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02 20:06:29

The Mimic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영어 명이 The Mimic인 영화 장산범}}}에 대한 내용은 [[장산범(영화)]]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장산범(영화)#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장산범(영화)#|]]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영어 명이 The Mimic인 영화 장산범: }}}[[장산범(영화)]]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장산범(영화)#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장산범(영화)#|]]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파일:504aac81-b96e-4b7b-a4d4-ace4de7e.png파일:Red text The Mimic.png
[ 펼치기 · 접기 ]
||<tablebordercolor=#9b2121><colbgcolor=#9b2121><width=150><colcolor=#fff> 파일:chapters.png
챕터
||<colbgcolor=#000><width=850px>통제의 책 · 질투의 책 · 분노의 책 · 소생의 책 · 게임 모드 및 이벤트 ||
파일:characters.png
캐릭터
통제의 책 · 질투의 책 · 분노의 책 · 소생의 책 · 게임 모드 및 이벤트
파일:systems.png
시스템
배지 · 랜턴 · 상점 · 파일:홒.png
파일:misc.png
기타
스토리 · 이스터 에그 · 미사용 컨텐츠 · 평가 · 파일:cts.png
파일:subexperiences.png
하위 게임
파일:yokai.png · 파일:the mimic classic.png
파일:Roblox 아이콘.svg

파일:맨날바뀌는엔주괴.png

파일:504aac81-b96e-4b7b-a4d4-ace4de7e.png파일:Red text The Mimic.png
파일:CTStudio 로고.png 파일:Roblox 개발자 인증 배지.svg

파일:Roblox 플레이 단추.svg
제작 날짜
{{{#000,#fff 최근 업데이트 날짜
##플랫폼에 표시되는 날짜는 개발자의 근소한 수정만으로도 업데이트됩니다. 챕터 출시 등 눈에 띄는 업데이트가 아닌 이상 게임 플랫폼에 표시되는 날짜로는 되도록 바꾸지 마시기 바랍니다.
2025년 8월 10일
}}}
{{{#000,#fff 최대 플레이어 수
}}}
{{{#000,#fff 장르
서바이벌 / 탈출
}}}
{{{#000,#fff 플랫폼
}}}
{{{#000,#fff 커뮤니케이션
파일:Roblox 마이크 아이콘.svg 마이크
}}}
{{{#000,#fff 수위
보통: 유혈 (현실적/경미함), 폭력 (보통/때때로), 공포 (반복적/보통)[3]
}}}
SNS

1. 개요2. 상세3. 역대 아이콘4. 역대 배너5. 역대 로비6. 챕터7. 모드8. 업데이트 예정9. 등장인물10. 로어11. 상점 및 게임패스12. 랜턴13. 배지14. 이스터 에그15. 미사용 컨텐츠16. 방 만들기17. 난이도
17.1. 노멀 (Normal) 난이도17.2. 나이트메어 (Nightmare) 난이도
18. 명예의 전당(Hall Of Fame)19. 팁20. 태그21. 굿즈
21.1. MAKESHIP 콜라보
22. 수상 및 후보 지명23. 평가24. 기타

1. 개요

파일:The Mimic Original Logo V2.png

코드 기능이 이제 사용 가능합니다! 우리 커뮤니티 서버와 공지사항을 확인하고 무료 영혼을 받아가세요.

MUCDICH라는 유저가 개발한 Roblox 공포 게임이다.

2. 상세

스토리는 4개의 악한 존재에 대한 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까지는 두 개의 책이 출시되었다.[4]

또한 게임성도 나쁘지 않고 특유의 분위기 연출과 공포감이 보통 사람들이 보면 '이게 로블록스라고?' 라고 생각할 정도이고 Roblox의 상위 게임으로써는 전례없는 터라 큰 인기를 얻으면서 빠른 챕터 추가 / 업데이트로 로블록스의 호러 게임중 공포 요소가 큰 게임 치고는 엄청난 성공을 거두고 있다. 게임의 성공 이유를 2가지로 꼽자면 지속적인 유튜버들의 플레이로 인한 유입 인원 증가, 이를 통해 상단에 올라옴으로써 유입 인원이 유지되는 순환과 점프 스케어시 페널티와 점프 스케어의 공포성이 크지 않은 점.[5] 이는 곧 많은 공포게임 매니아들의 심장을 저격했고 지속적인 유입과 이를 붙잡아둘 특징 때문에 현재 접속자 수를 유지할 수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심지어,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이 게임은 단순한 공포 게임에 그치는 것이 아닌 하나의 스토리 시리즈에 가깝다. 다른 로블록스 공포 게임과의 근본적인 차이점이며, 로어 작가가 따로 있기 때문에 스토리를 알고 플레이하면 몰입감이 더욱 높아진다.[6] The Mimic: Origin이라는 통제의 책 공식 소설도 있었지만 현재 이 이야기는 리메이크 중이다. 공식적으로 이 게임을 만든 유저가 개설한 그룹을 보면 그룹 설명에 이 게임의 스토리는 일본의 도시 전설, 역사를 참고했지만 제작자 본인만의 고유 스토리 라인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게임이라고도 했다.[7] 현재 더 미믹 세계관과 디테일한 스토리는 로어 작가들에 의해 설계되고 있다.

여담으로, 게임의 내용이나 분위기가 왜색이 짙고 괴물들은 일본쪽에서 유래한 괴물이 대부분이며 주인공을 포함한 등장인물은 죄다 일본인이다.[8]

게임의 제목의 뜻은 모방, 흉내로 각 이야기의 메인 빌런들을 흉상의 괴수들(The Mimics)라고 칭하기도 하며 게임의 대부분의 장소는 각 메인 빌런들의 모방된 세계에서 진행되기 때문에 어울리는 제목이다. 즉, 예를 들어 통제의 책에서는 킨토루가 바로 The Mimic 그 자체라는 의미이다.

여담이지만 질투의 책이 출시된 뒤 동접자 수가 통제의 책만 존재했을 때보다 무려 2배나 늘었다.

3. 역대 아이콘

파일:센자카이아이콘.png
사용중 아이콘
질투의 책 챕터 4 HOF 아이콘

===# 통제의 책 아이콘 #===
파일:더미믹 테스트 아이콘.png 파일:The_Mimic_Oldest_Background.webp 파일:초기아이콘.webp 파일:미믹챕2 출시 아이콘.webp 파일:미믹챕3 출시 아이콘.webp 파일:미믹챕4 출시 아이콘.png 파일:개편 아이콘.png 파일:사이곪보스 아이콘.png 파일:카이토 아이콘.png 파일:히아치 아이콘.png
<rowcolor=#fff> 첫 번째 아이콘
테스트 플레이스 아이콘
두 번째 아이콘
가장 오래된 챕터1 아이콘
세 번째 아이콘
가장 오래된 아이콘
네 번째 아이콘
챕터 2 출시
다섯 번째 아이콘
챕터 3 출시
여섯 번째 아이콘
챕터 4 출시
일곱 번째 아이콘
리마스터 업데이트 예고
여덟 번째 아이콘
리마스터 업데이트 출시
아홉 번째 아이콘
리마스터 출시
열 번째 아이콘
리마스터 출시

===# 질투의 책 아이콘 #===
챕터 1 아이콘
파일:질투 쿄기 아이콘.png 파일:질투 린 아이콘.png 파일:질투 키신 아이콘.png 파일:검은 키신 아이콘.png 파일:더 미믹 Memeic 아이콘.png 파일:시그마 린 아이콘.png 파일:린 2d 아이콘.png 파일:나메 쿄기 아이콘.png 파일:질투 명정단 아이콘.png 파일:챕1 쿄기 아이콘.png
<rowcolor=#fff> 첫 번째 아이콘
출시 예고 아이콘 1
두 번째 아이콘
출시 예고 아이콘 2
세 번째 아이콘
출시 예고 아이콘 3
네 번째 아이콘
챕터 출시 아이콘
다섯 번째 아이콘
2022년 만우절 업데이트 출시
여섯 번째 아이콘
린&미오 만우절 아이콘
일곱 번째 아이콘
아이콘 변경
여덟 번째 아이콘
나이트메어 모드 출시
아홉 번째 아이콘
HOF 이벤트 출시 아이콘
열 번째 아이콘
리-조인 기능 출시 아이콘
챕터 2 아이콘
파일:치히로 아이콘.png 파일:엔즉하이 아이콘.png 파일:엔즈카이 아이콘2.png 파일:즈보시 아이콘.png 파일:쿠라야미 아이콘.png 파일:강령술마마 아이콘.png 파일:나메 쿠라야미 아이콘.png 파일:료시 명전당 아이콘.png
<rowcolor=#fff> 첫 번째 아이콘
챕터 2 출시 전 치히로 아이콘
두 번째 아이콘
엔즈카이 아이콘 1
세 번째 아이콘
엔즈카이 아이콘 2
네 번째 아이콘
챕터 출시 전 즈보시 아이콘
다섯 번째 아이콘
쿠라야미 아이콘
여섯 번째 아이콘
챕터 2 출시
일곱 번째 아이콘
나이트메어 모드 출시
여덟 번째 아이콘
HOF 이벤트 출시
챕터 3 아이콘
파일:챕터 예고 유레이 아이콘.png 파일:질투 챕터 3 출시 아이콘.png 파일:네지비쇼마 나메 아이콘.png 파일:유레이 그림 아이콘.png 파일:유레이 그림 아이콘2.png 파일:수정된유렠아이콘.png 파일:명전당 이벤트 예고 아이콘.png 파일:유레이 명전당 아이콘.png 파일:유레이 폐기된 명전당 아이콘.png
<rowcolor=#fff> 첫 번째 아이콘
출시 며칠 전 추가된 아이콘
두 번째 아이콘
챕터 3 출시
세 번째 아이콘
나이트메어 모드 출시
네 번째 아이콘
나이트메어 이후 추가된 아이콘
다섯 번째 아이콘
로고가 박힌 동일 아이콘
여섯 번째 아이콘
더 헌트 이벤트 종료후 아이콘
일곱 번째 아이콘
HOF 이벤트및 우승 보상 예고
여덟 번째 아이콘
HOF 이벤트 출시 아이콘
아홉 번째 아이콘
폐기된 유레이 HOF 아이콘
챕터 4 아이콘
파일:챕4 센자이 아이콘.png 파일:질투챕4출시아이콘.png 파일:질투4나메출시아이콘.png 파일:선자이HOF연습.png 파일:린HOF연습.png 파일:센자카이아이콘.png
<rowcolor=#fff> 첫 번째 아이콘
챕터 4 출시 예고
두 번째 아이콘
챕터 4 출시
세 번째 아이콘
나이트메어 모드 출시
네 번째 아이콘
HOF 연습모드 출시 아이콘
다섯 번째 아이콘
HOF 연습모드 출시 두번째 아이콘
여섯 번째 아이콘
HOF 이벤트 개최후 추가된 아이콘

===# 분노의 책 아이콘 #===
챕터 1 아이콘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rowcolor=#fff> 첫 번째 아이콘
추후 공지

===# 게임모드 아이콘 #===
마녀의 시련
파일:마재 아이콘.png 파일:마재 개편 아이콘.png
<rowcolor=#fff> 첫 번째 아이콘
게임모드 출시
두 번째 아이콘
마녀의 시련 리마스터 출시
할로윈의 시련
파일:카보보차 아이콘.png 파일:옛날 카보차 3대장.png 파일:미믹 The Haunt 아이콘.png 파일:타이요 개편 아이콘.png
<rowcolor=#fff> 첫 번째 아이콘
카보차 이벤트 출시
두 번째 아이콘
아이콘 업데이트
세 번째 아이콘
리마스터 업데이트 및 이벤트 출시
네 번째 아이콘
The Haunt 이벤트 종료 후 아이콘
지고쿠
파일:시니가미 이벤트 아이콘.png 파일:시시니 아이콘.png 파일:시니가미와 시니아치.png 파일:시니아치 아이콘.png
<rowcolor=#fff> 첫 번째 아이콘
시니가미 이벤트 예고
두 번째 아이콘
이벤트 예고 아이콘 변경
세 번째 아이콘
히아치의 부탁 출시
네 번째 아이콘
2주년 및 히아치의 부탁 재출시
크리스마스의 시련
파일:크마 출시 예고.png 파일:쿠람푸스 두번째 아이콘.png 파일:크마 출시 아이콘.png 파일:크마 나이트메어 출시.png 파일:크마 개편 업데이트 아이콘.png 파일:크람푸스 아이콘.webp
<rowcolor=#fff> 첫 번째 아이콘
크리스마스의 시련 출시 예고
두 번째 아이콘
출시 전 아이콘 2
세 번째 아이콘
크리스마스의 시련 출시
네 번째 아이콘
나이트메어 모드 출시
다섯 번째 아이콘
리마스터 업데이트
여섯 번째 아이콘
리마스터 업데이트 나메 아이콘
나이트메어 서커스
파일:NM서커스 겜모 예고.png 파일:링마스터 아이콘.png 파일:로니 아이콘.png
<rowcolor=#fff> 첫 번째 아이콘
NM 서커스 출시 예고
두 번째 아이콘
노멀/나이트메어 동시 출시
세 번째 아이콘
2022년 11월 21일 아이콘
더 헌트 이벤트
파일:레푸스 아이콘.png
<rowcolor=#fff> 첫 번째 아이콘
더 헌트 이벤트 출시

4. 역대 배너

현재 사용중인 배너
파일:미믹 히아치 배너.png 파일:린썸넬.png 파일:쿄기썸넬.png 파일:더미믹 챕터 3 썸네일.png 파일:질투나메4썸넬.png
<rowcolor=#87CEFA> 상시 고정 상시 고정 현재 사용중 현재 사용중 현재 사용중
역대 배너
파일:미믹 히아치 배너.png 파일:북1챕1썸넬.png 파일:미믹 통제 썸넬.png 파일:통제 챕3 배너.png 파일:쿠소노키 배너.png 파일:린썸넬.png 파일:쿄기썸넬.png 파일:더미믹 챕터 3 썸네일.png 파일:더헌트썸넬.png 파일:캅차썸넬.webp 파일:Chapter4YTThumbnailPic.png 파일:질투나메4썸넬.png 파일:맨날바뀌는엔주괴.png
<rowcolor=#fff> 첫 번째 썸네일
게임 출시
두 번째 썸네일
챕터 1 썸네일
세 번째 배너
통제 챕터 2 출시
네 번째 배너
통제 챕터 3 출시
다섯 번째 배너
통제의 책 챕터 4 출시
여섯 번째 배너
북 2 예고
일곱 번째 배너
질투의 책 챕터 1 배너 추가
여덟 번째 배너
질투의 책 챕터 3 출시
아홉 번째 배너
The Hunt 이벤트 출시
열 번째 배너
The Haunt 이벤트 출시 및 할로윈의 시련 리마스터
열한 번째 배너
질투의 책 챕터 4 출시
열두 번째 배너
질투의 책 챕터 4 나이트메어 출시
열세 번째 배너
질투의 책 챕터 4 HOF 연습모드 출시

==# 역대 로고 #==
파일:THE MIMIC First logo.png 파일:The Mimic Original Logo.png 파일:The Mimic Red Logo.png
<colcolor=#fff> 최초의 로고
공개일: 2021년 1월 15일
<colcolor=#fff> 두 번째 로고
공개일: 2021. 2. 28
<colcolor=#fff> 세 번째 로고
공개일: 2021년 10월 3일
파일:the mimic v2.png 파일:504aac81-b96e-4b7b-a4d4-ace4de7e.png 파일:The Mimic Red Logo V2.png
<colcolor=#fff> 네 번째 로고
공개일: 2022년 5월 4일
<colcolor=#fff> 다섯 번째 로고
공개일: 2022년 8월 9일
<colcolor=#fff> 여섯 번째 로고
공개일: 2022년 10월 4일
파일:The Mimic Winter Logo.png 파일:Red text The Mimic.png 파일:The Mimic Original Logo V2.png
<colcolor=#fff> 일곱 번째 로고
공개일: 2022년 12월 3일
<colcolor=#fff> 여덟 번째 로고
공개일: 2023년 5월 27일
<colcolor=#fff> 아홉 번째 로고
공개일: 2024년 5월

5. 역대 로비

출시때부터 현재까지 공개된 모든 로비와 사용된 테마를 서술한다.

===# 챕터 로비 #===
파일:미믹 최초의 로비.png 파일:미믹 최초 로비 2.png
▲ 메인메뉴 ▲ 로비 맵
테마 곡: Temple of Doom
첫 번째 로비
출시일: 2021년 1월 15일
파일:클래식 미믹 로비.png 파일:클미믹 로비 맵.png
<nopad>
[ UI 제거 버전 ]
파일:클미믹 로비.png
▲ 메인메뉴 ▲ 로비 맵
테마 곡: Flute Theme
테마 2: 히아치의 뮤직 박스
두 번째 로비
출시일: 2021년 2월 28일
파일:미믹 솔플 로비.png
▲ 메인메뉴
테마 곡: Mimic Solo Lobby Theme
세 번째 로비
출시일: 2021년 2월 28일
파일:첫 번째 나메 로비.png 파일:나메 로비.png
▲ 메인메뉴 ▲ 로비 맵
테마 곡: Mimic Nightmare Lobby Theme
네 번째 로비
출시일: 2021년 4월 8일
파일:미믹 나메 로비.png
▲ 메인메뉴
테마 곡: Mimic Nightmare Lobby Theme
다섯 번째 로비
출시일: 2021년 4월 10일
파일:미믹 2021년 6월 로비.png
▲ 메인메뉴
테마 곡: 테마 1
테마 2: 피아노 테마
여섯 번째 로비
출시일: 2021년 6월
파일:미믹 2022년 7월 로비.png
▲ 메인메뉴
테마 곡: 피아노 테마 (느린 버전)
일곱 번째 로비
출시일: 2021년 7월 9일
파일:네 짐승 로비.png
▲ 메인메뉴
테마 곡: 피아노 테마 (느린 버전)
여덟 번째 로비
출시일: 2021년 8월 15일
파일:미믹 2021년 할로윈 로비.webp
▲ 메인메뉴
테마 곡: It's Halloween(느린 버전)
아홉 번째 로비
출시일: 2021년 10월 3일
파일:북2 첫 로비.png 파일:북2 첫 로비 2.png
▲ 메인메뉴 ▲ 로비 맵
테마 곡: Eerie Horror Lullaby
열 번째 로비
출시일: 2022년 2월 12일
파일:저주받은 도시 로비.png
▲ 메인메뉴
테마 곡: 도시의 속삭임
열 한 번째 로비
출시일: 2022년 2월 30일
파일:눈깔 로비.png
▲ 메인메뉴
테마 곡: 으스스한 심연
열 두 번째 로비
출시일: 2022년 3월 13일
파일:키신 로비.png 파일:질투 출시 로비(3).png
▲ 메인메뉴 ▲ 로비 맵
테마 곡: 으스스한 심연
열 세 번째 로비
출시일: 2022년 3월 26일
파일:미하리 로비.png
▲ 메인메뉴
테마 곡: 피아노 테마 (느린 버전)
열 네 번째 로비
출시일: 2022년 5월 4일
파일:북1 리마스터 출시.png
▲ 메인메뉴
테마 곡: Eerie Horror Lullaby (느린 버전)
열 다섯 번째 로비
출시일: 2022년 7월 5일
파일:치히로 로비.png
▲ 메인메뉴
테마 곡: 키이로이바라의 귀환 (느린 버전)
열 여섯 번째 로비
출시일: 2022년 8월 9일
파일:나메 서커스 로비.png
▲ 메인메뉴
테마 곡: 어둠의 밤
열 일곱 번째 로비
출시일: 2022년 10월 4일
파일:미믹 크리스마스 로비.png
▲ 메인메뉴
테마 곡: 크리스마스 테마
열 여덟 번째 로비
출시일: 2022년 11월 30일
파일:쿠이신보 로비.png 파일:엔즈카이의 바다.png
▲ 메인메뉴 ▲ 로비 맵
테마 곡: 쿠이신보 테마 곡: 현실의 모방자
열 아홉 번째 로비
출시일: 2023년 5월 19일
파일:북2 할로윈 로비.png
▲ 로비 맵
테마 곡: 괴이로 물든 현실
스물 한 번째 로비
출시일: 2023년 10월 3일
파일:네지비쇼마 로비.png 파일:네지비쇼마 로비 2.png
▲ 메인메뉴
테마 곡: 쿠이신보
스물 두 번째 로비
출시일: 2023년 12월 8일
파일:유레이 로비.png 파일:2023년 겨울 로비.png
▲ 메인메뉴 ▲ 로비 맵
테마 곡: 여파 테마 곡: 사이의 세계
스물 세 번째 로비
출시일: 2024년 1월 14일
파일:레푸스 로비.png 파일:미믹 더 헌트 로비.png
▲ 메인메뉴 ▲ 로비 맵
테마 곡: 카보차의 시련 (느린 버전) 테마 곡: 사이의 세계 (느린 버전)
스물 네 번째 로비
출시일: 2024년 3월 16일
파일:미믹 2024 여름 로비.png
▲ 로비 맵
테마 곡: 사이의 세계
스물 다섯 번째 로비
출시일: 2024년 5월 7일
파일:타이요 로비.png 파일:2024년 미믹 할로윈 로비.png
<nopad>
[ UI 제거 버전 ]
파일:타이요 로비 UI제거 버전.png
▲ 메인메뉴 ▲ 로비 맵
테마 곡: 유령의 집
스물 여섯 번째 로비
출시일: 2024년 10월 25일
파일:2023년 겨울 로비.png
▲ 로비 맵
테마 곡: 징글벨
스물 일곱 번째 로비
출시일: 2024년 12월 3일
파일:용 동상 로비.png
▲ 로비 맵
테마 곡: 질투의 바다
스물 여덟 번째 로비
출시일: 2025년 1월 30일
파일:키이로이바라 컬트 로비.png 파일:북2 챕터4 로비.png
<nopad>
[ UI 제거 버전 ]
파일:Kiiroibara Menu UI Removal Ver.png
▲ 메인메뉴 ▲ 로비 맵
테마 곡: Evil Horror
스물 아홉 번째 로비
출시일: 2025년 5월 1일

===# 게임 모드 로비 #===
파일:미믹 마제 메인메뉴.png
▲ 메인메뉴
테마 곡: 마녀의 시련
첫 번째 로비
출시일: 2021년 7월 9일
파일:카보차 메인메뉴.png
▲ 메인메뉴
테마 곡: 카보차의 시련
두 번째 로비
출시일: 2021년 10월 3일
파일:미믹 크마 메뉴.png 파일:2021년 크마 겜모 로비 맵.png
▲ 메인메뉴 ▲ 로비 맵
테마 곡: 으스스한 겨울
세 번째 로비
출시일: 2021년 12월 22일
파일:해골 메인메뉴.png
▲ 메인메뉴
테마 곡: 2022년 게임모드 로비 테마
네 번째 로비
출시일: 2022년 3월 29일
파일:2022년 할로윈 잭 메인메뉴.png
▲ 메인메뉴
테마 곡: 카보차의 시련
다섯 번째 로비
출시일: 2022년 10월 4일
파일:두번째 크마 로비.png
▲ 메인메뉴
테마 곡: 으스스한 겨울
여섯 번째 로비
출시일: 2022년 11월 30일
파일:2023년 게임모드 로비.png
▲ 메인메뉴
테마 곡: 파편이 된 세계들(느린 버전)
일곱 번째 로비
출시일: 2023년
파일:질투 겜모 로비.png 파일:질투 겜모 로비 맵.png
<nopad>
[ UI 제거 버전 ]
파일:2023년 게임모드 로비 맵.png
▲ 메인메뉴 ▲ 로비 맵
테마 곡: 파편이 된 세계들(느린 버전)
여덟 번째 로비
출시일: 2023년 5월 19일
파일:2023년 겨울 겜모 메뉴.png 파일:2024 겨울 겜모 로비.png
▲ 메인메뉴 ▲ 로비 맵
테마 곡: 사이의 세계
아홉 번째 로비
출시일: 2024년 1월 14일
파일:할로윈의 시련 리메이크 메뉴.png 파일:할로윈의 시련 리멬 로비 맵.png
▲ 메인메뉴 ▲ 로비 맵
테마 곡: 할로윈의 시련 (느린 버전)
열 번째 로비
출시일: 2024년 10월 25일
파일:2024년 크마 겜모 메뉴.png 파일:2024년 크마 로비.png
<nopad>
[ UI 제거 버전 ]
파일:2024년 크마 로비 UI제거.png
▲ 메인메뉴 ▲ 로비 맵
테마 곡: 크리스마스의 귀환
열 한 번째 로비
출시일: 2025년 5월 19일
파일:2025년 게임모드 메뉴.png 파일:2025년 겜모 로비 ui제거.png
<nopad>
[ UI 제거 버전 ]
파일:2025년 겜모 메뉴 UI제거.png
▲ 메인메뉴 ▲ 로비 맵
테마 곡: 파편이 된 세계들(느린 버전)
열 두 번째 로비
출시일: 2025년 8월 8일

6. 챕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Mimic/챕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Mimic/챕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Mimic/챕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모드

7.1. 요카이(Yōkai)(개발 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Yokai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Yokai#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Yokai#|]]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The Mimic 클래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Mimic Classic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Mimic Classic#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Mimic Classic#|]]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업데이트 예정

2025년 8월 21일 공지
뮤디치: 새로운 코드가 나왔습니다! 이제 로비에 접속해 코드 입력 게임패드를 찾아 코드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코드는 Sorryforwait 입니다! 정확히 그대로 입력하면 무료 영혼 1000개를 받을 수 있습니다!

3권 개발이 시작되었습니다! 곧 아주 좋은 소식을 전해드릴 예정이에요 🙂

명예의 전당 우승자들은 오늘이나 내일 안에 태그가 추가될 예정입니다.

이 코드는 유효기간이 있으니 가능한 빨리 교환하세요!
분노의 책 챕터 1이 출시 예정이다.

  • 마녀의 시련이 개편 예정이다.
  • 모든 챕터에 감정 표현 사용이 가능할 예정이다.
  • 모든 챕터에 부활권 사용이 가능할 예정이다.
  • 디스코드 제안 채널의 기반으로 몇 가지 업데이트 예정이다.

9. 등장인물



파일:The Mimic txt.png파일:The Mimic Red Txt.png
주요 인물
[ 펼치기 · 접기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660000><bgcolor=#660000><colcolor=#fff> 주인공 ||
{{{#!wiki style="margin:-16px -11px" 파일:야스 아이콘2.png 파일:이사무 아이콘II.png 파일:미믹 물음표.png 파일:미믹 물음표.png 파일:케이코 아이콘.png
마사시게 야스
통제의 책
우치우미 이사무
질투의 책
-
분노의 책
-
소생의 책
마사시게 케이코
마녀의 시련
}}}
흉상의 괴수들
파일:킨토루 아이콘.png 파일:엔즈카이 아이콘1.png 파일:네타모아이콘3.png 파일:No remodel 유마.png
킨토루
통제의 책
엔즈카이
질투의 책
네타모
분노의 책
유마
소생의 책
지옥의 통치자
파일:시효사 아이콘.png 파일:갓신아이콘.png
시효샤
前 지옥 통치자
시니가미
하카이샤
現 지옥 통치자
흉상의 괴수들의 창조자
사무라이
파일:쿠소노키 아이콘.png 파일:아시카가 아이콘.png
마사시게 쿠스노키
통제의 책
다카우지 아시카가
질투의 책
그 외 인물
파일:센자이 아이콘.png 파일:후타오모테 아이콘.png 파일:샤쿠 프로필.png 파일:쿄기 프로필2.png
우치우미 센자이
질투의 책
마사시게 후타바
마녀의 시련
마사시게 히로사
통제의 책
쿄기
질투의 책
조직 및 단체
파일:마사시게 프로필.png 파일:키이바라 아이콘.png
마사시게 가문
통제의 책
키이로이바라
질투의 책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Mimic/캐릭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Mimic/캐릭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Mimic/캐릭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로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Mimic/로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Mimic/로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Mimic/로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상점 및 게임패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Mimic/상점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Mimic/상점#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Mimic/상점#|]]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랜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Mimic/랜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Mimic/랜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Mimic/랜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배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Mimic/배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Mimic/배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Mimic/배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이스터 에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Mimic/이스터 에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Mimic/이스터 에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Mimic/이스터 에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미사용 컨텐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Mimic/미사용 컨텐츠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Mimic/미사용 컨텐츠#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Mimic/미사용 컨텐츠#|]]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6. 방 만들기

플레이 버튼은 메인 로비의 하단 화면에서 찾을 수 있다.
파일:미믹겜로비.png
플레이 버튼을 누르면 여러 사람들이 만든 로비(파티) 목록이 보인다. 챕터의 이름과 미리보기 아이콘, 로비를 만든 사람, 난이도, 로비에 있는 사람 수가 표시된다. 또한 해당 로비에 참여한 사람들도 강조 표시한다. 만약 원하는 챕터의 방이 안보인다면 직접 방을 만들수도 있다.[9] 로비를 만들려면 플레이어는 CREATE LOBBY 버튼을 눌러야 하며, 그럼 각 챕터에 대한 책을 선택하는 화면이 나타난다. 만약 플레이어가 글로벌 로비에 참가하려면 QUEUE GLOBAL 버튼을 눌러야 한다. 특정 책, 난이도 또는 플레이어 수를 확인하고 싶다면 다른 두 버튼 아래에 있는 필터 중 하나를 누르면 된다.
파일:통제의 책 규슈 지역.png 파일:질투의 책 지역.png
CREATE LOBBY을 눌러 방을 만들 때 화면에 일본의 지리가 나온다. 현재 플레이 가능한 책은 통제의 책질투의 책이며 원하는 책을 선택할시 카메라가 각 책의 이야기가 시작되는 해당 지역을 확대시키는 애니메이션이 재생된다. 지역의 색상은 해당 책과 그 책의 메인 빌런의 특징을 나타낸다.[10]
  • 노란색: 통제의 책
  • 빨간색: 질투의 책
  • 녹색: 불명
  • 아이스 블루: 불명
파일:미믹 파티방UI.png
원하는 책과 챕터를 선택후 파티를 만들면 최대 5명의 플레이어가 있는 인터페이스가 왼쪽에 나타난다. 선택한 책과 챕터에 대한 정보가 상단에 표시되고 난이도 또한 표시된다.[11][12] 배경에는 현재 선택된 챕터의 미리보기 아이콘이 있다. 원하는 만큼 플레이어를 모았다면 아래 START버튼을 눌러 시작하면 된다.

17. 난이도

난이도는 노멀, 나이트메어 난이도로 총 2개로 나뉜다.

17.1. 노멀 (Normal) 난이도

파일:미믹 난이도 선택 (노멀).png
모든 챕터와 게임모드의 기본적인 난이도다.
리스폰이 있다. 따라서 죽어도 리스폰 지점에서 다시 되살아 난다. 질투 챕터 2, 3, 4의 노멀 난이도에서는 저장 석상이 있어 챕터 내에서 저장을 하고 로비에서 언제든지 불러와 같은 곳에서 저장한 플레이어와 같이할 수 있다. 무난하게 플레이하고 싶을 경우 추천되지만, 공략 없이 플레이할 경우에도 만만치 않게 어렵다. 공략 없이는 게임의 진행 방식을 스스로 터득하기 어렵고, 공포 게임에 익숙한 유저라도 한 챕터를 오직 스스로 터득하기 위해서는 어마어마한 시간이 소요될 수 있다. 자세한 것은 평가 문서 참고.

17.2. 나이트메어 (Nightmare) 난이도

파일:미믹 난이도 선택 (나이트메어).png
기존 챕터의 난이도를 향상한 하드모드. 괴물들의 외형이 바뀐다던지, 속도가 더 빨라진다던지 등의 기믹 강화에서 차이가 있지만 제일 눈에 띄는 차이점은 부활 기능이 없다는 것. 만약 죽었다면 로벅스를 지불하지 않는 이상 로비로 추방당하여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다만, 멀티 플레이에서는 플레이어들이 서브 챕터를 클리어하면 이전에 죽었던 플레이어들이 모두 부활한다.
파일:로벅스를 바쳐햐하는 엔즠.webp
부활 석상
허나 질투의 책 챕터 2, 3, 4 나이트메어에서는 플레이어들이 서브 챕터를 클리어 해도 죽은 플레이어들이 부활하지 않을 뿐더러 1분 이내 부활하지 않으면 부활할 수 없다. 대신 부활 석상을 통해 다른 플레이어가 대신 로벅스를 지불해 부활권이 사라진 플레이어도 부활시킬 수 있다.

질투의 책 이전 챕터들은 모두 나이트메어 클리어 시 성능과 외형이 다른 특별한 랜턴이 지급된다. 질투의 책 이후로는 노멀, 나이트메어 모두 랜턴을 얻을 수 있지만 챕터 2는 노멀에서만 랜턴을 얻을 수 있다.

질투의 책 챕터 2 나이트메어 혹은 질투의 책 챕터 3 나이트메어에서 미션을 수행하거나 맵 곳곳에 있는 동전을 주우면 주화를 얻을 수 있다.
주화는 상점에서 판매하는 랜턴을 구매할 때 사용된다. 솔로 기준 챕터 2 나이트메어는 약 1000~1200 파일:Yen.webp엔, 챕터 3은 1800~2000 파일:Yen.webp엔, 챕터 4는 5000~6400 파일:Yen.webp엔 정도 준다. 죽은 경우 부활해서 챕터를 클리어하지 않는 이상 엔은 저장되지 않으니 주의.

18. 명예의 전당(Hall Of Fame)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Mimic/Hall Of Fame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Mimic/Hall Of Fame#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Mimic/Hall Of Fame#|]]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

  • 소리를 들으면서 움직이자.
    모든 괴물들은 주위에 있을 때 웃음, 콧노래, 발소리가 나고 혹은 진동이 울린다. 이를 이용해 사전에 대비하면 도움이 된다.
  • 괴물에게 함부로 다가가지 말자.
    대부분 괴물들은 뒤를 감지하지 못하지만 뒤를 돌아보는 것이 패턴인 것도 대부분이다. 따라가다가 스테미너 없어서 도망도 못치면 그냥 황천길이다. 질투의 책 같은 경우에는 플레이어의 발자국을 인지하는 괴물들이 대거 있기에 뒤를 더 자주 돌아본다.
  • 괴물의 패턴을 익혀두면 도움이 된다.
    모든 괴물은 일정한 경로로 다닌다. 물론 몇몇 괴물들은 그 경로가 랜덤이지만 늘 일정한 괴물들은 익혀두면 굉장히 유용하니 참고.
  • 어그로를 막 끌지말자.
    어그로를 끌면 괴물의 패턴이 꼬여 더 어려워진다. 남이 어그로 끌어주고 그 사이에 다른 사람이 진행을 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다.[13] 정말 어려워서 진행을 못하겠거나 통제의 책 챕터3의 호수나 마녀의 시련처럼 어그로가 1번 이상은 무조건 끌릴 수 밖에 없는 특수한 경우 혹은 패턴이 꼬여도 감당 할 수 있는 것 아니면 그냥 안 들키면서 가자. 다만 통제의 책의 사이고모와 질투의 책의 괴물들처럼 패턴이 일정하지 않은 괴물은 어그로를 끌고 그 사이에 진행하는 것이 오히려 도움이 될 수도 있다.
  • 막 뛰어다니지는 말자.
    이 게임은 스테미너라는 시스템이 있어서 때에 따라 스테미너를 적당하게 잘 활용하자.

20. 태그

태그는 2022년 1월 2일에 처음 공개되었다. 태그란, 게임 내 로비에서 플레이어의 닉네임 위에 뜨는 것 이다.

태그를 얻는 것은 꽤 어렵다. VIP나 HOF와 같은 태그는 게임 패스를 구매하거나 이벤트에서 승리하면 얻을 수 있지만, 게임 내 존재하는 태그 중 일부는 개발자가 특정 유저들을 위해 만들어준 커스텀 태그가 존재한다. 이러한 태그의 경우 일반적으로 얻는 것은 거의 불가능하다. VIP와 HOF 태그를 제외한 다른 모든 태그들은 커스텀 태그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존재 하는 태그들 중 대부분이 개발자 및 직원과 관련된 태그도 들이지만 일부 플레이어들에게 농담 관련 태그를 지급하기도 한다.

현재까지 알려진 태그는 총 25개 이다.[14][15]

이 문단에 서술되지 않은 일부 태그들과, 각 태그들의 인 게임 스크린샷은 여기에서 확인 가능하다.[16]

여담으로 커스텀 태그를 얻으려면 미친듯이 운이 좋거나 또는 무엇이든 큰 일을 해내야한다.

아래 이외에도 개발자 전용, 장난용 태그가 상당히 많이 존재한다.
  • VIP
    699로벅스로 살 수 있는 VIP 게임패스를 구입하면 얻게 된다.
  • HALL OF FAME
    HOF에서 우승할 시 얻게 된다.
  • YOUTUBER
    더 미믹을 주제로 하는 유튜버들에게 지급된다.[17]
  • Honorary Guest
    유튜브 구독자 10만명을 달성하면 얻을 수 있다.
  • TESTER
    게임 테스터가 소유한다.
  • DEVELOPER
    개발자들에게 지급.
  • SR DEVELOPER[18]
    Sythivo와 Cactus이 소유한다.
  • R6 Animator
    R6 애니메이터들이 소유한다.
  • THE MIMIC
    뮤디치가 소유하고있는 칭호.

21. 굿즈

21.1. MAKESHIP 콜라보

<nopad>
The Mimic x Makeship 트레일러
파일:MAKESHIP 더미믹 콜라보.png
Makeship plushies 배너
2023년 9월 18일 MAKESHIP과의 콜라보를 예고했었다. 콜라보 제품 출시 한참 전 2023년 6월 11일에 어떤 캐릭터의 인형을 가장 원하는지에 대해 투표를 진행했었다.[19] 그중 비와키와 킨토루가 가장 투표 수가 많았고, 2023년 10월 25일부터 11월 29일까지 킨토루와 비와키 봉제 인형이 구매할수 있었다.[20] 또한 뮤디치는 또 다른 인형이 출시될 가능성이 있다고 답했다. 출시한다면 질투의 책 캐릭터들로 인형이 출시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Kintoru Plush
파일:킨토루인형.png
판매 기간
2023/10/25 ~ 2023/11/29(연장)
A puppet master, a manipulator, a powerful evil entity now within the palm of your hands!
꼭두각시 조종자, 속임수, 강력한 악의 존재가 이제 당신 손 안에 있습니다!
구매 링크
Biwaki Plush
파일:비와키 인형.png
판매 기간
2023/10/25 ~ 2023/11/29(연장)
As if she wasn't already a puppet! Now she is a plushie, a huggable one.
마치 그녀가 이미 꼭두각시가 아니었던 것처럼! 이제 그녀는 봉제인형, 안을 수 있는 인형이 되었다.
구매 링크

22. 수상 및 후보 지명

년도 수상 종류 결과
2022 Roblox Innovation Awards
로블록스 이노베이션 어워드
고품질 사운드트렉 디자인
Best Audio Design
지명됨
Nominated
2024 Roblox Innovation Awards
로블록스 이노베이션 어워드
높은 공포성
Best Horror
지명됨
Nominated

23. 평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The Mimic/평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Mimic/평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The Mimic/평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기타

  • 6인 제작이다.[21][22] 그러나 퀄리티가 매우 좋은 만큼 업데이트 속도가 그리 빠른 편이 아니다.[23]
  • 제작자가 말하길, 4개의 책까지 제작 확정이 되었다고 한다.
  • 2021년에는 멀티 플레이와 싱글(Solo) 플레이 로비가 따로 있었다. 멀티 플레이를 선택하면 우리가 아는 기본 로비로 이동되지만, 솔로 플레이를 선택할 경우엔 솔로 플레이 전용 로비로 텔레포트되었다. 나이트메어 모드 로비 또한 따로 있었으며, 나이트메어 모드를 선택하면 나이트메어 로비로 텔레포트 했다.[24]
  • 2021년 7월 9일에 처음 게임 모드가 출시되었다. 게임 모드 전용 로비도 출시되었고 그곳에서 여러 종류의 이벤트를 출시했다. 현재 유일한 공식 게임 모드 챕터는 마녀의 시련밖에 없다. 나머지는 전부 이벤트성 챕터이기에 공식 챕터가 아니다.
  • 서브 챕터를 손 하나 까딱 안 하고 순식간에 클리어 하는 것이나, 맵이 모두 밝게 보이는 등의 핵과 같은 핵을 드물게 만날 수 있다.
    • 플레이어가 이러한 핵 (Exploit)을 사용하다 금지되면 벤을 당했다는 문구가 나온 후 자동으로 The Deep End 라는 플레이스로 텔레포트 된다. 화면에는 벤을 당한 이유와 금지 기간이 나오는데,[25] 하지만 여기서 1000로벅스를 기부하면 금지가 자동으로 해제된다. 이 영상에서 이 금지 방식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확인할수 있다. [26]
  • The Mimic: Origins이라는 공식 소설이었으나 현재 비공식인 소설이 있다. 여기서 리메이크 전의 통제의 책의 스토리의 등장인물들이 괴물이 되는 이야기 등 게임에서는 볼 수 없는 이야기들을 살펴볼 수 있다. 비공식인만큼 이 소설의 내용은 대부분 신뢰할 수 없는 정보인 것을 명심해야 한다.
파일:더미믹 일본 지리.png
  • 게임 내에서 방을 만들 때 일본의 지리가 나온다. 그리고 각 책에 해당하는 지역이 확대된다. 통제의 책은 일본의 규슈, 질투의 책은 일본의 주고쿠, 간사이, 주부, 간토 지역이 나온다. 각 흉상의 괴수들이 봉인된 지역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지도에는 꽤 모순이 많고 폐기된 설정을 다소 포함하고 있어서 크게 맹신하지 말 것.
  • 질투의 책 챕터 2 출시와 동시에 저장/부활 석상이 생겼다. 노멀 모드에서는 특정 서브 챕터를 저장하고 로비에서 그 서브 챕터를 바로 플레이 할 수 있으며 나이트메어 모드에서는 이미 죽은 다른 플레이어를 살릴 수 있다. 저장의 경우 1슬롯밖에 저장하지 못하며 나머지 슬롯을 늘리려면 1개 당 50로벅스를 지불해야 한다.[29]
  • 로비에도 석상이 있는데, 부활권 구매에 사용된다.[30][31]
    파일:로벅스를 바쳐햐하는 엔즠.webp
  • 게임 내 AMOGUS 밈이 상당히 많이 나온다. 만우절 이벤트나, 제작자 전용 랜턴이나, 심지어 인 게임 질투의 책 챕터 3 숨은 물건 찾기에서도 간혹 AMOGUS가 나온다. [32]

[로비] [게임 모드 로비] [3] 과거 연령 가이드라인 등급은 13세였다. 괴물들의 생김새, 점프스케어, 그리고 조금은 잔혹한 스토리의 내용을 감안하면 실질적으로 15세 이용가이다.[4] 세 번째 책은 현재 출시 예정이다.[5] 점프 스케어들이 플레이 중 노이즈를 제외하면 예측 가능하고 점프 스케어 / 점프 스케어가 가능한 상황의 빈도가 너무 잦아 의미가 퇴색되는 점도 있다.[6] 때문에 게임만으로는 스토리를 완전히 이해하기 힘든 면이 있다.[7] 미믹의 영감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뮤디치대부분의 영감은 제가 평생 동안 접했던 애니메이션, 영화, 드라마, 꿈, 그리고 다른 게임 등 미디어에서 얻었습니다. 라고 답했다.[8] 다만 통제의 책에 주인공인 마사시게 야스는 스토리에서 미국으로 이사를 온 일본인이다.[9] 현재 로블록스 UI 업데이트 문제로 인해 모바일에서 파티를 만드는건 어려울수도 있다.[10] 그러나 이 지도에는 꽤 모순이 많고 폐기된 설정을 다소 포함하고 있어서 크게 맹신하지 말 것.[11] 난이도가 나이트메어 모드일시 인터페이스 상단에 한냐의 얼굴이 나타난다.[12] 난이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13] 친구와 같이 플레이할 경우는 제외[14] 이보다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15] 대부분의 태그들은 정해진 색상대로만 보이지만 몇몇 희귀한 태그들은 글로우가 있어서 색상이 빛춰지며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이 포함되어있기도 한다.[16] 미믹의 모든 태그 관련 내용을 서술한 문서 링크다.[17] 물론 당연히 모든 유튜버에게 지급되지 않고 기준이 있다. 유튜버 태그를 얻으려면 1 만명의 구독자를 달성해야한다, 또한 자격요건을 충족 했다고 바로 얻는 것이 아닌 다음 큰 업데이트 출시와 함께 태그를 얻는다. 개발자들은 해당 채널을 철저히 검토해 태그를 얻을 자격이 있는지도 확인한다.[18] Senior Developer.[19] 1.센자이 2.비와키 3.히아치 4.킨토루 5.엔즈카이 6.나기사 7.치히로 8.쿠라야미 9.린&미오 10.우시오니/즈보시[20] 현재는 판매가 종료되어 더 이상 구매할 수 없다.[21] MUCDICH, Sythivo, CactusHasDied, Ciovz, Poopacod, Ampient[22] 여러 기여자도 있기에 실질적으로 총 개발자는 6명 이상일 때도 있다.[23] 다만 실질적으로는 챕터 제작 과정 속도가 매우 빠른 편에 속한다. 옆 동네 공포 게임만 보더라도 업데이트 시간이 상당한데 더 미믹은 요카이라는 게임까지 동시에 만들고 있는 지라 질투의 책은 평균적으로 1년 주기로 출시하나 질투의 책 챕터 2는 3~4개월 만에 만들어졌다고 밝혔으며, 질투의 책 챕터 4의 개발 인력은 최대 4명씩 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단 옆동네는 기존 게임들을 거의 유기하다시피 해서 그런 것도 있다.[24] 다만 솔로 플레이 로비에선 노멀 모드, 나이트메어 모드 상관없이 버튼만 몇번 누르면 바로 해당 챕터로 이동이 가능했다. 따라서 메인메뉴만 있었을 뿐, 그 장소를 돌아다니는걸 못했다.[25] 365일 금지 아니면 영구정지.[26] 지금은 이러한 금지 방식이 없어진 걸로 보인다.[27] 미믹의 첫 로고에 사용된 폰트다. 현재는 게임 내 일부 글씨에 사용된다.[28] 미믹의 일부 글씨와 요카이 로고에 사용됨.[29] VIP 패스를 구매하면 무료로 2 개의 슬롯을 준다.[30] 부활권 가격은 파일:Robux 아이콘.svg 99 로벅스, 파일:Butterflies (1).png 200 영혼이다.[31] VIP 패스 소유자는 매주 게임에 들어올 때마다 부활권 하나가 무료 지급된다.[32] 질투의 책 챕터 4에서는 아예 스닉 픽에서 AMOGUS 사진을 보여주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