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JR 화물의 철도차량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color: #000000,#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word-break: keep-all" | 디젤기관차 | |
| DD51형 · DE10형 · DF200형 · DD200형 · HD300형 | ||
| 전기기관차 | ||
| EF64형 · EF65형 · EF66형 · ED75형 · EF81형 · EF210형 EF510형 · EH200형 · EH500형 · EH800형 • EF200형 | ||
| 화물 전동차 | ||
| M250계 | ||
| 회색: 퇴역 차량 | }}}}}}}}} | |
|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 JR 화물 DD200형 디젤기관차 JR 貨物 DD200形デイーゼル機関車 JR Freight Class DD200 | }}} | ||
| | ||||
| <colcolor=#477897> 차량 정보 | ||||
| 구분 | 전기식 디젤 기관차 | |||
| 용도 | 화물,입환용 디젤기관차 | |||
| 기관 형식 | 코마츠제 FDML30Z형 | |||
| 생산량 | 9량 | |||
| 대차 형식 | Bo-Bo | |||
| 제작 시기 | 2017년 ~ | |||
| 제작사 | 가와사키 중공업 | |||
| 소유 기관 | JR 화물, JR 큐슈 케이요 임해철도 | |||
| 운영 기관 | ||||
| 차량 제원 | ||||
| 전장 | 15,900㎜ | |||
| 전폭 | 2,974㎜ | |||
| 전고 | 4,079㎜ | |||
| 궤간 | 1,067㎜ | |||
| 차중 | - | |||
| 제어 방식 | VVVF 인버터 제어 | |||
| 주 발전기 | 형식 | FMT102형 3상 교류 농형 유도전동기 | ||
| 출력 | 160 kW X 4개 | |||
| 구동 방식 | 조괘구동방식 | |||
| 기관 출력 | 895 kw / 1,900 rpm(1,217 ps) | |||
| 최고 속도 | 설계 | 120㎞/h | ||
| 영업 | 110㎞/h | |||
1. 개요
JR 화물이 비전화 구간의 화물열차 견인 및 화물역 구내의 입환 작업에 모두 사용되고 있던 DE10형, DE11형 등의 액체식 디젤기관차가 노후화되자 이를 대체하기 위해 2017년부터 도입하고 있는 디젤 전기식 기관차.2021년에는 JR 큐슈에서도 해당 차량을 도입했다.
2. 설명
이 차량은 DF200형 디젤기관차와 EF210형 전기기관차의 기술을 응용하고 각종 탑재 장비를 최대한 공통화함으로써 개발 및 유지 비용 절감을 도모하였다.3. 기타
JR 이외에서는 케이요 임해철도에서 이 차량을 도입할 예정이라고 하며, 2021년 5월에 도입될 예정이라고 한다.JR 큐슈 소속으로 나나츠보시 in 큐슈, 50계 객차 등의 견인 목적으로 사용하는 기관차가 있다. 2021년에 1량, 2025년에 1량을 도입해서 총 2량이 재적중이다. 중련운전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