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07 12:20:27

강원특별자치도소방학교


파일:FA휘장.png
대한민국 소방학교
중앙 서울 부산 인천 광주
경기 강원 충청 경북 대구

파일:강원특별자치도 소방본부 로고.png
강원특별자치도 소방기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소방서
춘천소방서 원주소방서 강릉소방서 동해소방서 태백소방서
속초소방서 삼척소방서 홍천소방서 양양소방서 횡성소방서
영월소방서 평창소방서 철원소방서 화천소방서 양구소방서
인제소방서 정선소방서 고성소방서
기타 기관
소방학교 특수대응단 환동해특수대응단
}}}}}}}}} ||
강원특별자치도소방학교
江原特別自治道消防學校
Gangwon State Fire Service Academy
파일:강원특별자치도소방학교 로고.svg
<colbgcolor=#15346f><colcolor=#fff> 설립일 2010년 3월 13일
교훈 배움으로 先進消防
나눔으로 奉仕消防
현장으로 最強消防
학교장 이강렬 소방정
상급기관 강원특별자치도 소방본부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동태백로 289-48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
2.1. 연혁2.2. 설립 배경
3. 교육과정
3.1. 소방사반3.2. 글로벌 소방리더 교육과정
4. 조직도5. 행사6. 역대 학교장7. 관련 링크

1. 개요

강원특별자치도소방학교는 강원특별자치도 소방공무원의 교육·훈련을 담당하는 교육 기관이다.[1][2][3]

2. 역사

2.1. 연혁

<rowcolor=#fff> 날짜 연혁
2006년 3월 13일 인명구조사 교육기관지정
응급구조사 2급 양성기관지정
2007년 3월 13일 강원도소방학교 설치를 위한 추진팀 구성, 운영
강원소장학교 운영을 위한 기초계획 수립
2008년 3월 13일 인명구조사 교육기관 재지정
응급구조사 2급 양성기관 재지정
2009년 7월 6일 강원도 소방학교 T/F팀 구성
2010년 3월 13일 개교
2011년 4월 19일 화재진화사 양성기관 지정
2012년 3월 13일 인명구조사 교육기관 재지정
응급구조사 2급 양성기관 재지정

2.2. 설립 배경

1989년 정부가 석탄산업 합리화 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태백시를 포함한 폐광지역은 기존의 산업기반이 급격히 붕괴되며 심각한 지역경제 침체를 겪게 되었다. 이에 대한 지역사회의 대응으로 1999년 12월 12일, 『태백시민 생존권 찾기 총 궐기대회』가 개최되었고, 같은 해 12월 23일에는 정부와의 공식 합의문이 체결되었다. 이 합의문은 일명 ‘대정부 합의문 2호’로, 폐광지역을 위한 대체산업 육성을 주요 골자로 하고 있었다.
합의문 체결 직후인 1999년 12월 31일, 행정자치부는 후속 조치계획을 수립하였으며, 강원도는 지역특성을 반영한 안전체험 및 교육 중심의 대국민 체험형 사업 구상을 통해 2001년 10월 강원소방학교을 포함한‘안전체험테마파크 조성 기본계획(안)’을 마련하였다. 이 계획은 광산 안전이라는 지역의 고유한 특성을 살린 체험형 교육사업으로 평가받았다.
이후 행정자치부는 2003년 5월 본 사업에 대한 지원을 결정하였고, 2003년 7월 산업자원부의 승인을 받아 본격적인 추진이 가능해졌다. 2004년 5월부터 2005년 7월까지 태백시가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용역을 시행하였으며, 2006년 6월 5일에는 착공에 들어갔다.
한편, 경영구조 개선 및 운영 효율화를 위한 전략의 일환으로 2010년 5월 11일에는 본 사업과 연계된 강원소방학교가 개교하며 지역 내 교육인프라가 한층 강화되었다.

2010년 이전에는 강원도 내에 소방학교가 설치되지 않아서 1995년부터 1997년까지 서울소방학교에서 위탁교육을 실시하였고 1998년부터 2010년까지 경기소방학교에서 위탁교육을 실시하였다. 그러나 교육 수요의 한계로 자체교육시설 필요성이 증대되었고 강원도 지역특성에 맞는 맞춤형 교육훈련과 소방보조자원(의용소방대·의무소방원)의 전문교육, 도민 안전문화 기반조성을 위한 테마별 교육과정 등 전문적인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그 결과 2004년 9월 18일 폐교시설을 활용한 「소방교육훈련센터」 설치를 추진하였으며, 춘천시 동면 상걸리 소재 만천초등학교 (구)명성분교를 리모델링하여 2005년 7월 1일부터 강원도 소방교육훈련센터를 운영하였다. 초기에는 소방공무원 3명(령1·위1·장1), 의무소방원 2명으로 시작하였으며 2006년에 의무소방원 1명을 보강하여 6명의 운영요원이 강원도소방학교 개교 이전인 2010년 3월 26일까지 소방교육훈련 업무를 담당하였다.[whitepaper]

3. 교육과정

3.1. 소방사반

  • 제42기 : ʼ25.8.11.~ʼ26.1.23.(24주)
    • 화재‧구조 등(10주)+응급구조사 2급(7주)+현장실습(3주)+법령행정‧소양(4주)

3.2. 글로벌 소방리더 교육과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강원특별자치도소방학교/글로벌 소방리더 교육과정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강원특별자치도소방학교/글로벌 소방리더 교육과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강원특별자치도소방학교/글로벌 소방리더 교육과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조직도

강원특별자치도소방학교 조직도
교육지원과 교육기획과 교육훈련과

5. 행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청소년 안전캠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 청소년 안전캠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민국 청소년 안전캠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역대 학교장

파일:강원특별자치도소방학교 로고.svg
강원특별자치도소방학교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이흥교
제2대
이갑규
제3대
남화영
제4대
정병도
제5대
김조일
제6대
윤상기
제7대
이종인
제8대
박태원
제9대
권선욱
제10대
이오숙
제11대
김재운
제12대
이창학
제13대
이강렬
}}}}}}}}}

7. 관련 링크


[1] 지방소방기관 설치에 관한 규정 제2조[2] 강원도 행정기구 설치조례 시행규칙[3] 지방소방기관 설치에 관한 규정. 대통령령.[whitepaper] 강원소방학교 백서. 2021.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