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스포츠 관련 인물
現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 | |
프로필 | |
| |
이름 | 가브리엘 라파엘 세가트 (Gabriel Raffaele Segat) |
생년월일 | 1997년 7월 4일 |
국적 |
|
[1] |
종족 | 테란 |
現 소속 | MOUZ |
ID | HeRoMaRinE |
2014 WCS 순위/점수 | 공동 184위/100점 |
2015 WCS 순위/점수 | 공동 91위/325점 |
2016 WCS 서킷 순위/점수 | 20위/915점 |
2017 WCS 서킷 순위/점수 | 공동 39위/300점 |
2018 WCS 서킷 순위/점수 | 5위/2760점 |
2019 WCS 서킷 순위/점수 | 6위/2980점 |
2020/21 EPT 서킷 순위/점수 | 유럽 4위/1272점 |
2021/22 EPT 서킷 순위/점수 | 유럽 4위/1573점[2] |
SNS | |
방송국 | |
별명 | BIG GABE |
소속 기록 | |
MOUZ | 2011-11-05 ~ 현재 |
1. 소개
독일의 스타크래프트 2 프로게이머.종족은 테란이며 그가 14살일 때 그의 잠재력을 높이 산 mousesports에서 유망주로 점찍고 영입했다. 포텐이 좀처럼 터지지 않다가 서서히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하더니 2020년대 들어 해외 정상급 테란 선수로 성장했으며 선수 경력 이외에도 활발한 라이브 스트리밍을 통해 많은 팬을 확보하고 있다.
2. 경력
2.1. 스타크래프트 2: 자유의 날개
- 2013년
- HomeStory Cup VI 32강
2.2.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
- 2013년
- HomeStory Cup VIII 16강
- 2014년
- 2014 WCS Europe Season 1 CL 48강
- IEM Season VIII - Cologne 16강
- HomeStory Cup IX 32강
- 2014 WCS Europe Season 3 CL 32강
- 2015년
- 2015 WCS Season 1 CL 64강
- 2015 WCS Season 2 CL 62강
- 2015 WCS Season 3 PL 32강
- HomeStory Cup XI 32강
- IEM Season X - gamescom 16강
2.3. 스타크래프트 2: 공허의 유산
- 2016년
- HomeStory Cup XII 16강
- HomeStory Cup XIII 16강
- 2016 WCS Circuit Summer Championship 4강 (VS 방태수 1:3)
- HomeStory Cup XIV 16강
- 2017년
- StarCraft II: NationWars IV 4강 (VS 대한민국 1:4)
- IEM Season XI - World Championship 24강
- HomeStory Cup XV 16강
- HomeStory Cup XVI 32강
- 2018년
- IEM Season XII - PyeongChang 16강 (VS Kelazhur 1:3)
- 2018 WCS Leipzig 16강 (VS Neeb 1:3)
- IEM Season XII - World Championship 24강
- 2018 WCS Austin 8강 (VS Serral 0:3)
- HomeStory Cup XVII 9~12위 (VS 주성욱 1:3)
- 2018 WCS Valencia 4강 (VS Serral 0:3)
- 2018 WCS Montreal 8강 (VS TIME 0:3)
- 2018 WCS Global Finals 16강
- 2019년
- 2019 WCS Winter Europe 3위 (VS Serral 0:3)
- 2019 WCS Spring 16강 (VS Reynor 2:3)
- HomeStory Cup XIX 7~8위 (VS 주성욱 0:3)
- 2019 WCS Summer 4강 (VS Reynor 1:3)
- Assembly Summer 2019 16강
- GSL vs. the World 2019 16강 (VS 조성호 1:3)
- 2019 WCS Fall 8강 (VS Serral 0:3)
- 2019 WCS Global Finals 16강
- HomeStory Cup XX 32강
- StarCraft II: NationWars 2019 8강 (VS 프랑스 1:4)
- 2020년
- StayAtHomestory Cup #1 16강
- TeamLiquid StarLeague 5 9~12위 (VS 주성욱 0:3)
- StayAtHomestory Cup #2 16강
- DreamHack SC2 Masters 2020: Summer - Europe 4위 (VS Reynor 0:3)
- DreamHack SC2 Masters 2020: Summer - Season Finals 8강 (VS 조성호 1:3)
- DreamHack SC2 Masters 2020: Fall - Europe 5~6위 (VS Serral 1:3)
- King of Battles 16강
- DreamHack SC2 Masters 2020: Winter - Europe 4위 (VS Clem 1:3)
- DreamHack SC2 Masters 2020: Winter - Season Finals 16강
- TeamLiquid StarLeague 6 13~16위 (VS 김대엽 2:3)
- 2021년
- DreamHack SC2 Masters 2020: Last Chance 2021 16강
- IEM Katowice 2021 12강 (VS 조성주 0:3)
- StayAtHomestory Cup #3 7~8위 (VS 김도욱 1:3)
- DreamHack SC2 Masters 2021: Summer - Europe 4위 (VS Lambo 2:3)
- NeXT 2021 S1-SC2 Masters 16강
- TeamLiquid StarLeague 7 9~12위 (VS 박령우 1:3)
- DreamHack SC2 Masters 2021: Summer - Season Finals 8강 (VS 조성주 1:3)
- DreamHack SC2 Masters 2021: Fall - Europe 3위 (VS Clem 0:3)
- DreamHack SC2 Masters 2021: Fall - Season Finals 8강 (VS Serral 0:3)
- ASUS ROG Fall 2021[초청시드] 4강 (VS 조성주 0:3)
- DreamHack SC2 Masters 2021: Winter - Europe 7~8위 (VS Reynor 0:3)
- StayAtHomestory Cup #4 32강
- King of Battles 2 4강 (VS Serral 0:3)
- TeamLiquid StarLeague 8 9~12위 (VS Reynor 0:2)
- 2022년
- DreamHack SC2 Masters 2021: Last Chance 2022 16강
- IEM Katowice 2022 4강 (VS Reynor 2:3)
- DreamHack SC2 Masters 2022: Valencia 16강 (VS 조성주 1:3)
- DreamHack SC2 Masters 2022: Atlanta 16강 (VS 신희범 0:3)
- 2023년
- IEM Katowice 2023 12강 (VS Oliveira 1:3)
- Gamers8 2023 16강 3라운드 (VS Oliveira 0:2)
- ESL SC2 Masters 2023 Winter 16강 3라운드 (VS 강민수 1:3)
- 2024년
- IEM Katowice 2024 8강 (VS 김도욱 0:3)
- ESL SC2 Masters 2024 Spring 녹아웃 3라운드 (VS변현우 1:3)
- HomeStory Cup XXV 4강 (VS 토비아스 시버 1:3)
- Esports World Cup 2024 녹아웃 스테이지 1라운드 (VS Reynor 0:2)
- HomeStory Cup XXVI[초청시드] 8강 (VS 고병재 1:3)
- 2025년
- DreamHack Dallas 2025 그룹스테이지 B조 패자조 8강 (VS 이병렬 0:2)
- HomeStory Cup XXVII 8강 (VS 박한솔 2:3)
- Esports World Cup 2025 그룹 패자조 (VS 이병렬 0:3)
3. 상세
포텐이 터질 것 같으면서도 터지지 않고 가끔씩 자국에서 열리는 대회에서만 우승을 몇 번 차지했다.그러다가 2016 WCS Circuit Summer Championship에서 제대로 돌풍의 주역이 되었다. 32강에서 전 대회 우승자 ShoWTimE과 붙게 되었는데, 많은 사람들은 전 대회 우승자 ShoWTimE이 가볍게 꺾을 것으로 예상했지만 풀세트 접전 끝에 승리하면서 ShoWTimE을 우스운자로 만들어버렸다. 16강에선 유럽 최고의 테란 MarineLorD를 상대로 역시 풀세트 접전 끝에 승리하면서 대회 최고의 다크호스로 주목받기 시작했고 8강에선 남미 최고의 테란 MajOr까지 이기면서 단숨에 우승후보로 급부상했다. 하지만 4강에서 방태수를 만나 패배했다. 그러나 본인의 메이저 대회 커리어하이를 달성하면서 유럽 테란라인의 미래를 책임질 유망주로 평가받았다.
이후 2016 KeSPA Cup 유럽 예선에서도 패자 결승까지 진출하면서 한국행 티켓을 따내나 싶었지만 Nerchio 앞에 무릎을 꿇고 말았다.
유럽 최고의 테란이 될 수 있는 잠재성을 지녔으나 전업 스트리머를 하겠다고 밝히며 WCS 대회 오프라인 예선에 매번 불참했다. 대격변 패치 이후 2018년에는 패치 내용 때문에 은퇴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오히려 2018년에 괜찮은 성적을 냈는데, 2018 WCS Valencia에서 4강에 올라 블리즈컨 진출 가능성을 높였고 결국 블리즈컨에 진출했다. 이듬해에도 후안 로페즈 다음가는 성적을 내고있으며 블리즈컨 진출 확률이 높다.
두 시즌 연속으로 블리즈컨에 진출하며 후안 로페즈, 리 페이난과 함께 서킷 테란 최강자 자리를 두고 엎치락 뒤치락 하는 중이다. 2019년 사이좋게 셋이서 서킷 순위 4, 5, 6위를 차지했다.
2020년에는 Open Cups에서 무려 13승을 쓸어담고 있다.
2022년 카토비체에서는 해외 최고 테란 경쟁을 하고있는 클렘이 죽음의 조에 걸려 광탈한 사이 본인은 조 2위에 오르며 유럽 최후의 테란이 되었다. 그리고 이 대회에서 4강에 진출하며 커리어 최고 성적을 기록했다.
DreamHack SC2 Masters 2022: Valencia 그룹스테이지 E조에 편성되어 프랑스 프로토스 ShaDoWn을 2:0으로 이기지만 율리안 브로지히에게 1:2로 지면서 최종전으로 떨어진다. 최종전에서 디에고 쉬머를 2:0으로 꺾고 조2위로 24강에 진출한다. 24강에서 피오트르 발루키비치를 3:1로 꺾고 16강에 진출하지만 조성주에게 1:3으로 지면서 탈락한다.
2022년 여름경, 자신의 개인방송을 통해 2023년 GSL 참가 의사를 표명했다. 다만 장기간 한국에 머물 것은 아니고 한 시즌 정도만 참가할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GSL의 규모가 2023년부터 대폭 축소된 영향으로 한국행 계획은 접었다.
DreamHack SC2 Masters 2022: Atlanta 그룹스테이지 G조에 편성되어 박한솔을 2:0으로 이겼지만 토비아스 시버에게 0:2로 패하여 최종전으로 떨어진다. 최종전에서 다시 만난 박한솔을 상대로 고전하지만 2:1로 이겨 조2위로 녹아웃 1라운드에 진출한다. 녹아웃 1라운드에서 고병재를 3:0으로 꺾었지만 신희범에게 0:3으로 지면서 탈락한다.
2023년 2월에 열린 IEM Katowice 2023에서 죽음의 조 D조에 편성되어 조성주와 김도우를 상대로 2:1로 이기지만 변현우에게 0:2로 패한다. 이후, 이재선을 상대로 2:1, Lambo를 상대로 2:0으로 이기면서 조2위로 12강에 진출한다. 12강에서 리페이난에게 1:3으로 패하면서 탈락한다.[5]
ESL SC2 Masters 2023 Summer 오픈스테이지 B조에 편성되어 프랑스 프로토스 Arrogfire, DnS, 그리고 장욱을 모두 꺾고 녹아웃 1라운드에 진출한다. 1라운드에서 장현우를 2:1로 이기고 2라운드에 진출하지만 Spirit을 상대로 고전 끝에 2:3으로 패하면서 탈락한다.
Gamers8 2023 예선전에 참가하여 Spirit을 2:1, 2023 월드챔피언 Oliveira를 3:0으로 꺾고 본선에 진출한다. 본선에서 김준호와 장현우에게 1:2, 그리고 Oliveira에게 0:2, 총 3패를 기록하면서 최하위로 탈락한다.
HomeStory Cup XXIV에서 D조에 편성되어 리카르도 로미티, 홍윤, 사샤 호스틴, 핀란드 저그 Mixu, 네덜란드 프로토스 HiGhDrA를 상대로 세트 전승을 거두고 조1위로 8강에 진출한다. 8강에서 SKillous[6]에게 1:3으로 패하면서 탈락한다.
ESL SC2 Masters 2023 Winter 오픈스테이지 D조에 편성되어 캐나다 프로토스 Maplez, 파블로 블랑코, 케빈 드 코닝을 꺾고 녹아웃 1라운드에 진출한다. 1라운드에서 ShoWTimE을 3:2, 2라운드에서 김준호를 3:1로 이기고 3라운드에 진출하지만 2023 GSL시즌 3 우승자인 강민수에게 1:3으로 패하면서 탈락한다.
2024년 2월에 열린 IEM Katowice 2024에서 무난한 A조에 편성되어 Spirit에게 한 세트를 내준 것외에 강민수와 고병재, Scarlett, trigger를 상대로 세트 전승을 기록하면서 조1위로 2년 만에 8강에 진출했다. 그러나 8강에서 한국테란 2위 김도욱에게 0:3 완패를 당하고 탈락한다.
ESL SC2 Masters 2024 Spring 승자스테이지에서 맥스 엔젤을 2:0으로 꺾었지만 조성주에게 0:2로 패하면서 패자조로 떨어진다. 패자조 준결승전에서 클레망 데플란케를 2:1로 꺾고 녹아웃 3라운드에 진출하지만 변현우에게 1:3으로 패하여 탈락한다.
HomeStory Cup XXV D조에 편성되어 Elazer, trigger, Mixu, 프랑스 프로토스 PtitDrogo, 독일 프로토스 HolyHit을 상대로 세트 전승을 기록하면서 조1위로 8강에 진출한다. 8강에서 그레고리 코민츠를 3:0으로 꺾고 4강에 진출하지만 4강에서 ShoWTimE에게 1:3으로 지면서 탈락한다.
Esports World Cup 2024 EPT 포인트 EU 상위로 시드를 받아 본선에 참가한다. 그룹스테이지 A조에 편성되는데 박령우와 Astrea를 제외하면 모두 테란으로 구성되어있는데 특히 조성주와 디펜딩 챔피언이자 2023 월챔 Oliveira가 있어 굉장히 까다로운 조에 편성되었다. 박령우에게 0:3으로 완패를 당하여 패자조로 떨어지고 패자조에서 고병재를 상대로 고전하지만 2:3으로 리버스스윕을 당하면서 녹아웃스테이지로 떨어진다. 녹아웃 1라운드에서 Reynor에게 0:2로 패하면서 최하위로 탈락한다.
HomeStory Cup XXVI에서 초청시드를 받아 참가한다. C조에 편성되어 Mana, Reynor, DnS, Mixu를 상대로 이겼지만 Clem에게 0:2로 패하면서 조2위로 8강에 진출한다. 8강에서 고병재에게 1:3으로 지면서 탈락한다.
2025년 5월에 열린 DreamHack Dallas 2025 그룹스테이지 B조에 편성되어 16강부터 시작한다. 러시아 프로토스 Astra를 2:1, 박한솔을 2:0으로 꺾었지만 김준호에게 0:2로 패하면서 패자조로 떨어진다. 패자조 8강에서 이병렬에게 0:2로 패하면서 탈락한다.
HomeStory Cup XXVII 조별리그 D조에 편성되어 Harstem, Kelazhur, 체코 프로토스 sebesdes, 프랑스 저그 shino를 상대로 2:0으로 이겼지만 김유진에게 0:2로 패하면서 조2위로 8강에 진출한다. 8강에서 드림핵 댈러스 이후 다시 만난, 박한솔을 상대로 고전하지만 2:3으로 고전 끝에 패하여 탈락한다.
Esports World Cup 2025 유럽선발전 1일차에서 러시아 프로토스 Ashbringer를 2:0, 폴란드 프로토스 Gerald를 3:1로 꺾었다. 3일차에서 다시 만난 Gerald를 3:0으로 이겼지만 크로아티아 프로토스 goblin을 상대로 고전 끝에 2:3으로 패하면서 패자조로 떨어진다. 패자조에서 러시아 프로토스 Strange, 미코와이 오고노프스키를 3:1로 꺾었지만 ShoWTimE에게 0:3으로 패하여 조5위로 글로벌선발전에 진출한다. 글로벌선발전에서 김동원에게 1:3으로 패하여 패자조로 떨어지지만 대만 프로토스 Lemon을 0:3, 유럽선발전에서 만났던 goblin을 4:2로 꺾고 플레이인에 진출한다.
플레이인에서 Lambo에게 0:2로 지면서 패자조로 떨어지고 Astrea, 다시 만난 Lambo에게 선취점을 내주지만 2:1 리버스스윕으로 이기면서 본선에 진출한다. 그룹스테이지 B조에 편성되어 요나 소탈라에게 0:2로 패하여 패자조에 떨어졌고 패자조에서 다시 만난 이병렬에게 0:3으로 완패를 당하면서 하위권으로 탈락한다.
4. 플레이 스타일
같은 독일의 프로토스 선수인 토비아스 시버와 매우 비슷한 스타일로, 극도로 정석 지향적이고 배제 없이 안전한 플레이를 선호한다. 기본적인 게임 개념이 매우 좋은 탓에 날빌에 거의 당하지 않으며, 생산력, 자원 최적화, 기본적인 컨트롤 모두 우수한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기복도 적어서 자신보다 기량이 떨어지는 상대에게는 거의 패하지 않는다. 테란이 가져갈 수 있는 병력 움직임 중에서 특히 의료선을 이용한 양방치기에 뛰어나며, 양방치기가 가장 유효한 프로토스전에 가장 강하다. 기본적으로 최적화가 우수하고 소규모 컨트롤이 준수하여 초중반 타이밍 러쉬도 성공률이 꽤나 높은 편이다.가장 큰 단점은 모든 기본기가 우수하나, S급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점. 사실상 히마가 4강권 선수에 머무르며 우승을 하지 못하게 만든 가장 큰 원흉이나 다름없다. 우선 후반 운영을 짚어보자면 테란의 후반 운영은 여러 방향의 견제에 대응하면서도 정면 싸움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유닛을 사용해야 하고, 성능 대비 사용하는 사람의 손을 굉장히 많이 타는데, 후반에서 이 모든 것을 깔끔하게 해내기에는 손이 조금 느리며, 그렇다고 정면 싸움에서 조성주처럼 넘사벽급의 마법 활용과 대규모 산개, 점사 및 아케이드 컨을 보여줄 만큼 손이 깔끔하지도 못하다.[7] 또한 전성기의 변현우나 조중혁, 클레망 데플란케처럼 마이크로 컨트롤만으로 게임을 박살내기에는 마이크로 컨트롤이 그다지 특출나지 않아서, 컨트롤을 중심으로 하는 211이나 2베이스 올인 등의 빌드도 잘 사용하지 못한다. 여러 모로 양산형 테란의 정점에 올라섰다고 볼 수 있는 선수.
5. 기타
- 스타크래프트 1 브루드워에서도 테란을 플레이했다.
- 대회에서 패배해놓고 상대방을 증거없이 방플로 비난하다가 역풍을 맞고 사과를 한 사건이 발생한다. 근거없는 방플 논란으로 물의빗어 방플삭이라는 별명을 얻은 원이삭과 함께 방플마린이라는 별명을 얻게 된다.
- 10대 시절에 경기 도중 특이한 자세로 앉아있는 모습이 포착되면서 이로 인해 외국팬들 사이에서 Big Gabe라는 별명이 생겼다. 이에 대해 선수 본인은 처음엔 다소 껄끄럽게 받아들였지만 어느새 친숙해진 탓인지 지금은 본인도 애칭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 현역 선수들 중에서는 가장 많은 트위치 채널 팔로우 수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현역 선수들 가운데 가장 활발하게 라이브 스트리밍을 하고 있다.
- Shopify 시그니처 시리즈 영상을 통해 쾰른에서 나고 자랐음을 밝혔으며 현재도 이 도시에서 가족과 함께 살고 있다고 한다.
- Clem과 함께 유럽 최고의 테란 자리를 다투고 있지만 S급 선수들 상대로 전적은 상당히 좋지 못하다. Clem을 상대로도 상대전적이 상당히 밀리며 Serral, Reynor를 상대로도 40세트 이상 뒤지고 있고 주성욱, 이병렬, 조성주, 이신형 등 S급으로 분류되는 국내 게이머들 상대로 전적이 좋지 않다. 그런데 재밌게도 김준호와의 전적은 반반, 세트 5:5, 매치 2:2로 정확히 반반이다. 2025년 현재는 Clem이 테란전에서 프로토스를 꺼내들었기 때문에 동족전이 성립되고 있지 않고, 김준호와의 전적에서도 김준호가 앞서고 있다.
- 피자 만드는 솜씨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으며 홈스토리컵에서는 일일 요리사로 등장하여 직접 만든 피자를 제공하기도 했다. 이탈리아 출신인 Reynor도 맛에 대해 호평한 적이 있다.
- 독일인임에도 불구하고 축구는 전혀 보지 않는다고 한다.
[1] 이중국적자여서 쉬운 예선 통과를 위해 IEM Season XII - PyeongChang이랑 World Electronic Sports Games에서는 이탈리아 대표로 출전했다.그러나 개인방송을 할때 보면 독일 국기만 방송 화면에 표시하며, 방송 중에 본인이 직접 이탈리아어는 조금 할줄 아는 수준이라고 하였다.[2] 참고[초청시드] [초청시드] [5] 그러나 이후에 Oliveira가 Reynor와 김준호, 조성주까지 모두 기본기로 이기고 우승을 차지하여 졌지만 잘 싸웠다는 재평가가 나왔다.[6] Team Liquid 소속의 러시아 프로토스. 본명은 니키타 구레비치로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반대하면서 네덜란드로 망명한 상태다.[7] 다만 조성주는 스2 테란 역사 상 후반 조합 컨트롤에 가장 능한 선수로 평가되기도 할 만큼 우수한 후반 운영을 가진 것은 염두에 두어야 한다. 요지는 흔히 말하는 우승권 테란들이 평균적으로 보여주는 수준의 후반 운영을 보여주지 못한다는 것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