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19 10:31:12

GitHub Gist


[[GitHub|
파일:GitHub 아이콘 화이트.svg파일:GitHub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min-height: calc(1.5em + 5px);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관련 인물 톰 프레스턴 워너
서비스 저장소 · GitHub Pages · GitHub Action · GitHub Packages · GitHub Wiki · GitHub Gist · GitHub Copilot
클라이언트 GitHub CLI · GitHub Desktop · GitHub Mobile
오픈 소스 Electron · Atom · Linguist · Tree-sitter
관련 문서 사건 사고 · GitHub Universe · npm
}}}}}}}}} ||
<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 GitHub Gist
종류 페이스트빈 사이트, 코드 공유 사이트
언어 영어
회원 가입 필수
소유 GitHub
접속 상태 접속 가능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

1. 개요

GitHub의 버전 관리 페이스트빈 서비스. 프로그래밍 언어 등의 코드 스니펫(snippet)을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로 사용된다.

2. 상세

일반 페이스트빈과 달리 여러 파일을 올릴 수 있다.

공개(public)/비밀(secret)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공개 gist를 만들 경우, gist.github.com/<계정명> 페이지에 기존에 만든 다른 공개 gist들과 함께 보여지고, gist.github.com/discover 페이지에도 노출되게 된다. 비밀 gist를 만들 경우, discover 페이지에 공개되지는 않으나 링크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1]

파일 확장자로 언어 및 형식을 구분하는데, 마크다운으로 인식할 수 있는 확장인 경우 프리뷰 탭이 생긴다.

각 gist마다 임의의 고유 식별자가 부여되는데, 개별 파일명 및 설명과 무관하게 URL에는 이 식별자만 나타나게 된다. 임베드 시에도 이 식별자가 필요하다.

gist별 고유 식별자로 생성되는 URL을 통해 외부 웹사이트에서 해당 gist를 임베드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해 블로그 등에서 코드 스니펫을 공유하기 위한 목적으로 자주 사용된다.

GitHub 계정 프로필 페이지에서 타 저장소와 마찬가지로 gist 자체를 pin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gist를 매일 자동으로 업데이트하는 GA을 돌리고 해당 gist를 고정해 일종의 상태 메세지로 사용하는 트릭이 존재한다.#

star는 가능하지만, 일반 저장소와 다르게 깃헙 프로필이 아닌 gist.github.com/<계정명>/starred 페이지에서만 확인할 수 있다.

gist마다 별도의 댓글창이 하나씩 존재하는데, 이슈 코멘트와 동일한 형태이다. gist 편집 페이지에서 댓글 작성을 불가능하게 설정할 수 있다.
[1] Secret gists aren't private. If you send the URL of a secret gist to a friend, they'll be able to see it. However, if someone you don't know discovers the URL, they'll also be able to see your gist. If you need to keep your code away from prying eyes, you may want to create a private repository instea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