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 출연진 ]
- ||<-3><tablewidth=100%><rowbgcolor=#0dac55,#0dac55><rowcolor=#fff,#fff><width=1000> MC : 배성재 ||
골 때리는 연맹 위원장 하석주 선수협회장 조혜련 제1회 GIFA컵 참가 구단 <rowcolor=#000,#000> 감독: 이영표 / 코치: 김재성 <rowcolor=#ffc0cb,#ffc0cb>
감독: 조재진 / 코치: 정종봉<rowcolor=#fff,#fff> 감독: 백지훈 / 코치: 안진범 <rowcolor=#adff2f,#adff2f> 감독: 이근호 / 코치: 김태우 <rowcolor=#ffffff,#ffffff> FC 불나비 감독: 김영광 / 코치: 김동철 <rowcolor=#ec118f,#ec118f> 감독: 현영민 / 코치: (공석) <rowcolor=#ffffff,#ffffff> 감독: 박주호 / 코치: 박인영 <rowcolor=#000000,#000000> FC 탑걸 감독: (공석) / 코치: 전재홍 <rowcolor=#0000ff,#0000ff> 감독: 김병지 / 코치: 김종원 <rowcolor=#fd9931,#fd9931> 감독: 최진철 / 코치: (공석) 다음 시즌 복귀 예정 <rowcolor=#2f38b2,#2f38b2> 감독: (공석) / 코치: (공석) ONE-SEASON SUSPENSION <rowcolor=#7f00ff,#7f00ff> '''''' 감독: 최성용 / 코치: 최승호 {{{-2
- [ 관련 문서 ]
- ||<|9><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100><colbgcolor=#3a5a4a,#3a5a4a> 방영 목록 ||<width=1000><colcolor=#373a3c,#ddd>파일럿 | 시즌 1 ||
시즌 2 | 리그 | 슈퍼리그 | 챌린지리그 시즌 3 | 슈퍼리그 | 챌린지리그 시즌 4 | 슈퍼리그 | 챌린지리그 제1회 SBS컵 시즌 5 | 슈퍼리그 | 챌린지리그 제2회 SBS컵 시즌 6 | 슈퍼리그 | 챌린지리그 시즌 7 | 제1회 G리그 | 제1회 GIFA컵 세부 대회 슈퍼리그 | 챌린지리그 | 승강 플레이오프 | 챔피언 매치 | SBS컵 | G리그 | GIFA컵 | 올스타전 기타 구단 | 상대 전적 및 순위표 | 전 · 현직 선수 명단 | 감독진(이동 셔플) | 공인구 | 별별 기록 | 시청률 | 평가 | 논란 | 여담 스핀오프 골 때리는 외박 | 연애는 직진 OST Dreaming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adff2f,#adff2f><tablebgcolor=#adff2f,#adff2f><nopad> ||
{{{#!wiki style="background-color: #000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15px; color: #adff2f; font-weight: 700"
[[채리나/골 때리는 그녀들|{{{#!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nt-weight: 400"]]
DF | 주장{{{#!wiki style="background-color: #000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15px; color: #adff2f; font-weight: 700"
[[유빈/골 때리는 그녀들|{{{#!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nt-weight: 400"]]
DF{{{#!wiki style="background-color: #000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15px; color: #adff2f; font-weight: 700"
[[김보경(1990)/골 때리는 그녀들|{{{#!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nt-weight: 400"]]
FW{{{#!wiki style="background-color: #000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15px; color: #adff2f; font-weight: 700"
[[다영/골 때리는 그녀들|{{{#!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nt-weight: 400"]]
FW{{{#!wiki style="background-color: #000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15px; color: #adff2f; font-weight: 700"
[[이채연/골 때리는 그녀들|{{{#!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nt-weight: 400"]]
GK{{{#!wiki style="background-color: #000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15px; color: #adff2f; font-weight: 700"
[[이유정(댄서)/골 때리는 그녀들|{{{#!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nt-weight: 400"]]
FW{{{#!wiki style="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margin: 0px 3px; border-radius: 15px; color: #adff2f; font-weight: 700"
- [ 이전 멤버 ]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width=1000><nopad> ||##첫째 줄 ##바다 ##문별 ##간미연 ##아유미{{{#!wiki style="background-color: #adff2f; 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15px; color: #000; font-weight: 700"[[바다(S.E.S.)/골 때리는 그녀들|{{{#!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nt-weight: 400"]]DF{{{#!wiki style="background-color: #adff2f; 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15px; color: #000; font-weight: 700"[[문별/골 때리는 그녀들|{{{#!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nt-weight: 400"]]FW{{{#!wiki style="background-color: #adff2f; 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15px; color: #000; font-weight: 700"[[간미연/골 때리는 그녀들|{{{#!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nt-weight: 400"]]FW{{{#!wiki style="background-color: #adff2f; 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15px; color: #000; font-weight: 700"[[아유미(연예인)/골 때리는 그녀들|{{{#!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nt-weight: 400"]]GK##둘째 줄 ##공민지 ##태미{{{#!wiki style="background-color: #adff2f; 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15px; color: #000; font-weight: 700"[[공민지/골 때리는 그녀들|{{{#!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nt-weight: 400"]]MF{{{#!wiki style="background-color: #adff2f; 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15px; color: #000; font-weight: 700"[[태미/골 때리는 그녀들|{{{#!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nt-weight: 400"]]GK
<nopad> | |
FC 탑걸 | |
FC TOP GIRL | |
<colbgcolor=#adff2f,#adff2f><colcolor=#000000,#000000> 창단 | 시즌 2 |
소속 리그 | G.LEAGUE |
테마 컬러 | ''' Stack ''' & '''Neon ''' (시즌 2) |
''' Neon ''' (시즌 3 ~ 현재) | |
감독 | 초대 최진철2대 최성용3대 최진철4대 김병지5대 최진철6대 김태영7대 최성용 |
코치 | 시즌 2(리그) 이범직시즌 2(챌린지리그)~시즌 3 최승호시즌 4 김종원제1회 SBS컵~제2회 SBS컵 이원영시즌 6 전재홍제1회 GIFA컵 최승호 |
주장 | 초대 채리나 |
전승 | |
전패 | |
상징 키워드 | 불패 |
우승 기록 | |
슈퍼리그 (1회) | 시즌 3 |
챌린지리그 (1회) | 시즌 2 |
클럽 기록 | |
최다 출장 | 유빈: 28경기[A] |
최다 득점 | 김보경: 18득점[A] |
최다 도움 | 유빈,김보경: 7도움[A] |
최다 공격포인트 | 김보경: 25포인트[A] |
최다 무실점 | 아유미: 3경기[A] |
최다 연승 | 7연승[A][7] |
최다 연패 | 5연패 |
구단 최초 득점 | 채리나[A] |
구단 최초 도움 | 아유미[A] |
개인 수상 | |
MVP (1회) | 김보경 (시즌 3 (슈퍼리그)) |
감독상 (1회) | 채리나 (시즌 2 (리그): 현영민상) |
특별상 (1회) | 간미연 (시즌 3: 기량발전상) |
1. 개요
"가슴은 뜨겁게 머리는 차갑게!
"탑걸 탑걸 사랑해!"
"탑걸 탑걸 사랑해!"
경기 전 외치는 구호
골 때리는 그녀들의 참가팀들 중 하나. FC 원더우먼, FC 아나콘다와 함께 시즌 2부터 새롭게 참가하게 된 신생팀들 중 하나다.
FC 탑걸의 정리된 팀 컨셉은 장르에 제한없는 가수 및 대중음악 관련 연고의 팀이다. 처음 팀명의 유래는 탑골가요+걸그룹이며, 골때녀에서 탑이 되겠다는 뜻도 포함한 중의적인 작명으로 추정된다. FC 탑걸이 처음으로 골때녀에 참가한 2021년 시즌 2 평가전과 하위리그 첫경기까지 3경기 에서 팀소개는 1990년대와 2000년대를 풍미했던 걸그룹 경력자들로 소개되었다가 시즌2 정규 하위리그 두번째 경기 이후 시즌 6까지 20여 경기는 가수 관련 다양한 팀 컨셉으로 소개되었다. 시즌 7 기준으로 K팝 아티스트들 뿐만 아니라 관련 업계 종사자들까지 입단 기준이 확대 되었다. 창단 당시 경력 도합 112년[10], 현재 주력 선수 김보경은 창단시즌 정규 첫 경기가 아닌 두번째 경기부터 합류했다. [11]
가장 막내인 우주소녀의 다영과 이채연[12]은 다른 멤버들과 나이건 연차건 꽤 큰 차이가 나는 편. 이채연은 데뷔로도 나이로도 가장 막내다.[13]
2. 특징
결성 당시엔 같은 신생팀인 아나콘다와 더불어 최약체 팀으로 꼽혔고[14] 시즌 2 리그전 당시 원더우먼을 향한 제작진의 지나친 편애로 들러리 취급을 당하는 굴욕을 받았으나, 멤버들의 부단한 노력을 바탕으로 한 기량 향상과 끈끈한 조직력[15]을 선보이며 시즌 2 리그전을 앞두고 결성된 신생팀들 중 상위 리그 승격은 물론, 최초로 토너먼트 진출, 결승전 진출, 그리고 슈퍼리그 우승까지 달성하며 챌린지리그 - 슈퍼리그 전승 통합 우승이라는 대기록을 이루었다. 그야말로 밑바닥에서 최정상까지 올라가는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성장이라는 테마를 잘 보여주는 팀.그러나 슈퍼리그 우승 후, 팀의 핵심 멤버 중 1명인 간미연이 하차하고, 감독 이동 셔플을 통해 최진철 감독이 신생팀 스트리밍파이터로 떠나고,
시즌 5까지는 승부차기에서 5전 5승을 기록한 승부차기 불패 팀이었다. 페널티킥 방어에도 일가견이 있는 골키퍼 아유미와 그 후계자 태미, 통산 승부차기 성공률 100%를 자랑하는 김보경, 채리나, 공민지가 승부차기 필승의 주역. 하지만 태미가 액셔니스타로 이적한 제1회 G리그에서 승부차기 6전 6패인 불나비를 상대로 치욕적(?) 승부차기 패를 당하면서 무패기록이 깨저버렸다.
야외경기장에서는 극도로 강하지만, 실내경기장에서는 약한 팀이다. 야외인 신안산대 풋살장에서는 챌린지-슈퍼리그 백투백 우승을 달성하며 통산 9승 1패를 기록 중이지만, 실내경기장에서는 시즌 2 리그전 5위로 슈퍼리그 승격 실패, 시즌 4 챌린지리그 강등, SBS컵 2회전 탈락 등 각종 흑역사를 썼다.[16] 그러던 중 실내경기장에서 열린 시즌 5 승강PO 경기에서 승리를 거두며 슈퍼리그로 재승격한 데 이어 다시 돌아온 시즌 6 슈퍼리그에서는 결승에 진출하며 실내경기장 징크스에 종지부를 찍는 듯 했으나... 제1회 G리그에서 충격적 4연패로 출전정지 플레이오프 대상이 되며 실내경기장 징크스가 재발해버렸다.
3. 감독
- 볼드 처리된 선수는 현재 담당 감독
||<tablewidth=75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dff2f,#adff2f><tablebgcolor=#ffffff,#1c1d1f><bgcolor=#adff2f,#adff2f><rowbgcolor=#adff2f,#adff2f><rowcolor=#000000,#000000><-2><|3> ||<-10> 역대 시즌 ||
<rowcolor=#000,#adff2f> 시즌 2 | 시즌 3 (슈퍼리그) | 시즌 4 (슈퍼리그) | 제1회 SBS컵 | 시즌 5 (챌린지리그) | 제2회 SBS컵 | 시즌 6 (슈퍼리그) | 제1회 G리그 | 제1회 GIFA컵 | |||
<rowcolor=#000000,#adff2f> (리그) | (챌린지리그) | ||||||||||
감독 | 최진철 | ||||||||||
최성용 | |||||||||||
김병지 | |||||||||||
김태영 |
3.1. 현재 감독
====# 최성용 #====FC 탑걸 감독 | |
최성용 崔誠勇 | Choi Sungyong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최성용/골 때리는 그녀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최성용/골 때리는 그녀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전 감독 #===
====# 최진철 #====
초대 · 3대 · 5대 FC 탑걸 감독 |
최진철 崔眞喆 | Choi Jin-Cheul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최진철/골 때리는 그녀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최진철/골 때리는 그녀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최성용 #====
2대 FC 탑걸 감독 |
최성용 崔誠勇 | Choi Sungyong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최성용/골 때리는 그녀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최성용/골 때리는 그녀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김병지 #====
4대 FC 탑걸 감독 |
김병지 金秉址|Kim Byung-Ji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병지/골 때리는 그녀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병지/골 때리는 그녀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김태영 #====
| |
6대 FC 탑걸 감독 | |
김태영 金太映|Kim Tae-Young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태영(1970)/골 때리는 그녀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태영(1970)/골 때리는 그녀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선수
- 볼드 처리된 선수는 현재 활동 선수
||<tablewidth=1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dff2f,#adff2f><tablebgcolor=#ffffff,#1c1d1f><rowbgcolor=#adff2f,#adff2f><rowcolor=#000000,#000000><-2><|3> ||<-10> 역대 시즌 ||
<rowcolor=#000000,#adff2f> 시즌 2 (리그) | 시즌 2 (챌린지리그) | 시즌 3 (슈퍼리그) | 시즌 4 (슈퍼리그) | 제1회 SBS컵 | 시즌 5 (챌린지리그) | 제2회 SBS컵 | 시즌 6 (슈퍼리그) | 시즌 7 (제1회 G리그) | |||
<rowcolor=#000000,#adff2f> 창단 | 와일드카드 | ||||||||||
선수 | 채리나 | ||||||||||
바다 | |||||||||||
간미연 | |||||||||||
아유미 | |||||||||||
유빈 | |||||||||||
문별 | |||||||||||
김보경 | |||||||||||
다영 | |||||||||||
공민지 | |||||||||||
태미 | |||||||||||
이채연 | |||||||||||
이유정 |
4.1. 현재 소속 선수
4.1.1. 채리나
| |
'''FC 탑걸 No. 3 C ''' | |
채리나 Chae Ri Na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채리나/골 때리는 그녀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채리나/골 때리는 그녀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1.2. 유빈
| |
FC 탑걸 No. 111 | |
유빈 YUBIN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빈/골 때리는 그녀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유빈/골 때리는 그녀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1.3. 김보경
| |
FC 탑걸 No. 2 | |
김보경 Kim Bo Kyung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보경(1990)/골 때리는 그녀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김보경(1990)/골 때리는 그녀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1.4. 다영
| |
FC 탑걸 No. 59 | |
다영 DAYOUNG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다영/골 때리는 그녀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다영/골 때리는 그녀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1.5. 이채연
| |
FC 탑걸 No. 270 | |
이채연 Lee Chae Yeon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채연/골 때리는 그녀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채연/골 때리는 그녀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1.6. 이유정
| |
FC 탑걸 No. 20 | |
이유정 Lee Yoo Jung |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유정(댄서)/골 때리는 그녀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유정(댄서)/골 때리는 그녀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2. 이전 소속 선수
4.2.1. 바다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바다(S.E.S.)/골 때리는 그녀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바다(S.E.S.)/골 때리는 그녀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2.2. 문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문별/골 때리는 그녀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문별/골 때리는 그녀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2.3. 간미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간미연/골 때리는 그녀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간미연/골 때리는 그녀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2.4. 아유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유미(연예인)/골 때리는 그녀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유미(연예인)/골 때리는 그녀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2.5. 공민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공민지/골 때리는 그녀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공민지/골 때리는 그녀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2.6. 태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태미/골 때리는 그녀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태미/골 때리는 그녀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행적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C 탑걸/행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FC 탑걸/행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콘텐츠
7. 여담
- 시즌 2 기준으로 유부녀들인 채리나, 바다, 간미연은 모두 연하남과 결혼했고, 미혼녀들인 아유미, 유빈, 문별, 김보경, 이채연은 집안에서 맏딸이라는 재미있는 공통점이 있었다.[17] 바다와 문별이 하차하고, 아유미가 연상과 결혼에 골인(?)한 시즌 3 기준으로는 무의미(?) 해졌지만.
- 팀 창단 이래 키 170cm 넘는 사람이 없었다. 하차 멤버까지 포함하면 역대 최장신 선수가 키 169cm인 간미연.[18] 비록 축구가 키로 하는 운동은 아니라지만 비슷한 컨셉(?)의 가수팀 발라드림이 원년멤버들이 하차할 때마다 서문탁, 리사, 케이시 등 장신 발라드 가수들을 집중적으로 영입해 수비진을 장신화시킨 것과 대조적.
- 문별이 있던 시절에는 문별을 막내로 만들어버리는 무시무시한 가요계 선배들이 즐비한 팀이라 경기 중간의 영상들을 보면 언니들 보좌하느라 바쁘게 움직이는 문별을 발견할 수 있었다.[19] 문별이 하차한 후에는 새로운 막내인 다영이 문별의 포지션을 그대로 승계했다.
- 시즌 2 창단 동기인 FC 아나콘다만큼은 아니지만, 탑골가요라는 컨셉을 기본으로 깔고 가던 초창기만 해도 인재영입이 어려운 팀이었다. 컨셉 때문에 1990년대~2000년대 초반을 풍미했던 걸그룹 멤버들을 중심으로 선수를 수급할 수 밖에 없었고,[20] 이 때문에 상술했던 높은 평균 나이와 여기서 기인한 저질체력 문제가 두드러지기 때문이다. 그렇다보니 차라리 막내 문별이 데뷔한 2014년을 기준으로 삼아서 아이돌들의 레드오션 시기였던 2010년대부터 2020년대에 데뷔해서 나이가 상대적으로 젊은 걸그룹 멤버들을 주축으로 팀을 짰어야 했다[21]는 의견도 종종 나오고 있다.[22] 다만 김보경이 추가로 투입되면서 옛 걸그룹이라는 카테고리에 솔로 여가수가 추가되었고, 현 시점에서 여자 가수 팀이 없는걸 생각하면 다음 시즌에서는 멤버 구성시 좀 더 폭 넓게 섭외될 가능성이 생긴 줄 알았으나... 바다를 제외한 나머지 6인이 전원 잔류 의사를 밝혔고, 발라드 여가수들의 팀 FC 발라드림이 새로 리그에 합류했다.[23] 다만 이러한 단점을 제작진에서도 인지한 것인지 문별, 다영 등 2010년대에 데뷔해 상대적으로 젊은 걸그룹들도 섭외하고 있다.
- 시즌 4에서 강등된 뒤 주장 채리나의 주도로 시즌 5부터 경기 전 외치는 구호가 바뀌었다. 아래는 바뀌기 전 구호이다.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5px; margin: 5px 0; border: 2px dashed #000; border-left: 5px solid #adff2f; background: rgba(28, 29, 31, .02)" dark-style="border: 2px dashed #adff2f; border-left: 5px solid #adff2f"
"탑걸 탑걸 올라가!"
}}}- 탑걸이 아직까지 한번도 이겨본 적이 없는 팀은 불나비다.[24]
[A] 기준: 데뷔전부터, 올스타전 제외[A] [A] [A] [A] [A] [7] 골때녀 역사상 최다 연승 공동 1위.[A] [A] [10] 2024년 시즌 6 기준 85년, 시즌이 지날수록 감소하는 추세다.[11] 창단시즌 정규 첫경기를 제외하고, 2번째 경기부터 합류한 김보경은 걸그룹 출신이 아닌 락 솔로 가수이다. 팀의 맏언니 채리나가 속한 룰라는 혼성그룹이지만, 채리나 역시 걸그룹 활동 경력이 있다.[12] 2000년생이지만 빠른년생을 적용한다.[13] 상술했듯 나이는 이채연이 빠른생일을 사용해 다영과 동갑이지만, 데뷔는 다영이 2년 빠르고, 맏언니인 채리나와는 데뷔는 23년, 나이는 21살 차이가 난다. 특히 언니 라인인 채리나와 간미연은 둘이 태어나기도 전에 데뷔했을 정도로 연차 차이가 많이 나는 편.[14] 사실 상대 전적만 탑걸이 아나콘다를 앞설 뿐 상황은 아나콘다가 훨씬 나은 편이었다. 필드 득점도 아나콘다가 더 많은 편이었고, 기존팀을 상대로 두번이나 승부차기(무승부)까지 끌고 가기도 했으니. 거기에 아나콘다는 전패 팀이라는 이미지가 워낙 강하게 박혀 있어서 언더독으로서 인기라도 많았지만, 탑걸은 비교적 소외되는 경향이 강했다.[15] 현존하는 11개 팀 중 완전 신생팀인 스밍파를 제외하고 하차없이 잔류한 창단 멤버가 33%(6명 중 2명)로 가장 높다. 시즌 2 리그전 도중 와일드 카드로 합류한 김보경을 준창단멤버로 치면 43%.[16] 탑걸과 비슷한 징크스를 가진 팀이 아나콘다이다. 통산 2승을 모두 신안산대 풋살장에서 개벤져스를 상대로 따냈지만, 실내경기장에서는 얄짤없이 전패 중.[17] 그 중에서도 창단멤버인 아유미와 유빈은 남동생이 하나, 추가충원멤버인 문별과 김보경 & 제 2회 컵대회를 앞두고 들어온 이채연은 여동생만 둘이다.[18] 다른 팀으로는 FC 스트리밍파이터, FC 개벤져스가 있다. 그나마 개벤져스는 178cm 이은형이 있었지만 시즌 5를 끝으로 출산준비를 위해 축구화를 벗었다. 원더우먼은 창단 당시에는 탑걸과 같은 상황이었지만, 와일드카드로 172cm인 주명이 합류하면서 이 문제가 해결되는듯 했으나... 시즌 2 챌린지리그에서 주명이 하차하면서 도루묵이 되었다가 시즌 4 챌린지리그부터 178cm 김설희가 가세했다.[19] 문별도 2014년에 데뷔했기 때문에 2023년 기준으로 9주년, 10년차를 맞이하고 있어서 음악방송이나 예능에 나가면 선배보다 후배가 더 많아진 편인데 이 팀에는 문별보다 연차가 두세배는 더 많은 사람들이 즐비하다. 맏언니 채리나가 1995년, 바다와 간미연이 1997년 데뷔다. 아유미도 2002년 데뷔라 20년 넘었고, 막내급인 유빈도 2007년 데뷔다. 유빈도 여기서는 경력으로 명함을 못 내밀 정도다.[20] 각 분야의 힙한 참가자들을 모았기 때문에 인원을 수급할 때 제약이 없어서 실력자들을 눈치 보지 않고 영입할 수 있는 FC 원더우먼과의 결정적인 차이점이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채리나가 애초에 원더우먼 멤버들의 섭외부터 다른 팀과 형평성이 맞지 않는 것 같다고 인스타그램 라이브를 통해 밝히기도 했다. # 그래서인지, 팀의 경력 합계도 시즌 1에 비해 30년 가까이 깎인 모양.[21] 이는 멤버들의 연령대 문제도 해결할수 있음은 물론, 2020년대부터 아이돌들이 방송에서의 입지가 좁아지면서 중소기획사 출신&신인 아이돌들은 음악방송 외에는 별다른 활동이 없어졌음을 감안하면 아이돌들 입장에서도 본인과 그룹의 이름을 알릴 수 있는 기회가 되기 때문에 충분히 감안할 수 있는 선택지였지만, 팀의 컨셉을 살리기 위해서인지 제작진에서는 이 부분을 고려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22] 다만 현역 아이돌들의 경우 아이돌스타 선수권대회에서 이미 숱한 선례가 있었듯이 예능 나갔다가 혹시나 부상이라도 당하면 음반 활동에 차질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각 기획사에서 반려했을 가능성도 높다. 게다가 골때녀를 의식한 것인지 2022년 아육대에는 2016년 이후 6년만에 풋살 종목이 부활했다.[23] 다만 김보경도 가수로서의 정체성만 보면 발라드 가수에 더 가깝긴 하다.[24] 불나비 3전 전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