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fffee1,#222222> [ruby(文学少女, ruby=ぷんがくしょうじょ)]インセイン (문학소녀 인세인) | |
가수 | 카가미네 린 |
작사 | 카라스야사보우 |
작곡 | |
영상 제작 | |
일러스트 | 紫槻さやか |
페이지 | |
투고일 | 2012년 9월 28일 |
달성 기록 | VOCALOID 전당입성 VOCALOID 전설입성 |
1. 개요
「あの子は本の読みすぎで頭がおかしくなったらしいよ」
何かを変えられる、伝えられると本気でおもったあの子は、みんなの前で何かを、ほとんど狂ったように叫びだしました
"쟤는 책을 너무 많이 읽어서 머리가 이상해진 모양이야"
무언가를 바꿀 수 있고, 전할 수 있다고 진심으로 생각한 저 아이는, 모두의 앞에서 무언가를, 거의 미쳐버린 듯이 외치기 시작했습니다
- 투고자 코멘트
카라스야사보우(カラスヤサボウ)가 작사, 작곡한 VOCALOID 오리지널 곡이다. 가수는 카가미네 린. 니코니코 동화에서 재생수 100만을 달성하여 VOCALOID 전설입성을 기록하였다.何かを変えられる、伝えられると本気でおもったあの子は、みんなの前で何かを、ほとんど狂ったように叫びだしました
"쟤는 책을 너무 많이 읽어서 머리가 이상해진 모양이야"
무언가를 바꿀 수 있고, 전할 수 있다고 진심으로 생각한 저 아이는, 모두의 앞에서 무언가를, 거의 미쳐버린 듯이 외치기 시작했습니다
- 투고자 코멘트
가사에는 일본에서 유명한 작가나 서적을 암시하는 내용이 다수 들어있다.
VOCAROCK collection 4 feat. 하츠네 미쿠에 수록되었다.
최고음은 4옥타브 레(D6).
카라스야사보우의 3번째 전설 입성곡이다.
뮤비 오른쪽 상단에 욱일기와 나치식 경례가 있으니 주의.
2. 영상
|
[nicovideo(sm18991614, width=640, height=360)] |
문학소녀 인세인 / 카가미네 린 |
3. 리듬 게임 수록
3.1. GROOVE COASTER
3.1.1. 4MAX DIAMOND GALAXY
[include(틀:GROOVE COASTER AC/채보,곡목록=보컬로이드™
,곡명=文学少女インセイン
,작곡표기=カラスヤサボウ
,작곡링크=카라스야사보우
,작곡틈=feat.
,작곡표기2=鏡音リン
,작곡링크2=鏡音リン
,버전2=
,폴더명=보컬로이드™
,BPM=200
,SIMPLE레벨=4
,NORMAL레벨=9
,HARD레벨=11
,SIMPLE노트수=261
,NORMAL노트수=490
,HARD노트수=497
,SIMPLE애드립=
,NORMAL애드립=15
,HARD애드립=15
,SIMPLE체인=1\,153
,NORMAL체인=2\,110
,HARD체인=2\,276
,주소=W_bQ2AU-NwA
,퍼펙트=
)]
4. 가사
僕も君もあいつもこいつもどいつも |
보쿠모 키미모 아이츠모 코이츠모 도이츠모 |
나도 너도 저 녀석도 이 녀석도 어떤 녀석도 |
唯の馬鹿(結論) |
타다노 바카(케츠론) |
단지 바보야(결론) |
だから匿名希望であそびましょ |
다카라 토쿠메이키보오데 아소비마쇼 |
그러니 익명 희망으로 놀아보자 |
さぁさよなら三角四角[1]でバイ! バイ! バイ! |
사- 사요나라 산카쿠 시카쿠데 바이 바이 바이 |
자, 잘 가 삼각 사각으로 바이! 바이! 바이! |
吾輩は何であれど[2]知ったことじゃないさ |
와가하이와 난데아레도 싯타코토쟈나이사 |
이 몸이 누구인지 알 바 아니지 |
と言われて(妥当) |
토 이와레테(다토오) |
라는 말을 듣고(타당) |
向上の心だって[3]持ったって |
코오죠오노 코코로닷테 못탓테 |
향상의 마음도 가졌다고 |
バカだと言われる(結局) |
바카다토 이와레루(켓쿄쿠) |
바보라는 소리를 들어(결국) |
恥の多い人生を[4] |
하지노 오오이 진세이오 |
부끄러움 많은 인생을 |
落ちてゆく斜めの太陽[5] |
오치테유쿠 나나메노 타이요오 |
떨어져가는 비스듬한 태양 |
道化師になりきり転げて[6] |
도오케시니 나리키리 코로게테 |
익살꾼이 되어 굴러서 |
人間失格サヨウナラ(笑) |
닌겐 싯카쿠 사요-나라(와라) |
인간실격은 안녕(웃음) |
トンネル抜ければ[7]惨状でした |
톤네루 누케레바 산죠-데 시타 |
터널을 벗어나면 참혹해져 |
さぁ逃げましょう! |
사아 니게마쇼- |
자, 도망치자! |
でも何処でしょう? |
데모 도코데쇼- |
그러나 어디로? |
理想の国への線路[8] |
리소-노 쿠니에노 센로 |
이상의 나라로 가는 선로 |
所詮泣けど騒げど喚けど狂えど |
쇼센 나케도 사와게도 와메케도 쿠루에도 |
결국 울어도 떠들어도 외쳐도 미쳐도 |
世界は変わらない |
세카이와 카와라나이 |
세상은 변하지 않아 |
だから檸檬(レモン)の爆弾[9] |
다카라 레몬노 바쿠단 |
그러니 레몬의 폭탄 |
仕掛けましょう! |
시카케마쇼- |
설치하자! |
さぁ僕と一緒に遊びましょう! |
사아 보쿠토 잇쇼니 아소비마쇼 |
자, 나와 함께 놀아보자! |
嗚呼僕も君もあいつもこいつもどいつも |
아아 보쿠모 키미모 아이츠모 코이츠모 도이츠모 |
아아, 나도 너도 저 녀석도 이 녀석도 어떤 녀석도 |
ただの馬鹿! |
타다노 바카 |
그저 바보! |
だから匿名希望で遊びましょう! |
다카라 토쿠메이키보-데 아소비마쇼 |
그러니 익명 희망으로 놀아보자! |
さぁ! さよなら三角四角でバイ! バイ! バイ! |
사아 사요나라 산카쿠 시카쿠데 바이 바이 바이(Bye bye bye) |
자, 잘 가 삼각 사각으로 바이! 바이! 바이! |
我思う故に悩み[10] |
와레 오모우 유에니 나야미 |
나는 생각해 고로 고민해 |
懐疑すれば脆くも壊れて |
카이기스레바 모로쿠모 코와레테 |
회의감이 들면 맥없이 무너지고 |
今僕は何故泣くの? |
이마 보쿠와 나제 나쿠노 |
지금 나는 어째서 울지? |
今僕は何故暴れ出すの? |
이마 보쿠와 나제 아바레다스노? |
지금 나는 어째서 날뛰기 시작하지? |
芸術の中身なんて |
게이쥬츠노 나카미 난테 |
예술의 내용물 따위 |
知らないほうがシアワセなのさ |
시라나이 호오가 시아와세나노사 |
모르는 편이 행복한 거야 |
神様は死にましたとさ[11] |
카미사마와 시니마시타토사 |
'신은 죽었습니다'라고 |
洗脳しましょう! |
센노오시마쇼 |
세뇌하자! |
そーしましょ! |
소-시마쇼 |
그러자! |
生きるべきかも死ぬべきなのかも[12] |
이키루베키카모 시누베키나노카모 |
살아야 하는가 죽어야 하는가 |
わからない! |
와카라나이 |
모르겠어! |
でも決めましょう! |
데모 키메마쇼- |
그래도 결정하자! |
民主的な方法で |
민슈테키나 호오호오데 |
민주적인 방법으로 |
所詮泣いて騒いで喚いて狂えば |
쇼센 나이테 사와이데 와메이테 쿠루에바 |
결국 울고 떠들고 외치고 미쳐버려도 |
拍手は大喝采! |
하쿠슈와 다이캇사이 |
박수는 대갈채! |
だから劣化のコピー(まさにこの曲)を歌いましょう! |
다카라 렛카노 코피-(마사니 코노 쿄쿠)오 우타이마쇼 |
그러니 악화의 복사본(바로 이 곡)을 노래하자! |
さあ! そうして一緒に生きましょう! |
사아! 소오시테 잇쇼니 이키마쇼 |
자! 그리고 같이 살아가자! |
アァ僕も君もあいつもこいつもどいつも |
아아 보쿠모 키미모 아이츠모 코이츠모 도이츠모 |
아아, 나도 너도 저 녀석도 이 녀석도 어떤 녀석도 |
変わらない! |
카와라나이 |
변하지 않아! |
だから奇抜なオシャレで |
다카라 키바츠나 오샤레데 |
그러니 기발한 치장으로 |
威張りましょう! |
이바리마쇼 |
뽐내보자! |
さぁたくさんころして |
사아 타쿠상 코로시테 |
자, 많이 죽이고 |
わらいましょーー! |
와라이마쇼 |
웃자! |
大事なものなら壊れて消えたよ |
다이지나 모노나라 코와레테 키에타요 |
중요한 것이라면 무너져 사라졌어 |
泣きましょう |
나키마쇼 |
울어보자 |
でも邪魔でしょ |
데모 쟈마데쇼 |
그러나 방해겠지 |
ほら(催促) |
호라(사이소쿠) |
자(재촉) |
そこのけそこのけ[13] |
소코노케 소코노케 |
비켜 비켜 |
そのままいなくなれ |
소노마마 이나쿠나레 |
그대로 없어져버려 |
頭の体操一二三四 |
아타마노 타이소오 이치 니 산 시 |
머리 체조 하나 둘 셋 넷 |
考えてみても分かんな~い!(笑) |
칸가에테 미테모 와칸나이(와라이) |
생각해봐도 모르겠어(웃음) |
ほらそれよりいつもの薬を出して |
호라 소레요리 이츠모노 쿠스리오 다시테 |
자, 그것보다 늘 먹던 약을 줘 |
アハハハハ |
아하하하하 |
아하하하하 |
革命家気取りの馬鹿に |
카쿠메이카 키도리노 바카니 |
혁명가인 척하는 바보에게 |
鉛の切符を与えよう |
나마리노 킷푸오 아타에요- |
납의 표를 주자 |
血で書かせよう |
치데 카카세요- |
피로 쓰게 하자 |
自己否定の懺悔の書 |
지코히테이노 잔게노 쇼 |
자기부정의 참회의 책 |
そうしましょ! |
소-시마쇼 |
그러자! |
所詮泣けど騒げど喚けど狂えど |
쇼센 나케도 사와게도 와메케도 쿠루에도 |
결국 울어도 떠들어도 외쳐도 미쳐도 |
世界は変わらない |
세카이와 카와라나이 |
세상은 변하지 않아 |
だからお道化お道化て |
다카라 오도케 오도케테 |
그러니 익살 떨고 익살 떨며 |
化かしましょう! |
바카시마쇼- |
속여보자! |
さぁ毒の杯あおりましょう![14] |
사아 도쿠노 사카즈키 아오리마쇼 |
자, 독이 든 잔을 들이키자! |
嗚呼なんて愚かで苦しく惨めで |
아아 난테 오로카데 쿠루시쿠 미지메데 |
아아, 이 얼마나 어리석고 심히 비참하며 |
無意味なことでしょう! |
무이미나 코토데쇼- |
무의미한 일인가! |
だからかぷかぷ笑ったクラムボンは[15] |
다카라 카푸카푸 와랏타 쿠라무본와 |
그러니 싱글싱글 웃었던 클램본은 |
アー、雨ニモマケズニ[16] |
아아, 아메니모 마케즈니 |
아아, 비에도 지지 않고 |
アハハハハ… |
아하하하하 |
아하하하하… |
そうして忘れていくのでしょう |
소-시테 와스레테이쿠노데쇼 |
그렇게 잊어가겠지 |
はい満足したなら |
하이 만조쿠 시타나라 |
자, 만족했다면 |
消えてゆけ! |
키에테유케 |
사라져버려! |
[1] 일본의 유명한 말장난 문구인 '안녕 삼각, 또 와요 사각(さよなら三角、また来て四角)', 또는 이와야 사자나미의 '삼각과 사각(三角と四角)'에서.[2] 나츠메 소세키의 <나는 고양이로소이다(吾輩は猫である)>에서.[3] 나츠메 소세키의 <마음(こころ)>에서.[4] 다자이 오사무의 <인간실격(人間失格)>에서.[5] 다자이 오사무의 <사양(斜陽)>에서.[6] 다자이 오사무의 <도화의 꽃(道化の華)>에서.[7] 가와바타 야스나리의 <설국(雪国)>에서.[8] 토머스 모어의 <유토피아>, 또는 쿠니키다 돗포의 <쇠고기와 감자>에서.[9] 카지이 모토지로의 <레몬(檸檬)>에서.[10] 르네 데카르트의 <방법서설(Discours de la méthode)>에서.[11] 프리드리히 니체의 <즐거운 학문>에서.[12]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햄릿>에서.[13] 코바야시 잇사의 하이쿠에서.[14] 소크라테스의 죽음에서. PV 중간에는 그의 제자 플라톤의 작품 <소크라테스의 변론>이 나온다.[15] 미야자와 겐지의 <야마나시(やまなし)>에서.[16] 미야자와 겐지의 <비에도 지지 않고(雨にも負けず)>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