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1 00:44:28

BURN(ARTMS)




파일:ARTMS 로고 화이트.svg



[ 유닛 ]
||<width=1000>
파일:ODD EYE CIRCLE 로고 화이트.svg
||
[ 한국 음반 ]
||<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212529,#e0e0e0><width=25%><nopad> 파일:The Carol 3.0.jpg ||<width=25%><nopad> 파일:artms_birth_정식앨범아트.jpg ||<width=25%><nopad> 파일:ARTMS_Flower_Rhythm.jpg ||<nopad> 파일:artms_candy_crush.jpg ||
[[The Carol 3.0|{{{#!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e1809; color: #F2EDE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ce1809"
[[Pre1 : Birth|{{{#!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linear-gradient(135deg, #000, #254F6D); color: #D4D4D4"]]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
[[Pre2 : Flower Rhythm|{{{#!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linear-gradient(135deg, #112645, #598081, #B69A4F, #CA3F46); color: #f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112645"
[[Pre3 : Candy Crush|{{{#!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linear-gradient(135deg, #51529C, #BF5EB3); color: #f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51529C"
파일:artms_air_앨범아트.jpg 파일:Dall.jpg 파일:BURN_ARTMS.jpg 파일:빈 정사각형 이미지.svg
[[Pre4 : Air|{{{#!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linear-gradient(135deg, #F1F5FB, #90aed0); color: #f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90aed0"
[[Dall|{{{#!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linear-gradient(135deg, #a4a6dd, #d6c6e2, #edc7bf, #e396a2, #e373d6); color: #f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e373d6"
[[BURN(ARTMS)|{{{#!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85095, #36599A, #2A4174, #77254F, #891E35); color: #00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285095"
[[ARTMS|{{{#!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color: #fff"]]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000"
[ 관련 문서 ]
||<|2><width=1000><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7BC7FE><colcolor=#fff><nopad> 활동 ||<width=29%> 음반 ||<width=29%> 활동 ||<width=29%> 공연 및 행사 ||
콘텐츠 shorts
팬덤 OURII 굿즈 응원법
기타 Cosmo Gravity 이달의 소녀

[[Dall|정규 1집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margin: 0px -5px; background-color: ;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a4a6dd\); font-size: 0.75em; color: #fff; border: px solid ; letter-spacing: -0.2px; word-break: keep-all"
]]
싱글 1집
BURN

2025. 04. 04.
[[미정|미정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5px; border-radius: 3px; margin: 0px -5px; background-color: #00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 ); font-size: 0.75em; color: #fff; border: px solid ; letter-spacing: -0.2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285095><colcolor=#000>
BURN
The 1st Single
파일:BURN_ARTMS.jpg
발매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년 4월 4일
가수
ARTMS
프로듀서
정병기
기획사
모드하우스
유통사
카카오엔터테인먼트
곡 수
2곡
재생 시간
04:03
타이틀 곡
#!if 앵커 == null
[[BURN(ARTMS)|{{{#!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7px 2px 9px; border: 0.3px solid none; border-radius: 3px 15px; background-color: #285095;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85095\),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2em; color: #000; font-weight: bold;"
{{{#!if 제목 == null
BURN(ARTMS){{{-1 ,,|02,,}}}
}}}{{{#!if 제목 != null
타이틀곡{{{-1 ,,|02,,}}}
}}}
}}}]]
#!if 앵커 != null
[[BURN(ARTMS)#BURN|{{{#!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7px 2px 9px; border: 0.3px solid none; border-radius: 3px 15px; background-color: #285095;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285095\),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transparent); background-origin: border-box; font-size: .82em; color: #000; font-weight: bold;"
{{{#!if 제목 == null
BURN{{{-1 ,,|02,,}}}
}}}{{{#!if 제목 != null
타이틀곡{{{-1 ,,|02,,}}}
}}}
}}}]]

1. 개요2. 앨범 소개3. 프로모션4. 수록곡
4.1. Light It Up4.2. BURN
4.2.1. 뮤직비디오
4.2.1.1. 티저4.2.1.2. 리액션4.2.1.3. 비하인드
4.2.2. 안무 영상
5. 앨범 사양6. 성적
6.1. 음원6.2. 음반
6.2.1. 초동 판매량
6.3. 음악 방송 순위
7. 평가8. 앨범 콘셉트 티저
8.1. 이미지
9. 관련 영상
9.1. 비하인드9.2. 숏폼9.3. 챌린지
10. 활동
10.1. 방송 출연10.2. 음악 방송
11. 여담

1. 개요

2025년 4월 4일 발매된 ARTMS의 싱글 1집. 타이틀곡은 ‘BURN’.

2. 앨범 소개

<colbgcolor=#28509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앨범 소개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BURN | The 1st Single
2025. 04. 04. (금) 18:00 발매
2,188일의 기다림. ’BURN’이 ARTMS 완전체의 싱글로 공개된다.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CREDIT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 Light It Up
}}}}}}}}} ||
Let‘s get it burn

3. 프로모션

||<tablealign=center><tablewidth=640><tablebordercolor=#285095><bgcolor=#285095><color=#000>
BURN
프로모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0> 날짜 시간 내용 링크
<bgcolor=#285095> 2025년
03.21 00:00 [Teaser] ARTMS ‘BURN’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5:10 ARTMS
Objekt Music Album
Pre-order

2025.03.21 3PM KST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03.22 00:00 HeeJin Concept Teaser 1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2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3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03.23 HaSeul Concept Teaser 1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2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3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03.24 Kim Lip Concept Teaser 1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2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3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03.25 JinSoul Concept Teaser 1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2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3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03.26 Choerry Concept Teaser 1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2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3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03.27 ARTMS Concept Teaser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03.28 12:15 ARTMS ‘BURN’ 발매 일정 연기 안내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04.01 16:00 ARTMS ‘BURN’ 발매 일정 안내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04.04 00:00 Message from HeeJin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00:01 Message from HaSeul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00:02 Message from Kim Lip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00:03 Message from Jinsoul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00:04 Message from Choerry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2:00 ‘BURN’ Coming in 6 hour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3:00 ‘BURN’ Coming in 5 hour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4:00 ‘BURN’ Coming in 4 hour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5:00 ‘BURN’ Coming in 3 hour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6:00 ‘BURN’ Coming in 2 hours🔥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7:00 ‘BURN’ Coming in 1 hour🔥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8:00 ‘BURN’ Official MV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음원 공개 파일:멜론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뮤직 아이콘.svg
파일:지니뮤직 아이콘.svg
파일:flologo.png
파일:벅스 아이콘.png
파일:네이버 VIBE 아이콘.svg
}}}}}}}}} ||

4. 수록곡

||<-5><tablealign=center><tablewidth=640><tablebordercolor=#285095><tablebgcolor=#fff,#1c1d1f><bgcolor=#285095><color=#000>
BURN
The 1st Single
||
<rowcolor=#000> 트랙 제목 작사 작곡 편곡
1 Light It Up - G-High (Mono​Tree) G-High (Mono​Tree)
2 BURN
TITLE
G-High (Mono​Tree), Jaden Jeong G-High (Mono​Tree) G-High (Mono​Tree)

4.1. Light It Up

Light It Up
01 0:43


4.2. BURN

BURN
02 3:20
TITLE


'BURN'은 과거의 어린 기억들을 태우고 완전히 새로운 자아로 태어나겠다는 내용을 가졌다. 808 베이스가 사운드의 전면을 압도하는 곡으로 자극적인 신스보다는 묵직한 리듬으로 차별화한다.

[ 가사 보기 ]

ALL 희진 하슬 김립 진솔 최리

{{{#5a2b92,#8b57c9 You Can See Me When I Punch Your Face

4.2.1. 뮤직비디오

BURN
Official MV
4.2.1.1. 티저
BURN
MV Teaser
4.2.1.2. 리액션
BURN
MV Reaction
4.2.1.3. 비하인드
BURN
MV Behind

4.2.2. 안무 영상

BURN
Dance Practice

5. 앨범 사양

<colbgcolor=#00618B><colcolor=#951F20>
〈Objekt Music Album ver.〉
파일:BURN Objekt Music Album.jpg
가격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0]]}}}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8,300 6,700원 19%
구성 앨범 구성품
- Double Class Objekt : 25종 중 랜덤 1종 삽입
- TRACKLIST : QR Postcard / 1종 삽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BURN Objekt Music Album 상세.jpg }}}}}}}}}

6. 성적

6.1. 음원

BURN
주요 음원 차트 최고 순위
<rowcolor=#000> 음원 서비스 차트 종류 순위
파일:멜론 로고.svg TOP 100
HOT 100 30일
100일
실시간 차트
일간 차트
주간 차트
월간 차트
최신 차트 1주
4주
파일:지니뮤직 로고.svg 실시간 차트
일간 차트
주간 차트
월간 차트
파일:FLO 로고.svg FLO 차트
파일:벅스 로고.svg 실시간 차트
일간 차트
주간 차트
파일:네이버 VIBE 로고.svg파일:네이버 VIBE 로고 화이트.svg 일간 차트
파일:유튜브 뮤직 로고.svg파일:유튜브 뮤직 로고 화이트.svg Korea Top 100
Weekly
Korea Top Music
Video Weekly
파일:스포티파이 로고.svg Korea Top Song
Daily
Korea Top Song
Weekly
파일:애플 뮤직 로고.svg파일:애플 뮤직 로고 화이트.svg Top 100: 대한민국
Top 25: 서울
Top 25: 부산
파일:써클차트 로고.svg파일:써클차트 로고 화이트.svg 디지털 주간 차트
디지털 월간 차트
주요 음원 서비스의 〈BURN〉 차트 순위 추이
YouTube의 〈BURN〉 차트 순위 추이
  • 오류인지 멜론 최신 음악 목록에 뜨지 않아 발매 이후 멜론 첫 날 이용자 수 606명을 기록해 역대 저조한 성적을 기록했으며, 가수의 음원 성적을 볼수있는 사이트인 가이섬에서도 검색조차 되지 않는다.

6.2. 음반

6.2.1. 초동 판매량

||<-4><tablewidth=640><tablebordercolor=#285095><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c1d1f><bgcolor=#285095><color=#000>
BURN
초동 판매량
||
<rowcolor=#000> 날짜 일간 판매량 누적 판매량 비고
4월 4일 (1일차) 1,6**장 앨범 발매
4월 5일 (2일차) 1**장 1,8**장
4월 6일 (3일차) 6*장 1,9**장
4월 7일 (4일차) 4*장 1,9**장
4월 8일 (5일차) 5*장 2,0**장
4월 9일 (6일차) *장 2,0**장
4월 10일 (7일차) 2*장 2,0**장
누적 판매량 2,0**장
* 순위 및 기록은 집계 종료일 당시를 기준으로 한다.

6.3. 음악 방송 순위

7. 평가

8. 앨범 콘셉트 티저

8.1. 이미지

〈Concept Teaser 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개인 티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BURN 희진 1-1.jpg 파일:BURN 희진 1-2.jpg

파일:BURN 하슬 1-1.jpg 파일:BURN 하슬 1-2.jpg

파일:BURN 김립 1-1.jpg 파일:BURN 김립 1-2.jpg

파일:BURN 진솔 1-1.jpg 파일:BURN 진솔 1-2.jpg

파일:BURN 최리 1-1.jpg 파일:BURN 최리 1-2.jpg
}}}}}}}}} ||
〈Concept Teaser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개인 티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BURN 희진 2-1.jpg 파일:BURN 희진 2-2.jpg

파일:BURN 하슬 2-1.jpg 파일:BURN 하슬 2-2.jpg

파일:BURN 김립 2-1.jpg 파일:BURN 김립 2-2.jpg

파일:BURN 진솔 2-1.jpg 파일:BURN 진솔 2-2.jpg

파일:BURN 최리 2-1.jpg 파일:BURN 최리 2-2.jpg
}}}}}}}}} ||
〈Concept Teaser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단체 티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BURN ARTMS.jpg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개인 티저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BURN 희진 3-1.jpg 파일:BURN 희진 3-2.jpg

파일:BURN 하슬 3-1.jpg 파일:BURN 하슬 3-2.jpg

파일:BURN 김립 3-1.jpg 파일:BURN 김립 3-2.jpg

파일:BURN 진솔 3-1.jpg 파일:BURN 진솔 3-2.jpg

파일:BURN 최리 3-1.jpg 파일:BURN 최리 3-2.jpg
}}}}}}}}} ||

9. 관련 영상

#
Teaser
Savior
Interlude Video
Lunar Theory
Teaser
<col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color=#000>
X1

<colcolor=#000>
X2

<colcolor=#000>
X3
}}}}}}}}} ||

9.1. 비하인드

9.2. 숏폼

BURN
YouTube #Shorts
<col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9.3. 챌린지

BURN
Challenge
<col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BURN 워드마크 블랙.svg
<rowcolor=#000> 희진, 하슬, 최리 진솔, 김립
}}}}}}}}} ||

10. 활동

10.1. 방송 출연

10.2. 음악 방송

11. 여담

  • 타이틀곡 BURN은 6년 전 발매가 무산된 이달의 소녀의 곡이었다. 당시 이달의 소녀Butterfly 활동 종료 직후 '#' 티저 영상[1]을 공개하며 곡 제목과 함께 짧은 음악 소스를 들려주며 차기 컴백 앨범을 예고했다. 하지만 동년 8월에 정병기 대표가 소속사와의 갈등으로 이달의 소녀 프로듀싱을 그만두게 되면서 준비하던 앨범들[2]이 모두 무산되며 BURN은 발매되지 못했다.
  • ARTMS 그룹 발표와 함께 공개된 홈페이지에서 BURN의 음원이 당시 '#' 티저보다 더 길게 공개되며 무산된 곡이 다시 발매될 수 있다는 여지를 남겼고, 이후 'X1' 티저를 통해 [X X] 앨범과 이어지는 스토리와 BURN의 음악 일부를 공개하며 해당 곡의 완전한 귀환을 알렸다.
  • 2025년 1월 18일 자정, 티저 영상인 X1이 공개되며 BURN을 타이틀곡으로 하는 앨범 《Lunar Theory》가 발매될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이후 정병기 대표의 빌보드 인터뷰에서 사용된 여러 애매한 표현과 컴백 소식보다 먼저 등장한 월드 투어 공식 발표 등을 통해 컴백 활동에 대한 일정이 제대로 공개되지 않아 팬들의 혼란만 가중되었었다. 3월 21일이 돼서야 서울 공연에서 최초 공개 후, 투어 시작과 함께 싱글 앨범으로 공개되는 것이 밝혀졌으며 앨범 소개를 통해 X1, X2, X3 티저 영상과 월드 투어, 해당 싱글과 투어가 끝난 직후 발매 예정인 다음 앨범까지 전부 Lunar Theory 프로젝트의 일환임이 밝혀졌다.

[1] 정병기 대표는 이달의 소녀 완전체 앨범 제작 당시, 활동 종료일의 바로 다음날 자정에 이번 앨범의 에필로그이자 다음 앨범의 스포일러가 되는 티저 영상을 공개하는 프로모션을 기획했다.[2] 발라드 앨범 La Maison LOONABURN을 타이틀곡으로 하는 [#]의 원안. 현재 발매된 이달의 소녀의 미니 2집 [#]는 이름만 같은, 완전히 다른 앨범이다.[발췌문] “많은 들이 ‘BURN’을 기다려왔다는 것을 잘 알고 있고, 나 역시 마찬가지였다. 특히 ‘BURN’은 내가 블록베리크리에이티브를 떠나기 직전 마지막으로 작업했던 프로젝트였기 때문에 더욱 의미가 깊었다. 그래서 모드하우스ARTMS를 영입했을 때 이 곡을 발매하고 싶었지만, 타이밍이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BURN’을 첫 곡으로 내지 않은 건, ARTMS를 처음 공개하는 시점에 ‘BURN’을 발매했다면 마치 이달의 소녀 Ver. 2인 것처럼 보이면서 자칫 ARTMS의 정체성의 희미해질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일단 ARTMS만의 이야기로 시작을 하고, ‘BURN’의 발매까지 스토리가 이어질 수 있는 지점으로 만들어 나가고 싶었다. (중략) 이건 세상 누구에게도 말한 적 없는 이야기인데, ‘BURN’ 다음에는 싱글 ‘RUN’과 ‘ONE’을 작업할 계획이었다. 이 세 곡은 ‘Hi High’와 ‘Butterfly’가 연결되는 것처럼 3부작을 이룬다. ‘BURN’은 자기 자신을 불태우고 정체성을 남김없이 태워 없애는 내용이다. 예를 들어, 사춘기를 겪으면 우리는 어릴 적 자신을 뒤로 하고 새로운 자아로 “탈피”하지 않는가? 자신의 정체성을 키워 나가면서 옛 자아를 떠나 보내는 과정을 상징하는 것 말이다. 그래서 이 3부작은 ‘BURN’으로 자신을 태우고, ‘RUN’에서 12명이 각자의 길로 나아가며, ‘ONE’에서 “하나”로 모이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ARTMS의 경우에는 ‘Birth’와 ‘Virtual Angel’로 태어났다는 스토리이다. 천사는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해석될 수 있지 않은가. 우리는 그 날갯짓을 나비로 해석한다. 그리고 이제 ‘BURN’은 그 날개를 불태운다는 의미에서 완벽한 후속작이라고 생각했다.”[4] 곡 제목으로 인한 오해를 방지하고 산불 피해자들을 배려하고자 발매를 연기한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