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MBR 탐색선 MBR Explorer | |||||||||
| <nopad> | |||||||||
| <colbgcolor=#0047a0><colcolor=#fff> 이름 | MBR 탐색선 (MBR Explorer) | ||||||||
| 임무 유형 | 소행성 플라이바이/궤도선/착륙선 | ||||||||
| 운영자 | 아랍에미리트 우주국 | ||||||||
| 임무 기간 | 9년 1개월 | ||||||||
| 우주선 속성 | |||||||||
| 제조사 | JAXA/아랍에미리트 우주국 | ||||||||
| 발사 질량 | 2.8t | ||||||||
| 임무 시작 | |||||||||
| 발사일 | 2028년 3월 | ||||||||
| 발사체 | H3 | ||||||||
| 발사장 | 다네가시마 우주센터, LA-Y2 | ||||||||
| 계약자 | 미쓰비시 중공업 | ||||||||
| 금성 중력도움 | |||||||||
| 가장 가까운 접근 날짜 | 2028년 7월 | ||||||||
| 지구 중력도움 | |||||||||
| 가장 가까운 접근 날짜 | 2029년 5월 | ||||||||
| 베스터발트 플라이바이 | |||||||||
| 가장 가까운 접근 날짜 | 2030년 2월 | ||||||||
| 키메라 플라이바이 | |||||||||
| 가장 가까운 접근 날짜 | 2030년 6월 | ||||||||
| 로콕스 플라이바이 | |||||||||
| 가장 가까운 접근 날짜 | 2031년 1월 | ||||||||
| 화성 중력도움 | |||||||||
| 가장 가까운 접근 날짜 | 2031년 9월 | ||||||||
| 가프 플라이바이 | |||||||||
| 가장 가까운 접근 날짜 | 2032년 7월 | ||||||||
| 오샤 플라이바이 | |||||||||
| 가장 가까운 접근 날짜 | 2032년 12월 | ||||||||
| 모자 플라이바이 | |||||||||
| 가장 가까운 접근 날짜 | 2033년 8월 | ||||||||
| 주스티티아 궤도선 | |||||||||
| 궤도 삽입 날짜 | 2034년 10월 | ||||||||
| 주스티티아 착륙선 | |||||||||
| 착륙 날짜 | 2035년 5월 | ||||||||
1. 개요
아랍에미리트 우주국에서 미쓰비시 중공업과 협력하여 2028년 발사할 예정인 탐사선이다. 소행성 7개와 금성, 화성을 탐사할 계획을 세우고 있으며 2035년에는 주스티티아라는 소행성의 착륙해 탐사할 계획도 준비되어 있다.2. 연혁
| <rowcolor=#ffffff> 탐사 예정 시기 | 목표 | 지름 | 고도 | 구분 |
| 2027년 7월 D[dday(2027-07-01)] | 금성 | 12,104 km | - | 지구형 행성 |
| 2029년 5월 D[dday(2029-05-01)] | 지구 | 12,742 km | - | 지구형 행성 |
| 2030년 2월 D[dday(2030-02-01)] | 10253 베스터발트 | 2 km | - | 소행성대 천체 |
| 2030년 6월 D[dday(2030-06-01)] | 623 키메라 | 22 km | - | Xc형 소행성 |
| 2031년 1월 D[dday(2031-01-01)] | 13294 로콕스 | 5 km | - | 소행성대 천체 |
| 2031년 9월 D[dday(2031-09-01)] | 화성 | 6,779 km | - | 지구형 행성 |
| 2032년 7월 D[dday(2032-07-01)] | 88055 가프 | 5 km | - | 소행성대 천체 |
| 2032년 12월 D[dday(2032-12-01)] | 23871 오샤 | 7 km | - | 소행성대 천체 |
| 2033년 10월 D[dday(2033-10-01)] | 59980 모자 | 8 km | - | 지구형 행성 |
| 2034년 10월 D[dday(2034-10-01)] | 269 주스티티아 | 57 km | 궤도선 | 소행성대 천체 |
| 2034년 10월 D[dday(2034-10-01)] | 착륙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