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플레이오프
, 3위 결정전
1. 개요2. 국내
2.1. 야구2.2. 축구2.3. 농구2.4. 배구2.5. 당구
3. 국제4. 국외2.5.1. PBA 팀 리그 파이널
2.6. 탁구2.6.1. 한국프로탁구리그 챔피언 결정전
2.7. 핸드볼2.7.1. 핸드볼코리아리그 챔피언 결정전
2.8. 바둑2.8.1. 한국바둑리그 챔피언 결정전
2.9. e스포츠2.10. 리그 오브 레전드2.10.1.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GRAND FINALS2.10.2. LCK Challengers League GRAND FINALS2.10.3. LCK Academy Series GRAND FINALS
[clearfix]
1. 개요
決勝戰 / the final(s)一位 決定戰
운동 경기 따위에서 마지막으로 승부를 가리는 시합. 이 경기에서 승리 시 우승, 패배 시 준우승을 하게 된다.
전체 참가자의 절반 그룹중에서 1등을 할정도의 실력이 검증된 선수들간의 경기이기도 하고, 한 게임만 더 이기면 대회에서 가장 큰 목표인 우승을 할 수 있다는 점, 체력 안배등을 신경써야 하는 다른 경기들과는 다르게 이 결승전에선 그야말로 자신이 가진 모든것을 쏟아붓기 때문에 수준높은 명경기가 탄생하는 경우가 많다.[1]
그리고 토너먼트 내에서 서사적으로도 가장 흥미로운 경기이기 때문에 흥행성이 가장 높은 경기다.
이 경기에서 이긴 적은 별로 없고 지기만 하면 콩라인에 자동 가입하게 된다. 특히 결승 전까지는 극강의 모습을 보여주다가 결승전에만 오면 무너지는 경우에는 더욱 그러한 점이 강조된다. 1위 결정전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
한국의 경우 남자 병역 미필자들은 올림픽 결승에 진출하기만 해도 병역 특례를 받아 3주만 갔다오면 된다는 인식이 심어져있다.
2. 국내
| |||
야구 | 축구 | 농구 | 배구 |
| | | |
KBO 한국 시리즈 | 폐지[1] | ||
[1] 2012년에 K리그 챔피언 결정전을 폐지하고 승강제와 K리그1 파이널 라운드로 개편 | |||
◀ 플레이오프 |
| ||
농구 | 배구 | 축구 |
| | |
여자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 | V-리그 챔피언 결정전 | WK리그* 챔피언 결정전 |
* 세미프로 | ||
◀ 플레이오프 |
2.1. 야구
2.1.1. KBO 리그
2.1.1.1. KBO 1위 결정전
2.1.1.2. KBO 5위 결정전
2.1.1.3. KBO 한국시리즈
2.1.2. 한국여자야구대회 결승전
2.2. 축구
2.2.1. K리그 챔피언 결정전
2.2.2. WK리그 챔피언 결정전
2.2.3. K3리그 챔피언십
2.2.4. K5리그 챔피언십
2.3. 농구
2.3.1. 한국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
2.3.2. 한국여자프로농구 챔피언 결정전
2.4. 배구
2.4.1. V-리그 챔피언 결정전
2.5. 당구
2.5.1. PBA 팀 리그 파이널
2.6. 탁구
2.6.1. 한국프로탁구리그 챔피언 결정전
2.7. 핸드볼
2.7.1. 핸드볼코리아리그 챔피언 결정전
2.8. 바둑
2.8.1. 한국바둑리그 챔피언 결정전
2.9. e스포츠
2.10. 리그 오브 레전드
2.10.1. League of Legends Champions Korea GRAND FINALS
2.10.2. LCK Challengers League GRAND FINALS
2.10.3. LCK Academy Series GRAND FINALS
3. 국제
3.1. 아이스하키
3.1.1. 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 챔피언 결정전
4. 국외
4.1. 월드 시리즈
4.2. 일본시리즈
4.3. UEFA 챔피언스 리그 결승전
4.4. NBA 파이널
4.5. 슈퍼볼
4.6. 스탠리 컵
4.7. FIFA 월드컵
[1] 물론 결승전이어도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 졸렬하고 재미없는 경기가 나오는 경우도 종종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