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6 15:30:18

물솟아오를 등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fff,#1c1d1f>
, 10획
총 획수
<colbgcolor=#ffffff,#1c1d1f>
15획
미배정
특급
-
일본어 음독
トウ
일본어 훈독
わきあ-がる, わ-く
[1]
표준 중국어
téng
* 보라색의 자형은 상용한자표에서 별도로 허용하는 자형.
  • 빨간색의 자형은 상용한자표에 없는 확장 신자체 또는 간이관용자체.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 독음, 빨간색의 독음은 비상용 독음.

1. 개요2. 상세3. 용례4. 이체자5. 유의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

滕은 '물솟아오를 등'이라는 한자로, '물이 솟아오르다', '물이 솟다' 등을 뜻한다. 그래서 '물솟을 등'이라고도 한다.

2. 상세

뜻을 나타내는 (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나 짐)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유니코드에는 U+6ED5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BFQE(月火手水)로 입력한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이체자

  • 𣎌[⿰月⿱米廾](U+2338C)
  • 𣚗[⿰舟桊](U+23697)
  • 𣹸[⿲氵⺼𠔉](U+23E78)
  • 𣽨[⿰舟𣳾](U+23F68)
  • 𤂵[⿰氵縢](U+240B5)

5. 유의자

  • (물솟을 광)
  • (물솟을 용)
  • (물솟을 출)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눈썹그릴 대)[2]
  • 𨃗[⿰月⿱𠔉足](가는모양 등)
  • 𨄇[⿰𧾷𣳾](걷는모양 등)
  • (노/꿰맬 등)
  • (등사 등)
  • 𢟱[⿰忄𣳾](망설이고어지러울 등)
  • (물결 등)
  • 𣽨[⿰舟𣳾](물솟아오를 등)[3]
  • (베낄 등)
  • /𩺭[⿰魚𣳾](쑤기미 등)
  • 𥉋[⿰目𣳾](아름다운눈모양 등)
  • /𩥱[⿰馬𣳾](오를 등)
  • (향주머니 등)
  • 𠗲[⿰月⿱𠔉冫](쌓인얼음 릉)
  • 𣎎[⿰月⿱𠔉仌](업신여길 릉)
  • /𣎒[⿰月⿱𠔉田](밭두둑 승/증)
  • (이길 승)
  • (잉아 승)
  • (남을 잉/승/싱)
  • (예쁜눈 잉)
  • (줄 잉)
  • (권)
  • 𰯙[⿰月⿱𠔉圭]
  • 𭩃[⿰月⿱𠔉夂]
  • 𪱪[⿰月⿱𠔉火]
  • 𭩅[⿰月䄅]
  • 𧜜[⿰月⿱𠔉衣]
  • 𰯈[⿰月拳]

7.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龹의 八 부분이 丷의 형태이다.[2] (눈썹그릴 대)의 동자[3] 滕(물솟아오를 등)의 동자[4] (아플 동)의 속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