들은 무력하게 그것을 바라만 볼 수밖에 없었다. 사람들은 이미 고지라를 마치 이따끔 발생하는 대지진과도 같은, 대항이 불가능한 하나의 자연 재해로 인식하고 있었고, 고지라를 막으려 하기 보다는 고지라의 행동 패턴을 분석해 습격을 예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었다.
| <nopad> |
| <nopad> |
| <nopad> |
3.2. 고지라 X 메가기라스 G 소멸작전
| <nopad> |
| 메인 테마 |
| <nopad> |
결국 일본은 대 고지라용 특수부대 'G 그래스퍼'를 설립하고 고지라를 없애기 위해 소형 블랙홀을 발사해 그 소멸 에너지로 적을 소멸시키는 무시무시한 궤도 폭격용 병기, 디멘션 타이드를 개발한다. 그런데 디멘션 타이드를 시험하면서 웜홀이 발생하고, 그 웜홀이 미처 없어지기 전에 다른 차원에서 고대의 거대 잠자리, 메가누론[3]이 흘러들어온다. 한 소년이 이 메가누론의 알을 발견하고, 키우려고 하지만 하수구 속에다 버린다. 메가누론들은 알을 낳으며 수를 급격하게 불려나가고 메가누론들이 도쿄 지하를 헤집고 다니면서 수맥이 터져 도쿄는 물에 잠기게 된다.
| <nopad> |
| <nopad> |
이후 고지라가 일본을 습격해 온 것은 플라즈마 에너지 따위는 처음부터 없었고 장관의 주도 아래에 원자력 발전소를 비밀리에 건조해왔고,[4] 그 에너지에 이끌려서였다는 것이 밝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G 그래스퍼는 고지라를 제거해야 한다고 결정을 내리고,[5] 디멘션 타이드를 고지라를 향해 발사하려고 하지만, 기체 자체의 고장으로 디멘션 타이드는 지구로 추락하고 있었고, 제대로 조준이 불가능한 상태였다. 그러나 군에 소속되어 있던 염동력자의 도움으로 고지라에게 블랙홀을 명중시키고, 고지라는 마침내 소멸한 듯 했으나, 쿠키 영상에서 학교 앞에서 지진이 발생하는데, 알고보니 고지라는 그저 땅속에 파묻힌 것 뿐이었고 멀쩡히 살아있었다.
4. 기타
고질라 2000과 고지라 X 메가기라스 G 소멸작전에 등장한 고지라는 서로 흡사해보여도 엄연히 둘 다 별개의 존재다. 두 영화는 평행세계라 이어지는 스토리가 아니기 때문. 다만 저예산이라는 특성상, 특촬용 소품 자체를 변경점이 없이 그대로 재활용했던 것과 내적으로 두 개체간의 성격과 행동 양식의 차별점마저 딱히 부각되지도 않았으니 둘을 동일한 존재로 혼동하는 시선이 나올 만도 하다.[1] 고지라 피규어쪽에서 조형으로 유명한 그 사람이 맞다.[2] 이 칼날 같은 등지느러미는 실제로도 무기로 쓸 만큼 매우 날카로운지, 이걸로 메가기라스의 앞다리를 베어버리기도 한다.[3] 원래 이전 시리즈에서 괴수 라돈의 주식으로 등장했었던 곤충들이다.[4] 고지라를 염려해 에너지가 방출되지 않게 조치를 취했지만 고지라는 그마저 우습게 여기며 에너지를 감지한 것.[5] 전부 자기가 자초한 일 때문에 고지라가 습격한 것이건만 고지라를 물리치려고 G 그래스퍼를 창설했건만 다 헛고생이었다면서 개소리를 지껄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