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출처 : Google Arts & Culture - 경주 사자·공작 무늬 돌
사진 출처 : 공작문석(孔雀文石, 공작무늬 돌)과 사자 / 2009.12.28. 국립경주박물관
1. 개요
경상북도 경주시 월지(月池)에서 발견된 7세기~8세기 경 통일신라시대 화강암 각석.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2. 내용
사진 출처 : 매일신문 - 신라 속 실크로드
과거 안압지라고 불리던, 경주시 월지(月池)에서 발견된 통일신라시대 화강암 문양석이다. 연구 결과 제작 연대는 7세기~8세기 무렵으로 확인되었다.
경주 월지에서는 최초 발굴조사 당시 무려 1만 5천여 점이 넘는 신라시대의 유물들이 쏟아져 나왔는데, 불상, 숟가락, 청동거울, 벼루, 송곳, 가위, 건물의 목재 조각, 심지어 유람용 배까지 별의별 유물들이 다 나왔다. 이후 지속적으로 월지를 발굴하여 2008년 기준 금속공예품 1152점, 목제품 920점, 철제품 603점, 와전류 2만 4353점, 토기류 3388점, 기타 2171점 등, 총 3만 2587점에 이르는 신라시대 유물들이 추가로 세상에 모습을 드러내었다.#
원래 이 바위 돌은 신라시대 당시 안압지 주변에 꾸며놓은 조경석 중 하나였으며, 원래는 이러한 조경석, 석조다리, 석재난간 등이 안압지 곳곳에 설치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신라 멸망 후 정확히 언젠지는 알 수 없지만 이 모두가 세월의 흐름에 따라 파괴되거나 사라지고 말았다. 이 각석은 그 때의 수많은 조경석 중 하나의 파편으로 오랜 세월 동안 경주 월지 속에 가라앉아 있다가 현대에 들어 다시 발굴된 것이다.
이 각석의 오른쪽 제일 작은 원의 내부에는 사자가 커다란 잎이 달린 나무 한그루를 감싸고 있는 모습이 새겨져 있다. 가운데 원에는 가장자리에 구슬 무늬 띠를 돌린 후 그 안에 나무 한그루를 사이에 두고 공작새 두 마리가 좌우대칭으로 새겨져 있는데 머리를 아래로 향하고 있어 마치 먹이를 쪼아먹는 듯하다. 왼쪽의 가장 큰 원은 훼손되어 일부만 남았고, 가장자리에는 연주문(聯珠紋)이 있다.
사진 출처 : 한겨레 - 고구려 고분은 왜 페르시아 양식을 닮았을까
구슬 무늬 띠가 돌려진 사자, 공작무늬는 연구 결과 고대 페르시아 지역(현재의 서아시아, 아라비아 반도 일대)에서 유행하던 문양이었다. 이 무늬는 기원전 로마 제국의 동전에서 처음 출연한 이후 페르시아의 파르티아 지역으로 이어져 계속해서 사용됐는데, 특히 사산조 페르시아의 조로아스터교(배화교)에 수용되어 '신성한 빛'이라는 의미를 부여받았다.
이 문양이 발견됨은 7~8세기 신라가 지중해 지역과 중동 지방의 문물을 자유롭게 누렸고, 교류범위도 아시아를 넘었으며 당시 신라가 다양한 문화의 집산지 역할을 했음을 보여준다.
지금으로부터 7-8세기에 만들어진 신라의 석재 조형물로, 당시 신라의 석조공예술 및 해외 교류 활동을 연구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