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30 11:07:16

KORG Wavestation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KORG
파일:Korg Logo.png
KORG 신디사이저 시리즈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플래그십 시리즈
파일:Ps3200L.jpg파일:PSlogo.jpg
1977 – 1981
파일:KorgPolysixlogo.jpg파일:Polylogo.jpg
1981 – 1984
파일:DW8000L.jpg파일:DWlogo.jpg
1984 – 1987
파일:M1L.jpg파일:M1Logo.jpg
1988 – 1995
파일:T3L.jpg파일:Tlogo.jpg
1989 – 1991
파일:WavestationL.jpg파일:WavestationLogo.jpg
1990 – 1994
파일:K01Wfdlogo.jpg파일:01Wlogo.jpg
1991 – 1995
파일:TrinityV3Logo.jpg파일:Trinitylogo.jpg
1995 – 1999
파일:TritonexeLogo.jpg파일:TritonLogo.jpg
1999 – 2007
파일:KoasysLogo.jpg파일:OasysLogo.jpg
2005 – 2011
파일:Kronosxlogo.jpg파일:Kronoslogo.jpg
2011 – 현재

파생형/아날로그 모델링 시리즈
파일:MS20Logo.jpg파일:MSlogo.jpg
1978 – 현재
파일:X5D.jpg파일:Xlogo.jpg
1993 – 1996
파일:N264Logo.jpg파일:Nlogo.jpg
1996 – 1999

소프트웨어 신디사이저 시리즈
파일:korg collection logo.jpg
2004 – 현재

}}}}}} ||

파일:KORG Wavestation.jpg
1. 개요2. 시리즈3. 사용 뮤지션4. 기타

1. 개요

KORG에서 1990년 출시한 벡터 신디사이저.

웨이브 시퀀싱이라는 여러 개의 PCM 웨이브를 연속적으로 재생하는 독특한 합성방식이 사용 되었으며, 이 악기에 벡터 조이스틱을 기준으로 X-Y 벡터신시스라는 X-Y조이스틱의 개념을 더 향상시켜 이후 OASYS, KRONOS에 들어가게 된다.

SEQUENTIAL CIRCUITS에서[1] 사운드 엔지니어였던 데이브 스미스, 존 보엔등이 설계의 참여했다고 한다.[2]

2. 시리즈

  • Wavestation (1990)
오리지널 신디사이저. 61건반, 2MB PCM ROM, 2개의 RAM 뱅크, 1개의 ROM 뱅크, 365개 샘플과 47개 이펙터가 탑재되어 있다.
  • Wavestation EX (1991)
오리지널 Wavestation에서 없던 피아노, 드럼등 샘플들이 추가되었고, PCM ROM가 2배 늘어났다. 그외 운영 체제의 버그도 일부 수정 됐고, 이펙터도 더 늘어났다.
오리지널 Wavestation을 구입 한 사람들도 EXK-WS를 통해 업데이트 가능했다.
  • Wavestation A/D (1991)
Wavestation의 사운드 모듈 버전. 벡터 조이스틱이 작아졌고, RAM 뱅크가 1개 더 늘어났다.
  • Wavestation SR (1992)
Wavestation EX를 업데이트한 랙 버전. 벡터 조이스틱이 사라졌고, 스크린 사이즈가 작아 졌으나 ROM 뱅크가 8개로 늘어났다.

3. 사용 뮤지션

※ ㄱ-ㅎ/A-Z 순서로 작성

4. 기타

  • 매킨토시의 시작 부팅음이 이 악기로 만들어졌다고 한다.
  • 코르그에서 2004년 출시된 가상악기 Korg Legacy Collection에 포함되어 있다. 판매당시 옵션이였던 ROM 카드 역시 포함되어 있다.
  • 2016년에 아이폰/아이패드 전용 어플로도 출시됐다. 이름은 iWavestation


[1] 최초의 벡터 신디사이저 Prophet VS를 출시했다. 1988년 야마하의 인수.[2] 이후 데이브 스미스는 알려진데로 신디사이저 회사 Dave Smith Instruments를 설립하다가 다시 Sequential 상표권을 흭득했고. 존 보엔은 이후 OASYS, Z1 프로젝트의 참여하다가, 현재는 독립해 신디사이저 엔지니어로 계속 활동하고 있다.[3] 1991년 솔로음반에서 사용 참조[4] 드림 시어터 가입 이전 솔로앨범에서 사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