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리 아일리시|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nopad>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nt-weight: 700"
- [ 정규 앨범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9b9b9b><width=33.3%><nopad>
||<width=33.3%><nopad>
||<width=33.3%><nopad>
||
'{{{-1 [[WHEN WE ALL FALL ASLEEP, WHERE DO WE GO?|{{{#000,#f7f7f7 WHEN WE ALL FALL ASLEEP, WHERE DO WE GO?''}}}]]}}}1집'''
2019. 03. 29.'{{{-1 [[Happier Than Ever|{{{#906f51 Happier Than Ever''}}}]]}}}2집'''
2021. 07. 30.'{{{-1 [[HIT ME HARD AND SOFT|{{{#0c3048,#969b8a HIT ME HARD AND SOFT''}}}]]}}}3집'''
2024. 05. 17.
- [ 수록 싱글 ]
- ||<-5><tablewidth=100%><width=1000><tablebgcolor=#fff,#191919><bgcolor=#EFDA85> ||
- [ 기타 싱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tablecolor=#9b9b9b><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width=25%><nopad>
||
- [ 관련 문서 ]
- ||<-2><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1000> 음반 ||<width=50%> 빌리가 리사를 만났을 때 ||
빌리 아일리시의 싱글 | ||
← | <keepall> CHIHIRO (2025) | → |
'''[[Brat and it's completely different but also still brat| Brat and it's completely different but also still brat ]]Guess''' (2024) | '''[[HIT ME HARD AND SOFT| HIT ME HARD AND SOFT ]]WILDFLOWER''' (2025) |
<colbgcolor=#0c3048><colcolor=#969b8a> The 3rd Single from HIT ME HARD AND SOFT CHIHIRO | |
| |
아티스트 | 빌리 아일리시 |
발매일 | 2025년 1월 17일 |
장르 | 프로그레시브 하우스, R&B |
길이 | 5:03 |
레이블 | 다크룸 레코드, 인터스코프 레코드 |
송라이터 | 빌리 아일리시 오코넬, 피니어스 오코넬 |
프로듀서 | 피니어스 오코넬 |
수록 음반 | [[HIT ME HARD AND SOFT| HIT ME HARD AND SOFT ]] |
1. 개요
|
I don't, I don't know, Why I called |
2. CHIHIRO
<keepall> '''CHIHIRO 5:03 Billie Eilish''' |
|
2.1. 뮤직비디오
CHIHIRO Music Video |
2.2. 리릭비디오
CHIHIRO Lyric Video |
3. 성적
||<-3><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c3048,#f1edec><tablebgcolor=transparent><bgcolor=#0c3048,#f1edec><color=#969b8a,#191919> CHIHIRO
차트 기록 ||
차트 기록 ||
| 12위 | |
| 7위 | |
| 985,597,457회 | |
[[유튜브| 유튜브 | 152,420,650회 | |
4. 여담
- 애니메이션 영화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곡 제목을 따왔다. 이번 앨범은 전반적으로 사랑과 혐오, 상실감 등을 주제로 담았는데, 센이라는 이름으로 살아가며 치히로라는 본명을 잃어가던 오기노 치히로와 같이 본인도 무대 후 후유증과 신체 혐오, 본인을 이용해먹으려는 남자친구와의 이별 등으로 인해 본인을 잃어가는 과정에서 동성에 대한 호기심을 느끼고 자아를 다시 찾아가는 과정을 담아냈다는 점에서 궤를 같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