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1-01 15:45:12

엿볼 현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7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9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ケン
일본어 훈독
-
표준 중국어
qiàn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6. 여담

1. 개요

俔은 '엿볼 현'이라는 한자로, '엿보다', '염탐하다' 등을 뜻한다.

2. 상세

유니코드에는 U+4FD4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BUU(人月山山)로 입력한다.

훈을 나타내는 (사람 인)과 음을 나타내는 (볼 견)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일본어

3.6.1. 훈독

3.6.2. 음독

3.7. 중국어

3.8. 기타

4. 유의자

  • (염탐할 정)
  • (염탐할 첩)
  • (염탐할 형)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쌀가루 간)
  • (강이름 견/현)
  • (고치 견)[1]
  • (닦을 견)
  • (비유할 견)
  • (작게묶은단 견)
  • (홈통 견)
  • 𣁐[⿰文見](볼 관)[2]
  • (법 규)[3]
  • 𩷪[⿰魚見](복어 규)[4]
  • 𪑈[⿰黑見](먹을갈 연)
  • 𨁍[⿰𧾷見](바르지아니할 연)
  • (벼루 연)
  • (아울러볼 요)
  • (부끄러울 전)
  • 𨡁[⿰酉見](뻔뻔스러울 전)
  • (단장할 정)
  • (보릿가루 한)
  • (고개 현)
  • (나타날 현)
  • (눈불거질 현)
  • (도롱이벌레 현)
  • (말다툼할 현)
  • (배 현)
  • (작은끌 현)
  • (진흙 현)
  • (토할 현)
  • (한정할 현)
  • (햇살 현)
  • (허리가늘 현)
  • (쇠다리묶을 혈)
  • 𫝎[⿰冫見]
  • 𠄺[⿰井見]
  • 𭘠[⿰巾見]
  • 𡫨[⿰密見]
  • 𭌊[⿰喜見]
  • 𤞭[⿰犭見]
  • 𤙧[⿰牛見]
  • 𪵄[⿰歹見]
  • 𭠺[⿰手見]
  • 𪽔[⿰田見]
  • 𦖃[⿰耳見]
  • 𬸳[⿰鹵見]

6. 여담


[1] (고치 견)의 고자[2] (볼 관)의 약자[3] (법 규)의 본자[4] (복어 규)의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