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포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34292d> 제2차 세계 대전 | 연합군 | |
추축군 | |||
냉전 | |||
현대전 | }}}}}}}}} |
|
Ordnance BL 12-pounder 7 cwt |
1. 개요
19세기 말에 영국군이 운용한 야포.2. 제원
|
3. 특징
RML 13파운더 8cwt 포의 후신으로 개발되었다. 견인시에는 3부로 나뉘어 군마 6마리가 견인했다.처음에 왕립 야전 포병대 와 왕립 기마 포병대 에서 채택되었고 , 1885년에 본격적으로 사용되었다. 1860년대 후반에 암스트롱 나사식 후미장전식 포가 실패한 후 영국군이 다시 전장식 포로 돌아간 이후 다시 돌아온 첫 후미장전식 포였다.
1891년 인도 기병대의 대규모 기동에서 기마포병대가 이것을 사용했을 때 문제가 발생했다. 마차가 너무 복잡했고 먼지로 인해 차축 이동 장치의 금속 표면이 멈췄다. 또한 전투에서 기병대를 지원하기 위한 기마포병대가 이것을 조종하기에는 너무 무거웠다.
따라서 무게를 덜어낸 12파운더 6cwt 야포가 1892년에 개발되었는데, 기존 화약을 대체하는 더욱 강력한 신형 코다이트 포로 개발되었다. 이 포는 포신 길이가 18인치(460mm) 더 짧고, 더 가볍고 단순한 포대를 장착했으며, 1894년 왕립 기마 포병대에 배치되었다.
코다이트의 도입으로 12파운더 포가 최대 15파운드(6.8kg)의 더 무거운 포탄을 발사할 수 있다는 결정이 내려졌다. 14파운드 포탄이 채택되었고, 12파운더는 1895년부터 BL 15파운더 야포가 되었다. 그 시점에서 12파운드 7cwt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