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16:02:56

잘 침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11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4획
고등학교
일본어 음독
シン
일본어 훈독
ね-る, ね-かす,
みたまや, みにく-い, や-める
표준 중국어
qǐ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상대자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

寢은 '잘 침'이라는 한자로, '자다'를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BE2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JVME(十女一水)로 입력한다.

설문해자에 수록된 형태는 지금은 이체자로 취급하는 寑(U+5BD1)으로, 훈을 나타내는 (집 면)과 음을 나타내는 (침노할 침)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옛 자형에서는 侵 대신 빗자루를 뜻하는 (비 추)만 들어가 있다. 이에서 집을 빗질하고 쉰다는 자원이 나온다.[1] 현재 자형은 寑의 人을 이 대신한 격인데, 대개 爿은 사람이 잘 때 눕는 평상으로 해설한다.[2]

설문해자에는 또 다른 글자로 㝲(U+3772)이 수록되어 있다. (집 면), (병들 녁), (꿈 몽)이 합쳐진 㝱[3]과 帚(비 추)가 합쳐진 글자로, '병들어 누울 침'으로 풀이하여 寢과는 다른 글자로 해설한다. 그러나 강희자전에서는 이 구분을 무의미하다고 보아, 㝲을 寢의 동자로 취급했다.

3. 용례

3.1. 단어

3.2. 인명

4. 유의자

5. 상대자

  • (깨달을 각, 깰 교)
  • (깰 성)
  • (잠 깰 오)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http://qiyuan.chaziwang.com/etymology-18037.html[2] http://www.hanzi567.com/show/3766.html[3] 설문해자에서는 夢과 다른 글자로 취급하지만 사실 夢의 이체자로 간주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