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2. 조이 드류 스튜디오 및 젠트 사 직원
2.1. 헨리 스타인(Henry Stein)2.2. 조이 드류(Joey Drew)2.3. 새뮤얼 로렌스(Samuel Lawrence)2.4. 다니엘 르웩(Daniel Lewek)2.5. 라일리 웰스(Riley Wells)2.6. 잭 페인(Jack Fain)2.7. 노먼 포크(Norman Polk)2.8. 수지 캠벨(Susie Campbell)2.9. 앨리슨 펜들(Allison Pendle)2.10. 버트럼 피드몬트 (Bertrum Piedmont)2.11. 토마스 코너 (Thomas Connor)2.12. 월리 프랭크스 (Wally Franks)2.13. 숀 플린 (Shawn Flynn)2.14. 그랜트 코헨 (Grant Cohen)2.15. 레이시 벤턴 (Lacie Benton)2.16. 네이선 아치(Nathan Arch)2.17. 윌슨 아치(Wilson Arch)2.18. 오드리(Audrey)
3. 잉크 괴물3.1. 벤디(Bendy)3.2. 늑대 보리스(Boris the Wolf)3.3. 앨리스 앤젤(Alice Angel)3.4. 버쳐 갱(The Butcher Gang)3.5. 새미 로렌스(Sammy Lawrence)3.6. 영사기사(The Projectionist)3.7. 베티(Betty)3.8. 키퍼(The Keepers)3.9. 서쳐(The Searchers)
4. 스핀오프3.9.1. 부푼 잭(Swollen Jack)3.9.2. 럴커/빅 스티브(Lurker/Big Steve)
3.10. 로스트 원(The Lost Ones)3.11. 블러드 휠(Blood Wheel)3.12. 방황의 죄악(Wandering Sin)1. 개요
Bendy 시리즈의 등장인물에 대해 서술한 문서.2. 조이 드류 스튜디오 및 젠트 사 직원
2.1. 헨리 스타인(Henry Stein)
'''{{{+1 {{{#!wiki style="display:inline;font-family:Times New Roman,serif;font-style:Bold" | |
<nopad> |
2.2. 조이 드류(Joey Drew)
'''{{{+1 {{{#!wiki style="display:inline;font-family:Times New Roman,serif;font-style:Bold" | |
<nopad> |
2.3. 새뮤얼 로렌스(Samuel Lawrence)
'''{{{+1 {{{#!wiki style="display:inline;font-family:Times New Roman,serif;font-style:Bold" | |
<nopad> 파일:Bendy and the Ink Machine 로고.png |
2.4. 다니엘 르웩(Daniel Lewek)
'''{{{+1 {{{#!wiki style="display:inline;font-family:Times New Roman,serif;font-style:Bold" | |
<nopad> |
2.5. 라일리 웰스(Riley Wells)
'''{{{+1 {{{#!wiki style="display:inline;font-family:Times New Roman,serif;font-style:Bold" | |
<nopad> |
2.6. 잭 페인(Jack Fain)
'''{{{+1 {{{#!wiki style="display:inline;font-family:Times New Roman,serif;font-style:Bold" | |
<nopad> 파일:Bendy and the Ink Machine 로고.png |
2.7. 노먼 포크(Norman Polk)
'''{{{+1 {{{#!wiki style="display:inline;font-family:Times New Roman,serif;font-style:Bold" | |
<nopad> 파일:Bendy and the Ink Machine 로고.png |
2.8. 수지 캠벨(Susie Campbell)
'''{{{+1 {{{#!wiki style="display:inline;font-family:Times New Roman,serif;font-style:Bold" | |
<nopad> 파일:Bendy and the Ink Machine 로고.png |
2.9. 앨리슨 펜들(Allison Pendle)
'''{{{+1 {{{#!wiki style="display:inline;font-family:Times New Roman,serif;font-style:Bold" | |
<nopad> |
2.10. 버트럼 피드몬트 (Bertrum Piedmont)
'''{{{+1 {{{#!wiki style="display:inline;font-family:Times New Roman,serif;font-style:Bold" | |
<nopad> |
드류 씨! 당신이 내게 월급을 주는 사람일지는 몰라도 난 당신의 소유물 같은 게 아니야!
난 당신이 상상하는 그 어떤 것보다도 훨씬 커다란 테마파크를 만들고 말겠어!
You may be paying me, Mister Drew! But you don't own me!
I'll build you a park bigger than anything you could ever possibly conceive!
챕터 4에서 처음으로 언급되는 인물로, 조이 드류 스튜디오에서 일하던 직원이다. 하지만 정식 직원은 아니다. 벤디를 이용한 테마파크(놀이공원) '벤디 랜드'를 기획하고 디자인하던 사람. 성우는 조 J 토마스가 맡았다. 이 성우는 챕터 4 중간에 등장하는 울먹이던 로스트 원(Lost One)의 목소리도 맡았다.난 당신이 상상하는 그 어떤 것보다도 훨씬 커다란 테마파크를 만들고 말겠어!
You may be paying me, Mister Drew! But you don't own me!
I'll build you a park bigger than anything you could ever possibly conceive!
본인이 만들었던 작업물에 자부심이 엄청난 사람으로, 스스로를 '위대한 버트럼 피드몬트'라고 칭하며 자랑스러워하던 사람이었다. 하지만 테마파크를 만들 때 들였던 노력을 인정받지 못한 채로 조이가 본인을 쫓아내려고 하자 그에게 단단히 화가 나 있었다.
이름이 독특한 탓인지 조이는 항상 이 사람을 본명대로 부르지 않고 버티(Bertie) 같은 별명으로 부르는데, 버트럼은 이걸 엄청나게 싫어했다. 한 술 더 떠서 조이의 메모 중 하나에 이 사람의 이름이 버니(Bernie)라고 적힌 걸 보면 그냥 조이가 버트럼의 이름을 잘 기억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후 챕터 5를 클리어한 후 얻을 수 있는 도구(Seeing Tool)를 사용하면 스튜디오에 놓여져 있던 관들 중 하나에서 버트럼의 이름이 쓰여진 것을 볼 수 있는데, 그도 결국은 조이에 의해 희생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2.11. 토마스 코너 (Thomas Connor)
'''{{{+1 {{{#!wiki style="display:inline;font-family:Times New Roman,serif;font-style:Bold" | |
<nopad> |
내가 계속 사람들한테 말하고는 있어.
조이 드류 씨가 매번 이런 식으로 대충 넘어간다면 분명 누가 죽겠다고.
그리고 난 절대 그 꼴이 되진 않을거야.
I keep telling these people,
if Mister Joey Drew keeps cutting corners like this, someone's sure to end up falling to their death.
And it sure ain't gonna be me.
조이 드류 스튜디오의 협력 업체인 젠트(Gent)에서 파견된 수리공. 조이 드류 스튜디오의 여러 가지 시설들을 개발하고 수리하던 일을 맡았었다. 매우 걸걸한 목소리가 특징인 사람으로, 성우는 게임의 공동 제작자인 마이크 무드(Mike Mood)가 맡았다.조이 드류 씨가 매번 이런 식으로 대충 넘어간다면 분명 누가 죽겠다고.
그리고 난 절대 그 꼴이 되진 않을거야.
I keep telling these people,
if Mister Joey Drew keeps cutting corners like this, someone's sure to end up falling to their death.
And it sure ain't gonna be me.
수리공으로 파견되었지만 워낙에 파이프가 자주 터져 잉크가 마구 새어나오고 불안정한 잉크 기계와 제멋대로 작동하는 엘리베이터 등 여러 기계들이 문제가 많았던 탓에 진절머리가 났던 모양이다.
게임 시점에서는 정확히 어떻게 됐는지 알 수 없지만, 대신 그의 이름과 동일한 "톰"이라는 보리스가 등장한다. 엔딩 시점에서 밝혀진 바에 의하면 앨리슨과 결혼한 부부 사이가 되어 잘 지내고 있다.
2.12. 월리 프랭크스 (Wally Franks)
'''{{{+1 {{{#!wiki style="display:inline;font-family:Times New Roman,serif;font-style:Bold" | |
<nopad> |
난 여기 그만둘 거야!
I'm outta here!
조이 드류 스튜디오에서 일하던 청소부. 성우는 헨리, 노먼과 같은 theMeatly이다.I'm outta here!
주로 맡던 일은 스튜디오의 청소지만 청소부 일 외에도 수위나 수리공 같은 역할도 하는 등 그냥 잡역부인 듯. 특유의 브루클린 억양이 인상적인 사람으로, 챕터 1부터 챕터 5까지 빠지지 않고 꾸준히 녹음본으로 등장하는 캐릭터이다.
열쇠를 잘 잃어버리는 걸 보면 상당히 덜렁대는 성격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새미에게 혼쭐이 난 적이 있어, 새미와도 영 사이가 좋지 않다.
자신의 회사를 그리 좋게 생각하지 않는 듯 언제나 녹음본 끝에 "여기 그만둘 거야(I'm out of here)"를 붙인다. 이게 상당히 인기가 있어서 이 대사가 아예 월리의 캐치프레이즈로 자리잡았으며 공식 상품에도 그의 녹음기에 "I'm outta here!(나 여기 그만둘 거야!)"이라고 써있는 그림이 그려진 상품이 있다.
월리는 스튜디오 내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도 몰랐다. 그의 녹음본 속 내용은 자신의 직장에 불만을 가진 내용들이 대부분이고, 후속작인 Boris and the Dark Survival에서 수리공인 토마스 코너는 스튜디오 내에서 여는 과학 프로젝트에도 참가하지 않았다고 언급하는데, 월리의 성격상 그냥 관심이 없었거나 귀찮아서 참가하지 않은 것이겠지만 스튜디오의 직원들 대부분이 조이의 계획으로 인해 희생되었으니, 어찌 보면 그의 이런 행동이 신의 한 수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엔딩 시점에서 월리가 조이에게 보낸 편지로 근황이 밝혀지는데, 결국은 항상 외치던 말처럼 스튜디오를 그만두고 나서 결혼도 하고 손주들을 볼 나이가 되어 플로리다에서 가족들과 잘 지내고 있다는 게 언급된다. 헨리와 더불어 조이한테 희생되지 않은 캐릭터 중 하나이다.
특유의 약간 바보 같고 덜렁대는 성격 때문인지 작중 월리의 녹음본 속 내용들은 게임의 어두운 분위기를 조금이나마 환기시켜 준다. 일종의 개그 캐릭터라고 할 수 있는 셈.
헨리를 제외한 직원들 중에서 유일하게 챕터 1부터 5까지 출연한 직원이다.
2.13. 숀 플린 (Shawn Flynn)
'''{{{+1 {{{#!wiki style="display:inline;font-family:Times New Roman,serif;font-style:Bold" | |
<nopad> |
그게 뭔 대수인지 참.
I don't be seein' what the big deal is.
조이 드류 스튜디오의 장난감 부서에서 일하던 장난감 제작자 겸 관리자. 성우는 유튜버인 Jacksepticeye[1]가 맡았다.I don't be seein' what the big deal is.
그의 녹음본에 따르면 어느날 숀이 벤디 인형 몇 개에다 미소를 잘못 그렸는데 조이가 이를 보고 매우 화냈다고 한다. 숀은 이런 그의 행동을 이해하지 못하면서 조이가 자신한테 하나도 도움이 안 된다고 투덜대며 앨리스의 인형이 팔리지도 않으니 죄다 없애버려야겠다고 언급한다.
이후 챕터 3을 마지막으로 숀은 다시 등장하지 않는데, 이야기의 끝을 맺는 챕터 5에서도 등장하지 않았고 직원들의 이름이 적힌 관에서도 이름이 발견되지가 않아서 그가 죽었는지, 살았는지 생사가 불분명하다. 그래도 후속작인 Boris and the Dark Survival에서 다시 등장하였으니 Bendy and the Dark Revival에서 다시 재등장한다면 이후에 어떻게 되었는지 밝혀질 것으로 추측된다.
Bendy and the Dark Revival에서 밝혀진 바로는, 그는 스튜디오에서 일하는 것이 자신의 삶을 사는 것과 가족과 함께 생활하는 것을 막는다고 여겨 스튜디오를 떠났다고 한다. 조이 드류에게 희생되지 않은 직원들 중 하나.
2.14. 그랜트 코헨 (Grant Cohen)
'''{{{+1 {{{#!wiki style="display:inline;font-family:Times New Roman,serif;font-style:Bold" | |
<nopad> |
드류 씨의 진짜 문제점은 그가 직원들한테 아무 얘기도 안 해준다는 거야.
They say the real problem with Mr. Drew is that he never actually tells us little people anything.
조이 드류 스튜디오의 예산을 관리하던 회계사. 성우는 유튜버이자 팬곡인 Build Our Machine의 제작자로 유명한 DAGames가 맡았다.They say the real problem with Mr. Drew is that he never actually tells us little people anything.
챕터 3에서 녹음기로 처음 등장하며 조이가 직원들에게 한 마디도 말해주지 않고 예산이나 낭비해댄다고 불평하면서 조이가 무언가 큰 계획을 구상 중인데 그것에 얼마나 많은 예산이 들어갈지 걱정하고 있었다.
이후 챕터 4에서는 그랜트가 예산을 관리하며 일하던 사무실이 나오는데 그에게 무슨 일이 있었던 것인지 벽이 온통 글씨로 빼곡히 채워져 있으며 책상에 있던 녹음기에는 고통스럽게 잉크 괴물로 변화해가는 과정이 담겨있다.[2] 게임 내에서 직접 모습을 드러내지는 않지만 모종의 이유로 그는 점점 정신이 이상해졌으며 최후에는 잉크 괴물이 되어버린 것으로 보인다. 챕터 4~5에서 그가 잉크 괴물로 변이한 모습은 아예 볼 수가 없지만 후속작인 Bendy and the Dark Revival에서 등장할 가능성도 있다.
2.15. 레이시 벤턴 (Lacie Benton)
'''{{{+1 {{{#!wiki style="display:inline;font-family:Times New Roman,serif;font-style:Bold" | |
<nopad> |
난 대부분의 시간을 나 혼자서 보내거든. 나한테는 그러는 게 딱이야.
I get most of my time to myself. Suits me just fine.
조이 드류 스튜디오에서 일하던 직원. 성우는 라니 미넬라가 맡았다. 중성적인 목소리 때문에 성별을 알기 어려운데, 여성 캐릭터이다. '레이시'는 여자 이름이며, 성우 또한 여성이다.I get most of my time to myself. Suits me just fine.
벤디 랜드의 건설을 돕던 직원으로,[3] 같은 현장에서 일하던 다른 직원들의 행동을 답답해 하며 영 못마땅해 했고, 그 때문에 혼자 일하는 것을 선호했다. 직원들 중에서는 버트럼과 관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그가 한창 작업 중이던 벤디 모양 애니매트로닉스 로봇을 소름끼친다며 몹시 싫어했다.
작중 시점에서 레이시가 어떻게 되었는지 제대로 나오지 않아 행방은 알 수 없으나 챕터 5 클리어 이후 주어지는 도구(Seeing Tool)로 스튜디오에 있던 관들을 보면 관 하나의 뚜껑 위에 레이시의 이름이 적혀있는 것으로 보아 결국 희생당하여 죽음을 맞이한 것으로 보인다.
2.16. 네이선 아치(Nathan Arch)
'''{{{+1 {{{#!wiki style="display:inline;font-family:Times New Roman,serif;font-style:Bold" | |
<nopad> |
2.17. 윌슨 아치(Wilson Arch)
'''{{{+1 {{{#!wiki style="display:inline;font-family:Times New Roman,serif;font-style:Bold" | |
<nopad> |
2.18. 오드리(Audrey)
'''{{{+1 {{{#!wiki style="display:inline;font-family:Times New Roman,serif;font-style:Bold" | |
<nopad> |
3. 잉크 괴물
3.1. 벤디(Bendy)
3.1.1. 거대 벤디 손(Giant Bendy Hand)
3.2. 늑대 보리스(Boris the Wolf)
3.2.1. 버디 보리스(Buddy Boris)
3.2.1.1. 브루트 보리스(Brute Boris)
3.2.2. 톰(Tom)
3.2.3. 보르키스(Borkis)
3.3. 앨리스 앤젤(Alice Angel)
3.3.1. 뒤틀린 앨리스(Twisted Alice)
3.3.2. 앨리슨 앤젤(Alice Angel)
3.4. 버쳐 갱(The Butcher Gang)
3.5. 새미 로렌스(Sammy Lawrence)
3.6. 영사기사(The Projectionist)
3.7. 베티(Betty)
본작에 등장하는 새로운 캐릭터로, 종족은 불명이지만 얼굴 부분이 가면을 쓴 듯한 모습에다 손은 마녀처럼 손톰이 길다. 트레일러에서 이곳에 있는 모두가 말을 못하거나 미쳐버렸다고 조언을 해주는 모습으로 등장하여 조력자로 생각할 수도 있으나, 의문점이 있는데, 포터와 앨리슨처럼 전신사진이 공개되고, 포터처럼 이름이 밝혀졌으나, 둘과는 다르게 설명문구가 나와있지 않다. 그래서 게임이 정식 출시되기 전까진 아군인지 적인지 확실히 공개되지 않았던 캐릭터이다.본편에서는 챕터 5에서 등장한다. 윌슨의 거처에서 그의 관리인으로 일하고 있는 존재로, 본인 말로는 수 차례 실패한 실험 끝에 탄생했다고 한다. 윌슨을 신뢰하는 것은 아니지만 자신을 보호해 주기 때문에 따르고 있으며, 윌슨은 베티를 보며 자신의 어머니를 떠올린다고 한다. 정작 베티는 잉크에서 태어났기에 어머니라는 말이 무슨 뜻인지도 모르지만.
오드리가 윌슨의 거처에 있던 중 앨리스 엔젤에게 납치되었다가 돌아왔을 때 그녀를 반기며, 윌슨이 그녀를 찾는다는 것을 알리고, 이것이 베티의 마지막 등장 모습이 되었다.
3.8. 키퍼(The Keepers)
챕터 4부터 등장하는 적 세력. 잉크와 기계 부품을 섞어 만든 듯한 생명체들이며, 민달팽이처럼 생긴 하반신 가지고 있다. 얼굴 부분에서 강한 빛이 나온다. 윌슨을 따르고 있으며, 스튜디오 세계의 순환을 유지[4]하려는 존재들이다.
3.9. 서쳐(The Searchers)
| |
BATDR에서 묘사된 모습 | BATIM에서 묘사된 모습 |
이런 이들이 줄기차게 나오던 BATIM과 달리 BATDR에선 거의 등장하지를 않는데, 이는 게임 내적으로 봐서는 아마 어떻게든 통제가 가능했던 로스트 원들과는 달리 지성이 없는 서쳐들은 통제가 불가능했고, 치선책으로 아예 씨를 말려버린 듯하다. 게임 외적으로 보자면 위도우들의 등장으로 인해 이들의 입지가 줄었고, 또 로스트 원들이 주요 적군이기에 서쳐들까지 추가하는 건 개발진들에게 무리가 아니었나 싶다.
3.9.1. 부푼 잭(Swollen Jack)
3.9.2. 럴커/빅 스티브(Lurker/Big Steve)
트레일러 마지막 부분에 등장하는 거대한 서쳐 형태의 잉크 괴물. 피규어로도 제작되었다.
서쳐와 같은 공격적인 잉크 괴물로 보이나, 하이디에 따르면 두려워할 필요는 없으며 제시간에 먹이를 주기만 한다면 파리 한 마리도 해치지 않을 정도로 무해하며 실제로 챕터 4에서도 선공하지만 않는다면 오드리를 공격하지 않는다.
키퍼들이 지키는 감옥인 '구덩이'로 가기 전 러커를 볼 수 있는데, 맵 어딘가에서 잉크 심장을 찾아 그에게 주면 그것을 받아 먹고 자리를 비켜 준다. 그가 비키며 나온 방 안에서 파이프를 업그레이드시킬 때 사용할 수 있는 파이프 개괄도를 얻을 수 있다.
이후 챕터 5의 최종 결전에서 톰을 등에 태우고 등장한다.
정체는 조이 드류 스튜디오 직원인 스티브 맥그리버(Steve McGregor).
3.10. 로스트 원(The Lost Ones)
| |
남성형 | 여성형 |
BATDR에서 묘사된 모습 |
로스트 원(The Lost Ones)은 스튜디오 전역에 분포하는 잉크 생명체들로, Bendy and the Ink Machine의 챕터 4부터 등장한다. 개체마다 차이는 있지만, 이들의 정신상태는 기본적으로 매우 불안정하며, 특히 잉크 악마를 무서워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남성형과 여성형 객체가 구분되어 있으며, 아예 이성조차 남지 않은 서쳐들과 달리 어떤 개체든 말 정도는 할 수 있다.[6] 이들이 가진 신체적 특징으론 서쳐들과 다르게 몸의 잉크가 흘러내리는 듯한 모습을 하고 있으며, 빛나는 듯한 노란색의 눈을 가지고 있다.
이들 중 새미를 따르며 잉크 악마를 숭배하는 개체들도 꽤 많은 것으로 보이나, Bendy and the Dark Revival에서 겐트 파이프가 박혀 있는 처형당한 로스트 원의 시체 옆에 악마 숭배자라는 문구가 적혀있는 것으로 보아 대부분 박해받는 것으로 보인다. 혹은 윌슨의 통치 이후 그렇게 된 것일 수도 있다.
이들은 BATIM의 챕터 4에서 처음 등장했기에 BATIM에서는 등장한 횟수가 매우 적었지만, BATDR에서 스튜디오 전역에 분포하는 적으로 등장해 입지가 매우 상승했다. 이들 중 네임드 개체는 후원자, 포터, 하이디, 로드 아모크 등이 있다.[7]
3.10.1. 포터(Porter)
본작에 등장하는 새로운 캐릭터로, 종족은 로스트 원이다. 특징은 고글을 머리에 착용하고 있으며, 몸에는 갈고리를 뒤덮고 있는 모습이다. 트레일러에 등장하여 오드리에게 도와줘서 정말 고맙다며 감사를 표해서 우호적인 로스트 원이 아닌가 추측되다가 공식 트위터에 올라온 사진으로 이름이 공개되었고, 역시 오드리의 조력자로서 등장이 확정되었다.본편에서는 챕터 2에서 처음 등장한다. 하수도관에 몸이 끼인 것을 오드리가 도와 주게 되는데, 그를 따라 하수도로 내려간 후 그에게서 플로우 능력을 받게 된다. 상당히 낙천적이고 단순한 성격이다.
이후 챕터 5의 최종 결전에서 다른 케릭터들과 같이 잠깐 등장하여 벤디의 몸을 조종하는 오드리를 도와 준다.
전작의 챕터 4 브루트 보리스 보스전의 벽화들을 보기 도구[8]로 확인하면, 숨겨진 글씨로 벽화 중 하나에 포터라는 이름이 나오는데 이것이 이번 작의 포터를 뜻하는 것으로 추측된다.[9]
3.10.2. 하이디(Heidi)
가슴 부분에 리본을 매고 있는 여성 로스트 원. 어린아이 같은 성격이 특징이다. 오드리가 키퍼들이 지키는 감옥 '구덩이'로 들어가려 할 때 구석에서 등장하는데, 숨바꼭질을 같이 하면 감옥 입구를 열어 주겠다고 말한다. 맵 어딘가에 숨은 하이디를 찾는 것에 성공하면 연결 파이프를 통해 이동하는 '신속 이동' 능력을 그녀에게서 얻게 된다.
3.10.3. 로드 아모크(Lord Amok)
로스트 원 중 한 명. 자신의 추종자들과 이상한 사이비 왕국을 다스리고 있다.[10] 챕터 3 진행 중 그의 구역을 지나가게 된 오드리를 자신의 수하들을 보내 공격한다. 이때 도전 과제로 그와 그의 측근 둘을 해치우면 나머지 수하들이 오드리를 새로운 지도자로 모신다. 아모크가 앉아 있던 왕좌에 직접 앉아 볼 수도 있다.
3.11. 블러드 휠(Blood Wheel)
3.12. 방황의 죄악(Wandering Sin)
3.12.1. 시니(Sinny)
4. 스핀오프
4.1. 체스터 (Chester)
4.2. 개스킷 (Gaskette)
4.3. 캐누들 (Canoodle)
4.4. 듀이 (Dewey)
4.5. 크롤 (Krawl)
4.6. 스틱클 (Stickle)
4.7. 그웬 (Gwen)
[1] 재밌게도 철자는 다르지만 숀의 성우인 잭셉틱아이의 본명 또한 숀 매클로플린이다.[2] 녹음본 마지막 부분에 서쳐와 유사한 숨소리가 나는 걸로 보아 그렌트는 서쳐가 된 듯.[3] 버트럼처럼 정식 직원은 아니다.[4] 정확히는 본래 BATIM에서 묘사된 것대로 진행되는 '순환(The Cycle)'을 윌슨이 자신의 입맛에 맞게 변형시킨 것이 BATDR의 배경이며, 키퍼들은 순환이 진행되지 않도록 루프를 억지로 정지시키는 역할을 하는 존재들이다.[5] 대부분의 공포 게임은 공포심을 극대화하기 위해 적을 공격할 수 없게 되어있다. 벤디 시리즈는 매우 특이한 케이스.[6] 다만, 몇몇 개체는 실어증을 앓고 있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7] 새미도 로스트 원이라는 설이 있으나, 모든 로스트 원들이 가지고 있는 특징인 노란색 안광이 없어 부정되고 있다.[8] 보리스에게 한 번 죽어야 확인할 수 있다.[9] 전작의 관을 보기 도구로 확인하면 직원들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포터도 이와 비슷한 형식으로 이름이 남은 듯하다.[10] 다만 묘사상 "로드 아모크"는 이름이 아닌 일종의 지위로, 그를 쓰러뜨린 오드리가 새로운 로드 아모크가 된 것처럼 이전의 로드 아모크를 이기면 누구든지 새로운 로드 아모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로스트 원이 초대 로드 아모크라고 장담할 수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