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2 00:19:10

검은머리갈색찌르레기

검은머리갈색찌르레기(인도구관조)
Common myna
이미지
학명 Acridotheres tristis
(Linnaeus, 1766)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조강 Aves
참새목 Passeriformes
찌르레기과 Sturnidae
뿔찌르레기속 Acridotheres
검은머리갈색찌르레기 A. tristis
멸종위기등급
파일:멸종위기등급_최소관심.svg
1. 개요2. 특징

1. 개요

찌르레기과의 조류.

2. 특징

몸길이 23cm 정도 되는 이 새는 중앙아시아, 이란, 남아시아, 중국 남부, 동남아시아에 서식한다. 3000m나 되는 높은 고도에서도 번식이 가능하고[1] 4~6개의 알을 낳는다. 식성을 가리지 않는 잡식성이다.

국내에서는 2019년 부산에서 처음 관찰된 이후 몇 차례의 관찰 기록이 있는 미조(길잃은새)이다. 관찰 기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2.1. 생태계교란 생물

외래종으로 알려진 구관조는 사실 구관조가 아닌 이 새인데 남아프리카 공화국, 마다가스카르, 호주, 뉴질랜드, 서남아시아 일부, 일본, 대만, 미국 플로리다 일부, 하와이까지 퍼져 살게 되었다. 엄청난 적응력으로 토종 생태계를 위협하는 최악의 생태계교란 생물 중 하나로 여겨진다. 호주에서는 아예 '날아다니는 쥐', '하늘의 사탕수수두꺼비'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다. 다른 토종 새들이 살아야 할 둥지를 강탈해서 번식에 차질을 준다고 한다.

[1] 물론 저지대에서도 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