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25 20:41:08

장부 예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4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8획
미배정
미배정
-
일본어 음독
-
일본어 훈독
-
-
표준 중국어
ruì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6. 여담

1. 개요

枘는 '장부 예'라는 한자로, '장부'를 뜻한다.

'장부'는 한 부재의 구멍에 끼울 수 있도록 다른 부재의 끝을 가늘고 길게 만든 부분'을 의미한다. 전근대 시절에는 이 비쌌기 때문에 목조 건물을 지을 때 장부와 구멍을 짜맞추는 식으로 기둥을 결합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6798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DOB(木人月)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나무 목)과 음을 나타내는 (안 내)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 방예원조(方枘): 둥그런 구멍에 네모진 장부가 잘 들어가지 않듯이 잘 들어맞지 않는 것을 뜻한다. 송옥(宋玉, BC 290?-222?)의 구변(九辨)에 이르길 '둥그런 구멍에 네모진 장부여, 못 들어 갈 것을 내가 잘 알고 있다.'(圜鑿方枘兮・吾固知其鉏鋙而難入)이라 하였다.# 예조(枘鑿)만으로 이 뜻을 나타내기도 한다. 《훈민정음》 정인지 서에서 '(우리말을 적는 데 중국 글자를 쓰는 것은) 예조의 어긋남이다(枘鑿之鉏鋙)'라고 한 바가 있다.
  • 환조방예(枘): 위 방예원조와 같은 뜻이다. 순서만 바꾸고 '원' 대신 '환'을 쓴 것이다.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일본어

3.6.1. 훈독

3.6.2. 음독

3.7. 중국어

3.8.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깊을 개/녑)
  • 𤿒[⿰皮內](다룸가죽 남)
  • 𪌅[⿰麥內](가지런히끊을 납)
  • 𢓇[⿰彳內](갈 납, 물러날 퇴)
  • (고삐 납)
  • (기울 납)
  • 𪗝[⿰齒內](깨물 납)
  • (도롱뇽 납)
  • (들일 납)
  • 𩚛[⿰𩙿內](먹는모양 납)
  • (메 납)
  • /𥍲[⿰柔內](부드러울 납)
  • (연약할 납)
  • (장가들 납, 어린아이살통통히찔 놜)
  • 𢁩[⿰巾內](가늘어진모양 내)
  • (사람이름 내)
  • (들어가게할 녜)
  • 𤜽[⿰犭內](앞발없는짐승 놜)[1]
  • (짐승이름 놜)
  • (뜨거울 눈)
  • (말더듬거릴 눌)
  • (말더듬을 눌, 떠들 납)
  • (물에담글 눌, 제지할 닙, 두드릴 납)
  • (발을다칠 눌, 가는모양 납)
  • 𢗉[⿰忄內](번민할 눌)
  • (살찔 눌)
  • 𣧍[⿰歹內](심란할 눌)
  • 𣅚[⿰日內](저물 눌)
  • 𥄋[⿰目內](볼 뉵)
  • 𩃠[⿰雲內](구름의모양 대)
  • (모기 예)
  • (물굽이 예)
  • 𤱅[⿰田內](납)
  • 𡭇[⿰專內](전)
  • 𪞗[⿰冫內]
  • 𰃠[⿰公內]
  • 𱙸[⿰子內]
  • 𱛋[⿰山內]
  • 𭦷[⿰星內]
  • 𰡱[⿰⺩內]
  • 𤬲[⿰瓦內]
  • 𫀃[⿰示內]

6. 여담


[1] (앞발없는짐승 놜)의 속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