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0-08 09:35:06

규소 규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6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1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ケイ
일본어 훈독
-
-
표준 중국어
guī,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硅는 '규소 규'라는 한자로, '규소(硅素)'를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규소
중국어 표준어 guī
광동어 gwai1
오어 kue (T1)
일본어 음독 ケイ
훈독 -
베트남어 khuê

유니코드에는 U+784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MRGG(一口土土)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돌 석)과 소리를 나타내는 (홀 규)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원래 이 글자는 虎伯切[1]에 '깨뜨리다'라는 뜻을 가지지만 거의 사용되지 않는 한자였다.[2] 그런데 1837년 일본에서 발간된 舎密開宗에서 이산화규소(SiO2)를 珪土라고 번역하면서 처음으로 규소와 관련 단어에 자를 쓰기 시작했고, 1870년대에는 (구슬 옥) 변 대신 (돌 석) 변을 쓴 硅 자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용법이 19세기, 20세기에 중국과 한국으로 전파됨에 따라 硅 자는 원래의 뜻을 잃어버리고 '규소'라는 뜻으로 정착되었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4. 유의자

  • (규소 석)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아름다울 가)
  • (계수나무 계)
  • (금규 계)
  • (화덕 계)
  • (걸 괘)
  • (걸릴 괘)
  • 詿(그르칠 괘)
  • (가를 괴)
  • 𪖢(콧숨소리 괴)
  • 𦓯(갈고랑이 규)
  • (굽정이 규, 밭갈 와)
  • (머리뼈 규)
  • (반걸음 규, 지칠 설)
  • (샛노랄 규)
  • (여자웃옷 규)
  • (큰배 규)
  • (홀 규)
  • (성낼 에)
  • (개구리 와)
  • (걷는모양 와/왜)
  • 𤞇(발바리 와)
  • (웅덩이 와)
  • (토할 와)
  • (예쁠 왜, 미인 와)
  • 𪗹(이드러날 의)
  • (신통한양 해, 화살이름 화)
  • (어채 해, 복어 규)
  • (신 혜)
  • 𦈰(질그릇 혜)
  • (밭이랑 휴/규)
  • 𩰳(시루밑구멍 휴)
  • (움펑눈 휴)
  • 𡋣
  • 𥙞
  • 𫗼

[1] 이 반절을 토대로 음을 복원한다면 '핵'이 될 것이다.[2] 광운과 광운을 인용한 강희자전에서만 볼 수 있는 글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