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5 18:29:44

RIVALS/팁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RIVALS|RIVALS]]

<bgcolor=#000>
파일:RIVALSlogo.png
인게임 요소
무기
스킨 · · 장식
킬 모션
듀얼
게임 외 정보
{{{#!wiki style="margin: -16px -10px" 업데이트 목록 }}}

1. 개요2. 무기 조합
2.1. 속공형 무기2.2. 점사형 무기2.3. 폭발형 무기2.4. 산탄형 무기2.5. 저격형 무기2.6. 화염방사기2.7. 건블레이드2.8. 활2.9. 미니건2.10. 나이프
2.10.1. 백 슬라이딩 + 찌르기
2.11. 그 외 무기
3. 기술 팁
3.1. 슬라이딩 + 점프3.2. 빠른 근접무기 + 무기 스킬3.3. 빠른 유틸리티3.4. 재장전 캔슬3.5. 피킹3.6. 폭발성 탄환 + 2단 점프

1. 개요

RIVALS에서 플레이어에게 유용한 팁들을 서술하는 문서.

2. 무기 조합

무기의 조합에 따라 전략과 컨트롤이 달라진다. 여타 게임처럼 주관적인 사실이 많기 때문에 아래의 조합을 반드시 따를 필요는 없다.

스킨을 변경할 경우 공격 소리 또는 모션이 바뀌어 편의성이 향상되기도 한다.

2.1. 속공형 무기

속공형 무기 조합
주무기 보조무기 근접무기 유틸리티
돌격소총
페인트볼 총
리볼버
우지
쇼티
스프레이
엑소건

카타나
전투 도끼
전기톱
화염병
가방 폭탄
구급상자
뿔피리
속공형 무기들은 탄환을 빠르게 발사해 상대를 압박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의 재장전 시간을 보완하거나 속공으로 체력이 부족한 상대를 처치하기 용이한 무기들과 주로 조합된다.
  • 보조무기
    • 리볼버: 강한 한 방의 피해로 상대를 확실하게 견제 및 처치할 수 있다.
    • 우지: 빠른 발사속도로 상대에게 오랫동안 압박을 가할 수 있다.
    • 쇼티: 근거리에서 상대의 체력을 순식간에 바닥낼 수 있다.
    • 스프레이: 점사형 무기로서 한번에 높은 피해를 누적시킬 수 있고, 반사당할 위험이 없어 안정성이 높다.
    • 엑소건: 범위 피해를 줄 수 있으며, 재장전 속도가 빨라 무기를 교체할 시간을 손쉽게 마련할 수 있다.
  • 근접무기
    • : 빠른 근접무기 사용 + 돌진을 통해 재장전 시간을 단축하고, 높은 기동성을 통해 다시 전면전에 복귀할 수 있다.
    • 카타나: 상대의 공격을 반사해서 견제하고, 그대로 상대를 밀어붙일 수 있다.
    • 전투 도끼: 높은 공격 편의성을 가져 피해량 누적에 용이하다.
    • 전기톱: 먼 거리를 신속하게 이동함으로써 상대를 더 쉽게 공격할 수 있는 상황을 마련한다.
  • 유틸리티
    • 화염병 / 가방 폭탄: 보조적으로 피해를 누적시켜 상대의 체력을 고갈시킨다.
    • 구급상자: 지속적으로 상대를 공격해 필연적으로 체력 손실이 일어나는 속공형 무기의 안정성을 보완한다.
    • 뿔피리: 가속 버프를 제공해 상대를 더 쉽게 공격할 수 있는 상황을 마련한다.

해당 조합은 장거리전을 제외한 대부분의 거리에서 비슷한 성능을 보여줄 수 있으며 거의 모든 맵에서 사용된다.

2.2. 점사형 무기

점사형 무기 조합
주무기 보조무기 근접무기 유틸리티
점사소총 리볼버
엑소건
스프레이
카타나

진압 방패
가방 폭탄
화염병
구급상자
점사형 무기들은 공격에 공백이 존재하지만 피해량이 높아서 탄퍼짐이 줄어드는 조준 사격 시 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인다.
  • 보조무기
    • 리볼버 / 엑소건: 체력이 부족한 상대를 쉽게 처치할 수 있다.
    • 스프레이: 점사소총과 같은 점사형 무기라서 비슷하게 운용할 수 있다.
  • 근접무기
    • 카타나 / 진압 방패: 자신이 공격 후 곧바로 상대의 공격을 반사 / 방어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 낫: 히트 앤 런이 주력인 점사형 무기의 기동성을 보충한다.
  • 유틸리티
    • 가방 폭탄 / 화염병: 공격 도중 사용해 피해량을 추가로 누적시킬 수 있다.
    • 구급상자: 안정성을 보완하며, 점사형 무기와 사용될 경우 재정비 시간이 충분히 마련된다는 이점을 가진다.

해당 조합은 중장거리 교전에 능하며, 복잡한 맵에서는 후술할 컨트롤 '피킹'과 병행할 경우 더 강력한 성능을 발휘한다. 다만 상대의 기습과 같은 근접전이 발생하면 공격에 공백이 있어 대처가 어려워진다는 점에 주의해야 한다.

2.3. 폭발형 무기

폭발형 무기 조합
주무기 보조무기 근접무기 유틸리티
RPG
유탄발사기
투척용 쌍단검
리볼버
플레어건
주먹
전투 도끼
화염병
가방 폭탄
폭발형 무기는 특유의 탄환으로 높은 명중률과 기동성을 선보이며, 여러 무기들과 조합된다.
  • 보조무기
    • 투척용 쌍단검: 2단 점프를 보유하고 있어 기동성을 보충할 수 있다.
    • 리볼버: 폭발성 탄환에 의해 체력이 떨어진 상대를 빠르게 처치할 수 있다.
    • 플레어건: 폭발형 무기들과 마찬가지로 좁은 맵에서 유리해 함께 조합되는 경우가 많다.
  • 근접무기
    • 주먹: 2단 점프를 보유하고 있어 보다 오래 폭발의 반동으로 비행할 수 있다.
    • 전투 도끼: 폭발형 무기와 조합될 경우 상대의 체력을 순식간에 바닥낼 수 있다.
    • 낫: 기동성을 제공하지만 폭발형 무기와는 궁합이 별로 좋지 않으며, 이때는 보조무기의 기동성을 보좌하는 느낌이 강해진다.
  • 유틸리티
    • 화염병: 보조적으로 피해를 누적시킬 수 있으며, 좁은 맵에서 유리한 경향을 보인다.
    • 가방 폭탄: 비행 도중 사용해 더 오래 공중에 머무를 수 있다.

해당 조합은 주로 백룸, 건설 현장과 같이 면적이 좁고 지형이 복잡한 맵에서 주로 사용되며, 아래의 폭발성 탄환 + 2단 점프 컨트롤을 주력으로 사용한다.

2.4. 산탄형 무기

산탄형 무기 조합
주무기 보조무기 근접무기 유틸리티
산탄총 쇼티
리볼버
전투 도끼
카타나
얼음 광선총
화염병
구급상자
산탄총과 쇼티는 낮은 피해를 주는 펠릿을 많이 발사하기 때문에 근접전에서 유리하며, 장탄수와 발사속도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있다.
  • 리볼버: 상대에게 접근하기 어려울 경우, 쇼티 대신 사용해 상대를 견제하는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
  • 근접무기: 대부분의 무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주로 피해량 및 후딜레이 캔슬에 도움을 주는 전투 도끼와 재빠른 기동이 가능한 낫이 높은 사용률을 보인다.
  • 얼음 광선총: 상대를 빙결시켜 산탄총, 쇼티의 안정성을 보완한다. 또한 상대를 빙결시킨 후, 그대로 쇼티의 전탄을 치명타로 적중시키면 상대를 즉사시킬 수 있다.
  • 화염병: 보조적으로 피해를 누적시킬 수 있다.
  • 구급상자: 체력을 회복시켜 산탄총, 쇼티의 안정성을 직접적으로 보완한다.

산탄총과 쇼티는 조준 시 펠릿들의 탄퍼짐이 범위가 소폭 줄어드는 기능이 있기에 조준하면서 사격 후 빠르게 조준을 해제할 경우 탄퍼짐의 범위를 좁힐 수 있어 타 조준 시 탄퍼짐 범위가 줄어드는 무기들보다 조준 사격 효율이 좋다. 그러나 조준 시에는 딜레이가 있기 때문에 명중률에 지장을 줄 수도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해당 조합은 주로 부두, 건설 현장과 같이 근접전이 성립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면적을 가진 맵에서 주로 사용된다.

2.5. 저격형 무기

저격형 무기 조합
주무기 보조무기 근접무기 유틸리티
저격소총
석궁
리볼버
쇼티
새총
우지
엑소건
주먹
카타나
구급상자
아공간 지뢰
섬광탄
저격소총과 석궁은 장거리 저격에 유리하며, 보조 무기로는 근~중거리 교전이 가능한 무기를 사용한다. 사용되는 보조 무기들에 관한 정보는 위의 속공형 무기 문단을 참고.
  • 구급상자: 조준으로 인해 떨어지는 두 무기의 안정성을 체력을 회복시킴으로써 직접적으로 보완한다.
  • 섬광탄: 저격 위치가 대부분 높은 지점이라는 것을 이용해 상대를 손쉽게 실명시켜 행동을 막을 수 있다.
  • 아공간 지뢰: 일부 좁은 맵에서는 에어본을 이용해 공중으로 올라가 빠르게 상대를 사살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 주먹: 저격소총의 경우 발사속도가 매우 느리나 주먹을 사용 시 모 게임 처럼 버그성 테크닉이 가능하다.

저격소총은 피해량이 높지만 미조준 시 탄퍼짐이 극도로 뒤틀리기 때문에 보조 무기나 퀵 스코프(패줌)를 사용해야 하며, 석궁은 탄퍼짐이 없지만 피해량이 낮고 장탄수가 적어 재장전 및 재정비를 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해당 조합은 주로 교차로, 스플래시와 같이 중~장거리 교전이 가능한 넓은 맵에서 사용된다.

2.6. 화염방사기

화염방사기 조합
주무기 보조무기 근접무기 유틸리티
화염방사기 리볼버
엑소건
새총
플레어건
화염병
뿔피리
구급상자
화염방사기는 근접전에서 매우 강력한 공격 성능을 발휘하지만 사거리가 제한되어 있어 거리를 벌리는 상대를 견제하는 보조무기를 사용한다.
  • 엑소건: 준수한 피해량과 빠른 발사 속도로 상대를 끊임없이 견제해 근접전을 강제할 수 있다.
  • 리볼버: 엑소건과 비슷하나 이쪽은 발사 속도가 느린 대신 피해량이 더 높다.
  • 새총: 거리를 벌리는 상대를 압박할 수 있고, 체력이 부족한 상대를 끝장낼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 플레어건: 맵이 좁을 경우 이쪽이 유용하게 사용되며, 근접전이 자주 일어나 화염방사기에게도 유리하다.

근접무기는 웬만한 상황에서 기동성을 높이는 낫을 사용하며, 유틸리티는 안정성을 보완하는 구급상자나 보조적으로 피해를 누적시키는 화염병, 상대에게 빠르게 다가가기 위한 뿔피리를 주로 사용한다.

해당 조합은 높은 기동성을 통해 상대에게 빠르게 접근할 수 있어 맵의 면적이 지나치게 넓지 않다면 대부분 사용될 수 있다.

2.7. 건블레이드

건블레이드 조합
주무기 보조무기 근접무기 유틸리티
건블레이드 투척용 쌍단검
플레어건
새총
전투 도끼

진압 방패
전기톱
뿔피리
화염병
가방 폭탄
건블레이드는 공격을 명중할 때마다 총 및 검 상태가 변경되기 때문에 일반적인 주무기들과 완전히 다른 전략과 컨트롤이 필요하며, 주로 피해량 누적에 용이한 무기를 사용한다.
  • 플레어건, 전투 도끼, 가방 폭탄: 높은 피해량을 한 번에 누적시키기 때문에 건블레이드와 조합하면 공격 몇 번만에 상대를 사살할 수 있다.
  • 새총: 건블레이드의 중~장거리 교전력을 보완한다.
  • 투척용 쌍단검: 치명타 배율이 높고 공격 속도가 빨라 보조적으로 피해를 누적시킬 수 있으며, 건블레이드의 높은 기동성을 더욱 증가시킨다.
  • 낫: 건블레이드의 돌진과 낫의 돌진을 같이 사용하면 말 그대로 엄청난 속도로 이동 및 접근이 가능하다.
  • 진압 방패: 근접무기와 유사하게 운용되는 건블레이드에게 방어를 제공하며, 진압 방패의 단점인 낮은 근접 공격 성능이 사실상 상쇄된다.
  • 전기톱: 전기톱의 능력이 아닌, 60의 피해량으로 인해 총 상태에서 치명타를 입히는 것에 실패하여도 비교적 안정적으로 적을 빠르게 처치가 가능한 것이 매리트이다.
  • 뿔피리: 완전한 근접무기로 이용할 경우, 높은 이동속도로 다가가 상대를 도륙낸다.

해당 조합은 주로 상대에게 접근하기 쉬운 좁은 맵에서 사용된다.

2.8.

활 조합
주무기 보조무기 근접무기 유틸리티
리볼버
새총
엑소건
투척용 쌍단검

전투 도끼
가방 폭탄
화염병
활은 넓은 공격 히트박스와 높은 피해량을 지니고 있어 손쉽게 공격을 명중할 수 있다. 나머지 무기들은 활의 피해량을 보충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한다.
  • 리볼버, 전투 도끼: 타 무기에 비해 높은 피해량을 가져 더 빠르게 상대를 사살할 수 있다.
  • 새총, 엑소건, 화염병: 피해 누적 속도와 피해량이 모두 준수해 상대를 끊임없이 압박할 수 있다.
  • 투척용 쌍단검, 낫: 피해량은 그리 높진 않지만 활의 기동성을 보조하며, 낫은 후딜레이 캔슬에 도움을 준다.

해당 조합은 활의 메커니즘 설계 자체가 우월해 모든 거리에서 비슷한 성능을 보여 사실상 모든 맵에서 사용된다.

2.9. 미니건

미니건 조합
주무기 보조무기 근접무기 유틸리티
미니건 플레어건
엑소건
카타나
진압 방패
구급상자
화염병
미니건은 많은 양의 탄약이 모두 장전된 상태이기 때문에 순식간에 높은 피해를 줄 수 있지만 매우 느린 이동 속도와 예열이 존재한다.
  • 플레어건: 특정 구역을 장악함으로써 상대의 이동 경로를 제한해 반강제적으로 서로 대치할 수 있다. 또한, 이동 속도를 +10% 제공해 빠르게 움직일 수 있다.
  • 엑소건: 체력이 부족한 상대를 손쉽게 끝장낼 수 있다.
  • 화염병: 보조적으로 피해를 누적시킬 수 있다.

미니건은 매우 느린 이동 속도로 인해 회피가 사실상 불가능하므로 방어적인 성능을 지닌 카타나, 진압 방패, 구급상자를 사용한다.

속공형 무기처럼 거의 모든 맵에서 교전이 가능하나, 이동 속도가 느려서 저격소총, 나이프와 같은 강한 한 방의 공격을 가진 무기들을 상대할 때는 기피하는 것이 좋다.

2.10. 나이프

나이프 조합
주무기 보조무기 근접무기 유틸리티
유탄발사기
저격소총
돌격소총
산탄총
쇼티
리볼버
나이프 '''얼음 광선총
연막탄'''
섬광탄
구급상자
나이프는 조건을 만족하면 상대를 즉사시킬 수 있지만 상대에게 접근해야 해서 안정성이 떨어지며, 때문에 안정성을 보완할 수 있는 무기들을 사용한다. 주무기, 보조무기들에 관한 정보는 각각 저격형, 속공형, 산탄형 무기 문단을 참고.
  • 유탄발사기: 실력만 충분하다면 대상에게 매우 빨리 접근해 아주 간단히 적을 처리할 수 있다.
  • 얼음 광선총: 상대를 빙결시켜 나이프의 안정성을 보완하며, 나이프로 빙결된 상대를 즉사시키기 위해서는 상대의 빙결 상태가 풀릴 타이밍을 예측하거나, 폭발형 무기가 아닌 무기로 1회 공격 후 하술할 빠른 근접무기와 연계해야 한다.[1]
  • 연막탄: 상대의 시야를 교란시킬 수 있으며, 자신이 심리전에 능할 경우 그대로 상대를 암살할 수 있다.
  • 섬광탄: 상대를 실명시켜 행동을 막을 수 있다.
  • 구급상자: 체력을 회복시켜 나이프의 안정성을 직접적으로 보완한다.

해당 조합은 주로 상대와의 대면이 자주 일어날 수 있도록 좁고 지나치게 복잡하지 않은 맵에서 사용된다.

2.10.1. 백 슬라이딩 + 찌르기

국내에서는 보통 '칼찌\' 라는 애칭으로 불린다.

나이프의 즉사 판정은 자신이 적의 후면을 찌르는 것뿐만이 아니라, 자신의 후면이 적의 정면에 접촉할 때 찌르는 것도 즉사 판정으로 인정되기에 이를 이용한다면 더 수월하게 상대를 사살할 수 있다. 운용 난이도는 상당히 높은 편이다.

백 슬라이딩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자신의 후면을 적의 정면에 접촉시키기만 하면 되기에 일반 슬라이딩 도중 시야를 180도 회전해도 문제없이 가능하다. 수평으로 슬라이딩하며 어깨 부분을 노리면 더 쉽게 조건을 충족할 수 있다.

2.11. 그 외 무기

  • 에너지 소총은 벽에 튕기는 에너지 빔의 특성으로 인해 벽이 많은 맵에서 주로 사용된다.
  • 에너지 쌍권총은 무제한의 탄약을 보유한 동시에 피해량이 낮아 여러 조합에서 사용되지만, 얼마든지 다른 무기로 대체될 수 있다.
  • 새총은 벽에 튕겨지는 탄환을 통해 체력이 부족한 상대를 끝없이 압박할 수 있다.
  • 모종삽은 벽으로 장애물 겸 엄폐물을 만들 수 있으며, 벽을 무너트려 멀리 이동하는 등의 변칙적인 활용이 가능해 여러 조합에서 사용될 수 있다.
  • 뿔피리는 모든 아군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어 대부분의 조합에 들어갈 수 있으며, 가속량이 높아 다인전이 아니더라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 권총은 밸런스 잡힌 능력치를 가졌지만, 특별한 이점이 없어 잘 사용되지 않는다.
  • 수류탄은 공격과 이동을 둘 다 수행 가능한 범용성이 높은 유틸리티이지만, 높은 컨트롤 난이도에 비해 얻을 수 있는 이득이 적어 채용률이 높지는 않다.

3. 기술 팁

3.1. 슬라이딩 + 점프

슬라이딩을 하면서 점프를 하는 것. 평범한 걷기보다 더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어 대부분의 유저들이 사용한다.

3.2. 빠른 근접무기 + 무기 스킬

근접무기를 기본 설정 기준 F키로 잠시 사용하는 동시에 그 무기의 스킬을 우클릭으로 사용하는 것.[2] 무기를 바꿀 필요 없이 간편하게 스킬을 사용할 수 있고, F키로 근접무기를 들면 휘두르는 상태이기 때문에 적에게 붙으면 피해도 줄 수 있다. 변형으로 F키를 홀드할 경우 공격과 동시에 근접무기로 교체한다.

3.3. 빠른 유틸리티

유틸리티도 G키로 빠르게 사용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손쉽게 해당 유틸리티의 효과를 볼 수 있다.

3.4. 재장전 캔슬

무기를 재장전할 때 화면 중앙의 탄환 형태의 막대가 시계 모양으로 변할 때 무기를 교체하면 재장전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공격의 공백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3.5. 피킹

벽 밖으로 슬라이딩 + 점프를 하면서 잠시 모습을 드러내 공격한 후 다시 벽 안으로 숨는 기술이다. 점사형 무기, 리볼버와 같이 강한 한 방의 공격을 가진 무기일수록 더 유용하며, 아레나, 백룸과 같은 좁고 벽이 많은 맵에서 주로 사용된다.

3.6. 폭발성 탄환 + 2단 점프

RPG나 수류탄과 같은 폭발성 탄환의 폭파 타이밍에 슬라이딩 + 점프를 사용하면 더 먼 거리를 날아갈 수 있고, 날아가는 도중 2단 점프를 사용한다면 더 오래 공중에 부유할 수 있다.



[1] 빙결된 상대가 만일 나이프를 지니고 있다면 피격자도 빙결이 풀린 즉시 찌르기를 사용해 도리어 타격자를 역으로 처치할 수도 있다.[2] 단, 전투 도끼와 나이프는 F키를 누르기만 해도 스킬인 회전 공격과 찌르기가 발동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