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fff 20%, #fff 80%, #fff)" {{{#!wiki style="margin: 0 -5px -0px;" {{{#373a3c,#373a3c {{{#!folding [ Discography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 | ||||
ゼイタクビョウ 2007 | BEAM OF LIGHT 2008 | 感情エフェクト 2008 | Nicheシンドローム 2010 | 残響リファレンス 2011 | |
人生×僕= 2013 | 35xxxv 2015 | Ambitions 2017 | Eye of the Storm 2019 | Luxury Disease 2022 | |
DETOX 2025 | |||||
}}}}}} ||
<colbgcolor=#26314b><colcolor=#ffffff> DETOX | |
| |
아티스트 | ONE OK ROCK |
발매일 | 2025년 2월 21일 |
재생 시간 | 38:05 |
곡수 | 11곡 |
장르 | - |
레이블 |
10969 |
Fueled by Ramen |
1. 개요
이번 앨범을 만드는 과정에서 약 40페이지 정도의 책을 한 권 만들었습니다. 그 책을「DETOX」 에 참여하는 프로듀서와 송라이터, 감독을 포함한 모든 스태프에게 읽게 한 뒤, 제 생각에 공감하는 사람들을 모아 제작했습니다. 주된 내용은 일본과 미국의 전후 역사, 현재 일본의 정치 상황과 거기에 이른 이유 등 사회적인 내용입니다. 제 나름대로 해석한 부분이긴 하지만, 역사를 꼼꼼히 되짚어보며 제가 납득할 수 없는 점, 그렇기에 꼭 전하고 싶은 내용, 그리고 앨범의 콘셉트까지 강한 의지를 담아 적었습니다.[1]
저로서는 세계를 도는 일본 록 밴드라는 시점에서, 미국에 거주하며 세계에서 일본을 바라보고, 일본에서 세계를 바라보는 입장에 있습니다. 이런 입장에서 의견을 말할 수 있는 뮤지션이나 아티스트는 많지 않다고 생각해 왔기 때문에, 이번 기회를 절대 놓쳐서는 안 된다고 느꼈습니다. 저희로서는 이 이야기를 전함으로써 밴드로서도 성장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이것이 우리에게 주어진 사명이라고 생각하며 이번 작업에 임했습니다. [2]
ONE OK ROCK의 11번째 정규앨범. 2025년 2월 21일에 발매되었다. 저번 앨범에 이어서 마이 케미컬 로맨스, 그린 데이의 앨범을 프로듀싱했던 롭 카발로(Rob Cavallo)가 프로듀서로 참여하였다.
이번 앨범은 인터내셔널판에도 일본어 가사가 다수 포함되어 있다. 이전 앨범에서는 'When They Turn the Lights On'의 마지막 부분에만 일본어 가사가 사용된 것과 비교하면 더 많은 일본어 가사가 수록된 셈이다.
2. 트랙 리스트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26314b><tablebgcolor=#26314b> | DETOX 트랙리스트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타이틀곡과 싱글은 볼드 처리 | ||||||
<rowcolor=#ffffff> 트랙 | 제목 | 작사 / 작곡 | 재생 시간 | ||||
1 | NASTY | Taka, William Wiik Larsen, Robert Phipps, Derek Tyler Carter | 3:23 | ||||
2 | Dystopia[A] | Taka, Jin Jin, Pete Nappi, Derek Tyler Carter, Elijah Noll | 3:09 | ||||
3 | Tropical Therapy | Taka, Pete Nappi, Jin Jin, Derek Tyler Carter | 3:28 | ||||
4 | Delusion:All | Taka, Dan Lancaster, Jason Aalon, Derek Tyler Carter | 3:04 | ||||
5 | Party’s Over | Taka, Toru, Dan Lancaster, MEG, Derek Tyler Carter | 2:58 | ||||
6 | Puppets Can't Control You[A] | Taka, DAI DAI, Gianni Taylor, Dru Decarro, Derek Tyler Carter | 3:14 | ||||
7 | Tiny Pieces | Taka, Dan Lancaster, Sasha Sirota, Derek Tyler Carter | 3:34 | ||||
8 | This Can’t Be Us | Taka, Pete Nappi, Jin Jin, Derek Tyler Carter | 4:17 | ||||
9 | +Matter | Taka, Pete Nappi, Derek Tyler Carter, Jason Aalon, DAI DAI | 3:52 | ||||
10 | C.U.R.I.O.S.I.T.Y. (feat. Paledusk and CHICO CARLITO) | Taka, Toru, Tomoya, Ryota, David Pramik, Dru Decarro, Tenma Tai, Soma Genda, Jamil Kazmi, DAI DAI, Kaito, Chico Carlito, Derek Tyler Carter | 3:08 | ||||
11 | The Pilot </3 | Taka, Pete Nappi, Jin Jin, Derek Tyler Carter | 3:51 | ||||
|
2.1. NASTY
음원 |
2.2. Dystopia
뮤직 비디오 |
2.3. Tropical Therapy
뮤직 비디오 |
2.4. Delusion:All
뮤직 비디오 |
2.5. Party’s Over
음원 |
2.6. Puppets Can't Control You
음원 | 음원 (Japanese Version) |
2.7. Tiny Pieces
음원 |
2.8. This Can’t Be Us
음원 |
2.9. +Matter
뮤직 비디오 |
2.10. C.U.R.I.O.S.I.T.Y. (feat. Paledusk and CHICO CARLITO)
음원 |
See(C) everything that you(U)
Really fucking are(R)
I-O-S
And I hate reality(T)
Sometimes I don't know why(Y)
곡의 후렴구에서 제목을 하나하나 끊어서 발음하는 것이 특징이며, 9집 수록곡 Wasted Nights의 가사를 인용한 부분이 있다.[6]Really fucking are(R)
I-O-S
And I hate reality(T)
Sometimes I don't know why(Y)
2.11. The Pilot </3
음원 |
3. 차트 성적
차트 (2025) | 최고순위 | 비고 |
일본 주간 앨범 차트 (오리콘) | 2위 | |
일본 Hot 앨범 차트 (Billboard Japan) | 2위 |
[1] https://www.fashion-press.net/news/129017[2] https://www.j-wave.co.jp/original/tokyounited/archives/the-hidden-story/2025/02/21-101743.html[A] 일본판에는 일본어 가사 수록.[A] [5] Party’s Over 가사의 '雨にうたれりゃ寒かろに(비에 맞으면 추울텐데)'는, '越冬つばめ(월동 제비)'의 '吹雪に打たれりゃ 寒かろに'(눈보라에 맞으면 추울텐데)를 오마주한 것으로 보인다.[6] No more wasted nigh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