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2-17 14:45:04

Innuendo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앨범의 수록된 동명의 타이틀곡에 대한 내용은 Innuendo(노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파일:퀸(밴드) 심볼.sv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olding [ Studio Albums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width=100%>
파일:external/62a245f953942a6fa62ee286223146e29c294023be3d3e8dc324dc33adcbdb46.jpg
파일:Queen II.jpg
파일:Sheer Heart Attack.jpg
파일:external/688f9dd3b11e44ddecfedf7c4ed7b5216cad17a90cb2cb7265e9e1933ec0dde9.jpg
파일:A Day at the Races.jpg

1973

1974

1974

1975

1976
파일:external/2aceda8a20ae46c77f58a88f6ec35fb61953a0071329c1e15174c1668e6a59e2.jpg
파일:external/878f04d620a46b55838368125c2c60fa8161cdf7f6d7daed8b32b52c7f40fd96.jpg
파일:The game.jpg
파일:Queen - Flash Gordon.png
파일:Queen - Hot Space.png

1977

1978

1980

1980

1982
파일:external/3295fec823358f68e193f057ad2c5b5591394f612faacb09e14c73bcd7d8bb2f.jpg
파일:external/af3c570e39110a222d0524c6649793366144e2f08a6ad67f6fe6c0daa9ae68e3.jpg
파일:external/6cc379d33e8d788eb5f6642359cf81768159e8274f06a9b740ecfedd82c104e7.jpg
파일:external/a1cb00cb58cbeb1e1f244a56ebf319476f8eed55c1d7f47633beb7398ad567c4.jpg

1984

1986

1989

1991

1995
}}}}}}}}}
[ Live Albums ]
||<tablebgcolor=white,#191919><tablewidth=100%><width=20%><rowbgcolor=#ffffff,#191919><tablecolor=#000,#fff>
파일:Live Killers Big.jpg
||<width=20%>
파일:Live Magic.jpg
||<width=20%>
파일:At the Beeb.jpg
||<width=20%>
파일:external/db5967250df269db896e2507a5a70c7d99e189d26a1a882780a04cdf59e56fb3.jpg
||<width=20%>
파일:Queen on Fire – Live at the Bowl.jpg
||
Live Killers
1979
Live Magic
1986
At the Beeb
1995
Live at Wembley '86
1992
Queen on Fire – Live at the Bowl
2004
파일:Queen Rock Montreal.jpg
파일:Hungarian Rhapsody – Queen Live in Budapest.jpg
파일:Live at the Rainbow '74.jpg
파일:A Night at the Odeon.jpg
Queen Rock Montreal
2007
Hungarian Rhapsody: Queen Live in Budapest
2012
Live at the Rainbow '74
2014
A Night at the Odeon
2015
[ Compilations ]
||<tablebgcolor=white,#191919><table color=#373a3c,#ddd><tablewidth=100%><width=20%><rowbgcolor=#ffffff,#191919>
파일:Greatest Hits 81.jpg
||<width=2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Queen_-_Greatest_Hits_2.png
||<width=20%>
파일:Classic Queen.png
||<width=20%>
파일:The 12" Collection.jpg
||<width=20%>
파일:Queen Rocks.jpg
||
Greatest Hits
1981
Greatest Hits II
1991
Classic Queen (미국 한정)
1992
The 12" Collection
1992
Queen Rocks
1997
파일:Greatest Hits III.jpg
파일:Stone Cold Classics.jpg
파일:The A-Z of Queen, Volume 1.jpg
파일:Absolute Greatest.jpg
파일:Deep Cuts, Volume 1 (1973-1976).jpg
Greatest Hits III
1999
Stone Cold Classics
2006
The A-Z of Queen, Volume 1
2007
Absolute Greatest
2009
Deep Cuts, Volume 1 (1973-1976)
2011
파일:Deep Cuts, Volume 2 (1977-1982).jpg
파일:Deep Cuts, Volume 3 (1984-1995).jpg
파일:Icon Queen Big.jpg
파일:Queen Forever.jpg
파일:Greatest Hits in Japan.jpg
Deep Cuts, Volume 2 (1977-1982)
2011
Deep Cuts, Volume 3 (1984-1995)
2011
Icon (미국/캐나다 한정)
2013
Queen Forever
2014
Greatest Hits in Japan (일본 한정)
2020
[ Box Sets ]
||<tablebgcolor=white,#191919><table color=#373a3c,#ddd><tablewidth=100%><width=20%><rowbgcolor=#ffffff,#191919>
파일:The Complete Works (Queen album).png
||<width=20%>
파일:Queen CD Single Box.png
||<width=20%>
파일:The Crown Jewelsnew.png
||<width=20%>
파일:The Platinum Collectionnew.png
||<width=20%>
파일:The Singles Collection Volume 1.png
||
The Complete Works
1985
Queen CD Single Box
1991
The Crown Jewels
1998
The Platinum Collection
2000
The Singles Collection Volume 1
2008
파일:The Singles Collection Volume 2.png
파일:The Singles Collection Volume 3.png
파일:The Singles Collection Volume 4.png
파일:On Air.jpg
파일:The Miracle Collector's Edition.png
The Singles Collection Volume 2
2009
The Singles Collection Volume 3
2010
The Singles Collection Volume 4
2010
On Air
2016
The Miracle Collector's Edition
2022
{{{#!folding [ 관련 문서 ]

}}}}}} ||
파일:퀸(밴드) 로고.svg
퀸의 스튜디오 앨범
1991년 2월 5일
14집 Innuendo
1995년 11월 6일
15집 Made in Heaven
Innuendo의 주요 수상
[ 펼치기 · 접기 ]
----
파일:이즘로고노배경.png
이즘 선정 명반
Innuendo

파일:Nostalgie.png Nostalgie 선정 500대 명반
409위

Innuendo
파일:external/a1cb00cb58cbeb1e1f244a56ebf319476f8eed55c1d7f47633beb7398ad567c4.jpg
<colbgcolor=#ffffff><colcolor=#CD5C5C> 발매일 1991년 2월 5일
녹음일 1989년 3월 - 1990년 11월
장르 하드 록, 프로그레시브 록
재생 시간 53:44
곡 수 12곡
프로듀서 , 데이브 리차즈
레이블 파일:영국 국기.svg 팔로폰 레코드
파일:미국 국기.svg 할리우드 레코드
1. 개요2. 트랙 리스트

[clearfix]

1. 개요

1991년 발매된 의 정규 14집 음반. 보컬 프레디 머큐리 생전에 나온 마지막 정규 음반이다. 1989년 'The Miracle' 앨범 세션이 끝난 직후 프레디는 그의 머릿속에 있던 노래의 데모를 녹음하기 위해 스위스에 있던 마운틴 스튜디오로 날아갔다. 그때 당시 프레디는 또 다른 솔로 앨범을 녹음할 생각이었지만, 건강상태로 인해 밴드 앨범에 집중하기로 결심했다.

1989년 11월에 Innuendo의 세션이 다시 시작되었지만, 프레디의 건강상태로 인해 한 번에 며칠밖에 일할 수 없었기 때문에 녹음 과정이 길어졌다. 해를 넘겨 세션은 1990년 내내 계속되었으며, 주로 런던의 메트로폴리스 스튜디오에서 진행되었고, 때때로 밴드는 프레디가 아팠거나 존 디콘이 불참하여 3인조로 축소되었다. 존은 주기적으로 아내와의 데이트를 즐겼기 때문에, 이 앨범에서는 합작해서 만든 곡 외에는 존의 솔로 곡이 전혀 없다.

그리하여 1990년 겨울 크리스마스 즈음에 발매를 계획했으나 점점 악화되는 프레디의 건강상태로 인해 녹음 작업이 조금씩 늦어져 1991년 2월에 발매되었다. 1980년대의 전형적인 팝 성향을 보이던 퀸 음반들과는 차별화된 음악을 선보였으며, 영국과 유럽 각국에서 1위를 차지하였다. 하지만 미국에선 30위에 그쳤다.

당시 프레디의 상태와 밴드의 분위기를 반영하듯 앨범이 전체적으로 꽤나 어둡고 때로는 기이한 분위기를 풍길 정도. 음악적으론 70년대 퀸의 트레이드마크였던 화려한 하모니나 복잡한 곡 구조, 하드락 사운드[1] 등이 앨범 전반에 나타나있어 상업적에 치중한 80년대의 앨범들과는 달랐기에 팬들에게 높은 평가를 받았다. 평단에서는 발매 당시에는 저평가되었으나, 프레디 사후 시간이 지나면서 재평가되어 오늘날에는 퀸의 후기 걸작으로 평가받는다.

일각에선 미완성스럽다는 평을 듣는다. 퀸의 70년대 음악을 좋아하는 팬들에겐 아쉬웠는데 이유는 피아노 멜로디가 없고 신디사이저가 쓰였기 때문.[2][3] 80년대에서[4] 영향인지 신디사이저는 그렇다쳐도 프레디가 스스로 피아노를 못친다라고[5] 생각했기에 쓰지 않았다는 건 아쉬운 대목임은 분명하다. 물론 당시 프레디의 몸 상태를 생각하면 피아노를 넣으려고 해도 못 넣었을 것이다.[6]

전작인 The Miracle과 마찬가지로 프레디의 상태가 날이 갈수록 심각해져 앨범 홍보를 위한 투어는 진행되지 않았으며, 때문에 프레디가 라이브로 부른 이 앨범의 노래는 하나도 없다.

참고로, 제목인 'Innuendo'는 '빗대어 하는 말, 빈정거림'이라는 뜻이 있다.

앨범 커버 및 싱글앨범 커버 속지, 후면의 그림은 모두 로저 테일러가 취미로 고서적 등을 모을 때 발견한 프랑스 풍자만화가 J. J. Grandville(본명 Jean Ignace Isidore Gérard)의 삽화들이다. 전작에서 커버 아트를 맡았던 Richard Gray가 Grandville의 원화들에 컴퓨터로 채색을 하고 맴버들의 얼굴도 합성작업을 해서 실었다.[7]

이 시기의 앨범에서는 프레디의 창법이 어느 정도 70년대 비슷하게 돌아왔다. 본인 항목에서 볼 수 있듯이 담배를 끊으면서, 또는 본인의 의지로 돌아온 듯 하다.[8][9]

2. 트랙 리스트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external/a1cb00cb58cbeb1e1f244a56ebf319476f8eed55c1d7f47633beb7398ad567c4.jpg
Innuendo
트랙 리스트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Side A
<rowcolor=#CD5C5C> 트랙 곡명 러닝타임
<colcolor=#000,#fff> 1 <rowcolor=#000>Innuendo 6:29
2 <rowcolor=#000>I'm Going Slightly Mad 4:22
3 <rowcolor=#000>Headlong 4:39
4 <rowcolor=#000>I Can't Live Without You 4:35
5 <rowcolor=#000>Don't Try So Hard 3:39
6 <rowcolor=#000>Ride the Wild Wind 4:41
7 <rowcolor=#000>All God's People 4:19
8 <rowcolor=#000>These Are the Days of Our Lives 4:12
9 <rowcolor=#000>Delilah 3:32
10 <rowcolor=#000>The Hitman 4:52
11 <rowcolor=#000>Bijou 3:37
12 <rowcolor=#000>The Show Must Go On 4:24
관련 트랙
<rowcolor=#CD5C5C> 트랙 곡명 러닝타임
1 <rowcolor=#000>Lost Opportunity 3:53
파일:퀸(밴드) 로고.svg
}}}}}}}}} ||

이 앨범의 모든 작곡가 명의는 Queen(퀸)으로 등록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 작곡한 사람의 이름을 따로 수록한다.

01. Innuendo
작곡가프레디 머큐리, 로저 테일러
러닝 타임6:29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02. I'm Going Slightly Mad
작곡가프레디 머큐리
러닝 타임4:22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03. Headlong
작곡가브라이언 메이
러닝 타임4:39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04. I Can't Live Without You
작곡가브라이언 메이
러닝 타임4:35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05. Don't Try So Hard
작곡가프레디 머큐리
러닝 타임3:39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06. Ride the Wild Wind
작곡가로저 테일러
러닝 타임4:41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07. All God's People
작곡가프레디 머큐리, 마이크 모란
러닝 타임4:19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08. These Are the Days of Our Lives
작곡가로저 테일러
러닝 타임4:12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09. Delilah
작곡가프레디 머큐리
러닝 타임3:32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10. The Hitman
작곡가
러닝 타임4:52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11. Bijou
작곡가프레디 머큐리, 브라이언 메이
러닝 타임3:37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12. The Show Must Go On
작곡가브라이언 메이
러닝 타임4:24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1] 모든 수록곡에 브라이언 메이의 기타솔로가 실려있다.[2] 그러나 All God's People에서는 2분 21초 경에 약간의 피아노 멜로디를 들을 수 있다.[3] 70년대 퀸은 항상 앨범에 No Synthesizer가 들어갔다. 전자음악에 대한 거부감은 아니고 브라이언의 레드 스페셜 기타의 사운드를 신디음으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었기 때문.[4] 신디사이저 사용은 8번째 앨범 The Game에서 시작됐다.[5] 퀸 80년대 후기 앨범에선 피아노가 거의 쓰이지 않았다. 앨범에선 피아노가 수록된 곡도 있지만 거의 다 세션 뮤지션들(프레도 멘델, 마이크 모란)이 연주했고 라이브에서도 세션맨 스파이크 에드니가 연주했다. 퀸의 마지막 투어인 매직 투어에서 프레디가 직접 피아노를 친 곡이 4곡(In the Lap of the Gods...Revisited, Seven Seas of Rhye, Bohemian Rhapsody, We Are the Champions)밖에 없었다.[6] 피아노를 직접 연주해본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은근히 팔에 힘이 많이 들어가며 오래 치려면 체력도 탄다. 병색이 가장 짙을 때 만든 앨범이니만큼 피아노를 넣고 싶어도 안됐을 것이다.[7] 원작에서는 사람 머리 위로 훈장같은 게 떨어지는데 앨범 커버는 재치있게 프레디가 좋아했던 과일인 바나나로 바꾸었다.[8] 사실 프레디 머큐리는 에이즈로 인한 폐렴으로 사망했다. 이를 보았을때 폐렴으로 담배를 끊은 것으로 보이는데, 그런데 그 상태로 이런 가창력을 낸다는게… 1, 3, 4, 5, 6, 7, 9, 10, 12번 트랙의 최고음이 전부 3옥타브를 찍는다. 앨범의 75%이다. 로저는 이때를 회상하며, "프레디의 목소리가 점점 가늘어졌는데, 그런데도 고음을 내더라"라고 말했다.[9] 하지만 찌를 듯한 고음을 앨범 내내 소화하는 것과 별개로, 자세히 들으면 강한 호기압과 높은 성대 접촉율로 강렬하게 내지르던 80년대 창법에 비해 전반적으로 힘을 빼며 부르는 것을 알 수 있다. 폐렴 등 병세 악화로 인한 체력적 부담으로 창법을 바꾼 듯하며, 그럼에도 70년대의 야누스적 미성이 80년대의 테크닉적 완성과 합쳐진 이 앨범에서의 이질적인 보컬 퍼포먼스를 커리어의 마지막 전성기로 보는 팬들도 많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