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31 11:19:02

io게임


1. 개요2. 특징3. 장점4. 단점5. 목록6. 여담

1. 개요

2015년 Agar.io을 필두로 만들어진, 다운로드하지 않고 즐길 수 있는 멀티플레이어 웹 게임. 일종의 온라인 플래시 게임이다.

많은 io 게임들이 출시되어 있기 때문에 이 문서에는 비교적 유명한 io 게임 위주로 서술되어 있다.

2. 특징

  • 다운로드와 로그인이 필수가 아니며, 처음 뜨는 창에서 바로 플레이할 수 있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 게임의 URL이 곧 제목이 되며, 보통 맨 끝에 '.io'가 붙지만 가끔씩 예외도 있다.[1]
  •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장르에 따른 특징들을 가지고 있으나, Bonk.io와 같은 예외도 있다.
  • 이 전통을 무시하고 실시간 대전 게임이기만 하면 '.io'를 붙이는 게임도 많아졌다. 모바일 게임에도 io 명칭이 많이 붙는다.[4]
  • 상대방이 인간이 아니라 봇인 io 게임도 많다. 닉네임이 모두 평범하고 영어밖에 없거나, 인터넷이 끊겨도 플레이되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3. 장점

  • 쉽게 플레이할 수 있다. 다운로드와 로그인이 필수가 아니고, 시작 화면에서 바로 접속 가능하다.
  • 저장성이 거의 없다. 만약 더 이상 플레이할 수 없거나 초기화되어도 기록이 삭제되는 경우가 없으므로 그나마 괜찮다.[5] 저장성이 없어서 매판마다 새로 플레이하면 되니까 따로 노가다할 필요가 없다. 단 도전 과제에는 저장성이 있는데, 쿠키를 삭제하게 되면 달성한 도전과제들이 날아가기 쉬우므로 계정을 만들어 하는 게임이 아니라면 저장성이 없다고 생각하면 된다.[6][7]

4. 단점

  • 금방 질린다. 많은 io 게임이 ○○키우기 식의 단순한 게임성을 가지는데, 이런 류의 게임들이 그렇듯이 가볍게 즐기기는 좋지만 많이 플레이할수록 금방 질리는 편이다. 게다가 인디 게임의 한계로 새로운 콘텐츠의 추가도 적고, 아예 업데이트가 멈춰 버린 경우도 많다.
  • 대부분 완성도가 낮다. 참신한 아이디어를 내새운 게임들이 많지만 그래픽이나 서버 랙 등에서 미흡한 부분이 많다. 물론 높은 수준의 완성도로 인기를 얻은 io 게임도 많이 있다.
  • 모바일 게임들의 인기가 높아지고 io 게임들이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되지 않으며 인기가 조금 내려간 상태이다. 밑에 있는 io 게임 목록 중에서도 유저가 없어 게임이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 게임이 있다. 현재까지도 활발하게 플레이된다고 말할 수 있는 io게임은 Hordes.io, Krunker.io, Tetr.io 정도가 있고 다른 io 게임들에서는 이전보다 유저 수가 많이 줄어든 편이다.[8]
  • 간단한 게임인 만큼 광고를 보는 횟수가 심각하게 많다. 리뷰 중 대부분이 광고를 줄여달라는 이야기인 경우가 많다.

5.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io게임/목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o게임/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io게임/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여담

  • .io 도메인은 영국령 인도양 지역ccTLD이다. io게임 뿐만 아니라 각종 IT 기업에서도 많이 애용하는 도메인이다. 나무위키의 위키 엔진 개발문의를 받는 더시드포럼도 이 도메인을 사용한다.

[1]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Agar.io를 필두로 발전해온 접근성 높은 웹게임들은 io가 붙지 않아도 io게임이라고 부르는 편이다.[2] 가끔씩 티밍을 하거나 여러 창을 동시에 돌리는 사람들이 보이기는 한다.[3] 드물게 싱글 플레이가 가능한 io 게임도 있다.[4] 게임이 아닌 프로그램에도 붙기도 하는데, Aggie.io는 웹 기반 2D 그래픽 툴이지만 이름은 io 게임에서 딴 듯하다.[5] 예를 들어 어떤 게임을 했는데 실수로 리셋같을 했거나 컴퓨터의 오류로 저장 기록이 날아가 버릴 수 있다.[6] 다만 요즘의 io 게임들에는 계정을 만들 수 있는 것들이 많다.[7] 옛날에는 그랬지만 최근에는 아가리오나 동물 키우기 게임처럼 경험치를 쌓으면 레벨이 오르거나 게임 내에 돈 개념이 있다, 또 스킨을 사는 경우도 있어서 저장이 필요하다.[8] 단적인 예로 Diep.io는 한 때 동시접속자가 수만명에 육박하던 게임이었지만 지금은 거의 10분의 1 수준인 1~4천명 대로 줄어 버렸다. 또, MooMoo.io는 핵과 봇들에게 점령당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