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기 (스킨) | 맵 | 듀얼 | 팁 | 업데이트 목록 |
1. 개요
RIVALS에서 플레이어에게 유용한 팁들을 서술하는 문서.2. 무기 조합
무기의 조합에 따라 전략과 컨트롤이 달라진다. 여타 게임처럼 주관적인 사실이 많기 때문에 아래의 조합을 반드시 따를 필요는 없다.2.1. 속공형 무기
속공형 무기 조합 | |||
주무기 | 보조무기 | 근접무기 | 유틸리티 |
돌격소총 페인트볼 총 | 리볼버 쇼티 새총 우지 엑소건 | 카타나 낫 전기톱 전투 도끼 | 아무 유틸리티 |
- 리볼버: 가장 이상적인 파트너로, 강한 한 방의 피해를 통해 상대를 견제할 수 있으며 체력이 부족할 경우 완전히 끝장낼 수 있다.
- 쇼티: 리볼버와 비슷하게 상대의 접근을 막거나 쓰러트릴 수 있다.
- 새총: 탄환이 벽에 튕겨지기 때문에 주로 궁지에 몰린 상대를 쓰러트릴 때 사용된다.
- 우지: 빠른 공격 속도를 가졌지만 단일 피해량이 낮으므로 리볼버, 쇼티와 달리 상대를 빠르게 쓰러트리기 어렵다는 점을 주의하며 사용해야 한다.
- 엑소건: 준수한 범위 피해를 줄 수 있고, 재장전 속도가 빨라 주 무기로 다시 교체할 시간을 손쉽게 마련할 수 있다.
근접 무기와 유틸리티의 경우, 위의 무기들과 마찰이 거의 없기 때문에 이론상 자유롭게 조합될 수 있다. 상단에는 범용성이 높은 근접 무기들이 기술되어 있다.
해당 조합은 대부분의 거리에서 비슷한 성능을 보여줄 수 있으며 거의 모든 맵에서 사용된다.
2.2. 폭발형 무기
폭발형 무기 조합 | |||
주무기 | 보조무기 | 근접무기 | 유틸리티 |
RPG 유탄발사기 | 투척용 쌍단검 리볼버 플레어 건 | 주먹 전투 도끼 | 가방 폭탄 화염병 |
- 투척용 쌍단검, 주먹, 가방 폭탄: 기동성을 높여줄 수 있으며, 공중 이동이 주력인 RPG와 주로 조합된다.
- 리볼버, 전투 도끼: 피해량을 보충할 수 있으며, 주로 RPG에 비해 피해량이 낮은 유탄발사기와 조합된다.
- 플레어 건, 화염병: 폭발형 무기들과 비슷하게 좁은 맵에서 유리하며, 보조적으로 피해를 누적시킬 수 있다.
해당 조합은 주로 아레나, 백룸과 같이 면적이 좁고 지형이 복잡한 맵에서 주로 사용된다.
2.3. 산탄형 무기
산탄형 무기 조합 | |||
주무기 | 보조무기 | 근접무기 | 유틸리티 |
산탄총 | 쇼티 | 전투 도끼 카타나 낫 | 얼음 광선총 화염병 구급상자 |
- 근접 무기: 대부분의 무기를 사용할 수 있으며, 주로 피해량 및 후딜레이 캔슬에 도움을 주는 전투 도끼가 높은 사용률을 보인다.
- 얼음 광선총: 상대를 빙결시켜 산탄총, 쇼티의 안정성을 보완한다. 또한 상대를 빙결시킨 후, 그대로 쇼티의 전탄을 치명타로 적중시키면 상대를 즉사시킬 수 있다.
반드시 욕먹을 각오를 하고 사용해야 한다. - 화염병: 보조적으로 피해를 누적시킬 수 있다.
- 구급상자: 체력을 회복시켜 산탄총, 쇼티의 안정성을 직접적으로 보완한다.
산탄총은 조준 시 펠릿들의 탄퍼짐이 범위가 소폭 줄어드는 기능이 있기에 조준하면서 사격 후 빠르게 조준을 해제할 경우 탄퍼짐의 범위를 좁히는 동시에 조준 시 따라붙는 이동 속도 감소 페널티를 최소화할 수 있어 타 조준 시 탄퍼짐 범위가 줄어드는 무기들보다 조준 사격 효율이 좋다. 그러나 조준 시에는 딜레이가 있기 때문에 명중률에 지장을 줄 수도 있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해당 조합은 주로 부두, 건설 현장과 같이 근접전이 성립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면적을 가진 맵에서 주로 사용된다.
2.4. 저격형 무기
저격형 무기 조합 | |||
주무기 | 보조무기 | 근접무기 | 유틸리티 |
저격소총 석궁 | 리볼버 쇼티 새총 우지 엑소건 | 카타나 낫 | 구급상자 섬광탄 |
근접 무기는 각각 반격, 기동성을 제공하는 카타나와 낫을 주로 사용하며, 유틸리티는 안정성 보완 및 재정비를 위해 구급상자나 실명을 통해 행동을 봉쇄하는 섬광탄을 사용한다.
저격소총은 피해량이 높지만 미조준 시 탄퍼짐이 극도로 뒤틀리기 때문에 보조 무기나 퀵 스코프(패줌)를 사용해야 하며, 석궁은 탄퍼짐이 없지만 피해량이 낮고 장탄수가 적어 재장전 및 재정비를 하는 시간이 필요하다.
해당 조합은 주로 교차로, 스플래시와 같이 중~장거리 교전이 가능한 넓은 맵에서 사용된다.
2.5. 화염방사기
화염방사기 조합 | |||
주무기 | 보조무기 | 근접무기 | 유틸리티 |
화염방사기 | 엑소건 리볼버 플레어 건 | 낫 | 구급상자 화염병 |
- 엑소건: 준수한 피해량과 빠른 발사 속도로 상대를 끊임없이 견제해 근접전을 강제할 수 있다.
- 리볼버: 엑소건과 비슷하나 이쪽은 발사 속도가 느린 대신 피해량이 더 높다.
- 플레어 건: 맵이 좁을 경우 이쪽이 유용하게 사용되며, 근접전이 자주 일어나 화염방사기에게도 유리하다.
근접 무기는 웬만한 상황에서 기동성을 높이는 낫을 사용하며, 유틸리티는 안정성을 보완하는 구급상자나 보조적으로 피해량을 누적시키는 화염병을 주로 사용한다.
해당 조합은 기동성을 통해 상대에게 빠르게 접근할 수 있어 맵의 면적이 지나치게 넓지 않다면 대부분 사용될 수 있다.
2.6. 건블레이드
주무기 | 보조무기 | 근접무기 | 유틸리티 |
건블레이드 | 아무 보조 무기 | 전투 도끼 | 아무 유틸리티 |
2.7. 활
주무기 | 보조무기 | 근접무기 | 유틸리티 |
활 | 투척용 쌍단검 | '''낫 주먹''' 카타나 | '''가방 폭탄''' 화염병 |
2.8. 미니건
주무기 | 보조무기 | 근접무기 | 유틸리티 |
미니건 | 플레어 건 엑소건 | 카타나 진압 방패 | '''구급상자''' |
미니건은 느린 이동 속도로 인해 회피가 어려우므로 방어를 제공하는 카타나 혹은 진압 방패, 체력 회복을 제공하는 구급상자가 고정적으로 조합된다.
속공형 무기처럼 거의 모든 맵에서 교전이 가능하나, 이동 속도가 느려서 저격소총을 상대할 때는 기피하는 것이 좋다.
2.9. 나이프
주무기 | 보조무기 | 근접무기 | 유틸리티 |
아무 주 무기 | 쇼티 리볼버 | '''나이프''' | '''얼음 광선총 연막탄''' 섬광탄 구급상자 |
보조 무기는 중거리에서 상대를 공격할 수 있는 쇼티나 리볼버가 주로 조합되고, 유틸리티는 나이프의 낮은 안정성을 보완하는 얼음 광선총, 연막탄, 섬광탄이 조합된다.
해당 조합은 주로 좁은 맵에서 사용된다.
2.9.1. 백 슬라이딩 + 찌르기
국내에서는 보통 '칼찌\' 라는 애칭으로 불린다.나이프의 즉사 판정은 자신이 적의 후면을 찌르는 것 뿐만 아니라, 자신의 후면을 적의 정면에 접촉시킨 상태로 찌르는 것도 즉사 판정에 들어가 이를 이용한다면 한층 더 수월하게 즉사 조건을 충족 가능하다.
2.10. 그 외 무기
- 에너지 쌍권총은 무제한의 탄약을 보유한 동시에 피해량이 낮아 여러 조합에서 사용되지만, 얼마든지 다른 무기로 대체될 수 있다.
- 진압 방패의 경우 카타나가 반사하지 못하는 일부 탄환을 방어할 수 있으나 카타나는 공격과 방어가 동시에 가능함과 달리 이쪽은 방어만 가능하기 때문에 상대에게 피해를 누적시킬 수 없다.
- 모종삽은 벽 생성을 통해 장애물 겸 엄폐물을 만들 수 있으며, 벽을 무너트려 멀리 이동하는 등의 변칙적인 활용이 가능해 다양한 조합에 들어갈 수 있다.
- 뿔피리는 모든 아군을 효과적으로 지원할 수 있어 대부분의 조합에 들어갈 수 있다.
- 아공간 지뢰는 특정 지역으로 향하는 상대를 막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며, 기동력이 높은 무기와 함께 조합될 경우 매우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어 이 경우에는 다양한 조합에서 사용된다.
- 에너지 소총은 튕겨질 때 치명타가 적용되는 에너지 빔의 특성으로 인해 벽이 많은 맵에서 주로 사용된다.
- 점사소총과 스프레이는 점사형 무기라서 특정 조합에 고정적으로 들어가지는 않으며, 자신의 실력과 취향에 따라 채용의 유무가 달라진다.
- 권총은 밸런스 잡힌 능력치를 가졌지만, 특별한 이점이 없어 잘 사용되지 않는다.
- 수류탄은 공격형 유틸리티로서의 성능은 충분히 발휘하지만, 높은 컨트롤 난이도에 비해 얻을 수 있는 이득이 적어 채용률이 높지는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