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ARM(IOSYS)의 곡}}}에 대한 내용은 [[No Way Out(GROOVE COASTER)]]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No Way Out(GROOVE COASTER)#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No Way Out(GROOVE COASTER)#|]]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퍼프 대디의 데뷔 음반}}}에 대한 내용은 [[No Way Out(음반)]]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No Way Out(음반)#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No Way Out(음반)#|]]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ARM(IOSYS)의 곡: }}}[[No Way Out(GROOVE COASTER)]]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No Way Out(GROOVE COASTER)#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No Way Out(GROOVE COASTER)#|]]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퍼프 대디의 데뷔 음반: }}}[[No Way Out(음반)]]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No Way Out(음반)#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No Way Out(음반)#|]]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
BEATCRAFT CYCLON 수록곡 목록 | |
장르 | Hard Core |
작곡 | ND Lee |
편곡 | ND Lee |
BPM | 100 |
보컬 | T-ache |
아이캐치 | UB |
누리조이의 리듬게임 BEATCRAFT CYCLON의 수록곡으로, EZ2DJ, DJMAX 시리즈 및 대중가요에서 활발한 활동을 선보인 ND Lee가 작곡한 하드코어 음악이다.
GirlZ 이후 리듬게임에서 소식이 없었던 ND Lee의 복귀작이며, Dieoxin, In my Dream처럼 강렬한 락 사운드가 돋보이는 곡이다. 전체적으로 서태지의 곡과 비슷한 느낌이 물씬 풍긴다. 싸이클론 PV에서 먼저 모습을 드러냈으며 이 때부터 시원시원한 하드코어 음악임을 입증했다. 싸이클론 특유의 루프 BGA 또한 화끈한 모습을 보여준다.
피쳐링으로 참여한 이는 힙합 1세대 듀오 사이드 비의 래퍼 겸 보컬리스트 T-ache.[1] 사이드비의 활동이 현재 중단된 상태에서 오랜만에 모습을 비춘 셈이다. 참고로 T-ache와 ND Lee는 현재 '슈퍼내추럴'이라는 밴드에 같이 소속되어 있으며, 그전에도 Evil Monkey라는 접점이 있어[2] 이블 몽키와 ND Lee가 속해있었던 밴드 V.E.I.L의 공연에 사이드비가 함께하기도 했다.
2. 가사
Intro:
I think you'll understand
I was pulled down
I was settled down
I think you'll understand
I'm stirred now
Can you see that?
Verse 1:
You got your flesh and bone for the (?) and blood
I got some critics on my heart, my heart burning, yes
You might notice the eyes of tiger
That's the way you can't see all this fire
When you're dreaming you can see that I'm lost
Cost to cost, you can save your most, most valuable thing without your hope
There's one thing in my mind that can find my cause
Prechorus:
Keep moving, moving moving
Keep moving, moving moving
Keep moving, moving moving
There's no way out
Chorus:
Thinking back on you and me, remembering (Can't believe)
Thinking back on you and me, melody (Yeah, take me)
We turn it up (Now)
Light it up (Now)
Smoke it up (Now)
Turn it up (Now)
Thinking back on you and me, melody
(That's right, you should understand me)
Verse 2:
Fight, and then I'll slave, don't look down
Don't even think about it, don't eat your lie
It's time, get back to your business
And look around what you have right now
Uncovered (Uncovered)
Satisfaction (Satisfaction)
My game is started, don't believe a real lie
Unconscious (Unconscious)
Protection (Protection)
Let go, even flow, until the day has come
(Repeat Prechorus + Chorus)
It's getting serious
(You say I'm insane? This craziness... I'm trying to find... this real me... insanity)
(Repeat Prechorus + Chorus)
This is the last chance
(Repeat chorus with these lyrics in the background)
Uncover
Satisfaction
Unconscious
Protection
You'll never know
Uncover
I think you'll understand
Satisfaction
Unconscious
Protection (I was settled down)
Uncovered
Satisfaction
I think you'll understand
Unconscious (I'm stirred now)
Protection
3. 게임 플레이
패턴 | 가격 | 난이도 | 기본 스테이지 | 비고 |
EZ | 600 | 3 | 1 | |
NM | 900 | 5 | 1 | |
HD | 1200 | 8 | 1,3 | 미션 3-3 'Scary Night' 3번 곡 미션 4-3 'Performance Set' 2번 곡 |
PR | 2400 | 9 | 3 | |
MX | 3000 | 10 | 3 | ROCK-ET BOMB 세트 1번 곡 |
S1 | - | |||
S2 | - |
평균 레벨은 5레벨. 그리고 전 패턴을 노카드 플레이가 가능한 곡이다.
EZ는 3레벨이며, 후렴구에서의 드래그 처리와 첫 후렴구가 끝난 직후의 조그 노트만 주의하면 올콤보는 물론 S++도 가볍게 딸 수 있는 곡이다. 조그 노트의 경우 상당히 길게 나오기 때문에 놓치거나 끊기면 여러 의미로 서럽다(...).
NM은 5레벨로 노트의 밀도가 EZ와는 비교도 안 되게 많아졌다. 후렴구에서는 2단타+드래그를 원핸드 플레이로 해야 하기 때문에 처리에 주의를 요하며, EZ에서의 조그 노트의 경우 조그 노트 끝나고 롱노트가 나오기 때문에 오른손으로 주욱 긁어대다가 팔에 가려서 롱노트 못 보고 콤보 날려먹는 경우도 적잖게 볼 수 있다(...).
HD는 8레벨을 달고 나왔다. 또한 두 스테이지에 걸쳐서 나온다. 패턴 특징으로는 초반부가 이중 홀딩 + 이중 조그로 더욱 강화되었으며 후렴구 2단타+드래그가 이중으로 되어서 나오기 때문에 처리에 더욱 주의를 요구한다. 거대 조그 노트는 NM과 똑같이 나오므로 NM을 올콤 찍는 유저라면 간단하게 넘길 수 있을 것이다. 스코어링 및 올콤 난이도는 8레벨 중에서는 낮은 편.
PR은 9레벨이며, 드럼 비트가 더욱 강화되었다. 그리고 후렴구의 이중 드래그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오기 때문에 잘못 긁어서 콤보 날려먹는 경우도 많으니 주의할 것. 그리고 HD까지 나오던 거대 조그 노트가 여기서는 안 나오고 대신 단타 구간으로 바뀌었다. 그리고 2차 후렴구 돌입 직전의 'Movin Movin Movin' 구간에서는 3단타 + 조그로 나오는데, 세 번째 '무빈'을 조심해야 한다. 4단타+조그이기 때문. 게다가 그 4번째 단타가 조그 시작 바로 직전에 나와 미스를 유발한다.
RAVE UP에서 유일하게 등장하는(...) MX는 10레벨인데, 초중반부까지는 PR과 비슷하지만 첫 후렴구 직전의 구간이 조그에서 단타로 바뀌었다. 여기서 등장하는 이중 5연타가 상당히 무서우니 주의할 것. 또한 후렴구에서는 아예 2중 단타로 구성되어 있으며 2단타+드래그에서는 이번에는 드래그 방향은 둘 다 똑같은데, 단타가 상하좌우로 교차되어서 날아온다(...). 첫 후렴구 끝나고서는 롱노트+단타 원핸드 플레이로, Movin Movin Movin을 발음 하나하나까지 놓치지 않고 단타와 홀딩으로 구현한 점이 일품. 나머지는 1차 후렴구와 처음 구간의 반복.
곡 자체가 정박이다 보니 스코어링 난이도가 상당히 낮다. 올콤 난이도도 그리 높지는 않은 편이고. 때문에 락 사운드를 좋아하는 리게이 한정으로 싸이클론 입문곡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