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M48 패튼의 운용국을 정리한 문서.2. 북아메리카
2.1. 미국
AAF 전차 및 병기 전쟁 기념 박물관 소장 M48A5 |
3. 유럽
3.1. 독일
문스터 전차 박물관 소장 독일 연방군 소속 mKPz M48A2 GA2 |
1993년까지 운용하고 모두 퇴역했고, 현재는 케일러 지뢰제거차량만 24대 운용중이다.
3.2. 폴란드
M48 기반 지뢰제거차량 4대를 독일에게 받았다.3.3. 노르웨이
노르웨이 육군 소속 M48A5 |
3.4. 그리스
그리스 육군 소속 M48A5 MOLF |
3.5. 스페인
4. 아시아
4.1. 대한민국
전쟁기념관 소장 대한민국 국군 소속 M48A2C[1] |
1960년대 중반 베트남 전쟁 파병 대가로 M48A1/A2C 버전을 공여 받았고 대다수의 M48A1과 극히 소수의 M48A2C가 M48A3K, M48A5K1/K2 계열로 개수, 80년대에 다수의 M48A5가 원조 후 M48A5KW로 개수되었으며, 개수 받지 않은 나머지 M48A2C는 2000년대 초 전량 퇴역했다.
4.2. 중화민국
베이간 섬 야외 전시 중화민국 육군 소속 M48A1 개량형 |
4.3. 베트남
베트남 공화국과 베트남 민주공화국을 분할하여 설명한다.4.3.1. 베트남 공화국
호치민 전쟁 박물관 소장 베트남 공화국 육군 소속 M48A3 |
그러나 당시 미약한 베트남 공화국 육군의 사기와 더불어 여러 악수가 겹쳐 부활절 공세 기간 동하 강에서의 공세를 좌절 시킨 것 이외에는 꾸준히 패퇴를 거듭하였고, 1975년 남월정부 멸망 이후 잔존차량 전량 북월군에 편입되어 사용되었다.
4.3.2. 베트남 민주공화국
사이공 전쟁 박물관 소장 베트남 인민군 노획 M48A3 |
4.4. 태국
4.5. 이란
4.6. 이스라엘
이스라엘 국방군 역사 박물관 소장 마가크 |
마가크-6 |
자세한 내용은 마가크 전차 문서 참고하십시오.
4.7. 이라크
4.8. 요르단
왕립 전차 박물관 소장 요르단 육군 소속 M48 패튼 |
4.9. 레바논
레바논 육군 제1기갑연대 소속 M48A5, 2014년 8월 3일 |
4.10. 튀르키예
열병식 참가 튀르키예 육군 소속 M48A5 |
4.11. 파키스탄
M47 패튼과 더불어 M48 패튼의 주요 운용국 가운데 하나이다.#잘 안알려져 있지만 카길 전쟁과 같이 인도와의 국경분쟁에서 잘 써먹었고 그 와중에 인도군의 T-55나 센추리온 전차들과 맞장 뜬 경력도 상당하다고 한다. 오죽 많이 운용했으면 아보타바드[2]에 위치한 파키스탄 육군사관학교의 정문 앞에 파키스탄 육군의 상징으로 때 빼고 광 낸 전시용 M48 패튼을 가져다 전시해 놓을 정도다.
이 외에도 블랙 호크 다운으로 알려진 모가디슈 전투 당시에도 모가디슈 시내에 남아 있던 제75레인저연대와 제1특전단 델타분견대, 미합중국 해군특수전개발단[3] 병력들의 모가디슈 탈출을 엄호하는데에 대활약을 했다고 한다. 영화에서는 돈 문제로 안타깝게 말레이시아군 소속의 VAB 장갑차[4]가 활약한 것으로 나오지만[5] 실제로는 파키스탄군의 M48 패튼이 대활약을 했다고 알려져 있다.
4.12. 인도
기병전차박물관 소장 M48 패튼 |
5. 아프리카
5.1. 이집트
카이로 시타델 국립 군사 박물관 소장 M48 패튼[6] |
5.2. 튀니지
5.3. 모로코
[1] 현재는 M48A5KW도 같이 전시되어있다. 왼쪽에 전시된 것은 M56 스콜피온이다.[2] 오사마 빈 라덴이 숨어 있다가 발각되어 DEVGRU에게 사살당한 그 곳이다.[3] 당시 델타포스의 1개 팀이 결원이 생겨서 대신 이들이 보내졌다고 한다. 델타포스와 DEVGRU는 팀원부족 등의 사유가 발생하면 서로 지원을 해준다. 이 작전엔 DEVGRU 소속 5명 1개팀이 참가했다. 이때 에릭 올슨 대령이 은성무공훈장을 받았다고 한다.[4] 실제 말레이시아군은 VAB 장갑차를 운용하지 않는다[5] 장갑차 임대료가 훨씬 저렴했다.[6] 1973년 욤 키푸르 전쟁 당시 이스라엘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