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transparent; background: text linear-gradient(to bottom, #ff0000 25%, #f0db02)" dark-style="color: #f54006"랭크 파티를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transparent; background: text linear-gradient(to top, #ff0000, #f0db02)" dark-style="color: #f54006"''' (2025) A ランクパーティを離脱 した俺 は、元教え子たちと 迷宮深部 を目指す。I Left My A -Rank Partyto Help My Former Students Reach the Dungeon Depths! | |||
| <nopad> | |||
|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141414,#141414><colcolor=#ffffff,#ffffff> 장르 | 판타지, 추방, 미궁, 하렘 | |
| 원작 | 우나기 코스케(右薙光介) | ||
| 캐릭터 원안 | 수퍼좀비(すーぱーぞんび) | ||
| 감독 | 오노 카츠미 | ||
| 시리즈 구성 | 후데야스 카즈유키 | ||
| 각본 | |||
| 캐릭터 디자인 | 야마자키 마사카즈(山崎正和) | ||
| 몬스터 디자인 | 키쿠치 아키라 하라다 요시오(原田吉朗) | ||
| 컨셉 디자인 | 미사와 신(三沢 伸) | ||
| 총 작화감독 | 야마자키 마사카즈 타카하시 아키라 하라 유미코(原 由美子) 이치이 잇페이(一居一平) | ||
| 액션 작화감독 | 키쿠치 아키라 | ||
| 미술 감독 | 요시다 히토미(吉田ひとみ) | ||
| 색채 설계 | 나가사카 아키라(ながさか暁) | ||
| 촬영 감독 | 치바 히로유키(千葉洋之) | ||
| 편집 | 타케미야 무츠미(武宮むつみ) | ||
| 음악 | 사카베 고 | ||
| 음악 제작 | 란티스 | ||
| 음향 감독 | 아베 슈헤이(阿部秀平) | ||
| 음향 효과 | 코야마 야스마사(小山恭正) | ||
| 기획 | 고카 카즈노리(伍賀一統) 쿠와바라 유조(桑原勇蔵) 츠노다 마사토시(角田真敏) 사토 히로유키(佐藤弘幸) 쿠로다 마나부(黒田 学) 스에히라 아사(末平アサ) 호시노 아유무(星野 歩) 미타 마모루(三田 守) |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콘도 분고(近藤文吾) 사토 타카히로(佐藤貴博) 후루카와 신(古川 慎) 히구치 히로미츠(樋口弘光) | ||
| 치프 프로듀서 | 스기모토 노부오(杉本紳朗) 오오사와 히로코(大澤弘子) 이토 타카노리(伊藤貴憲) | ||
| 프로듀서 | 안도 와타루(安藤 航) 반자이 마사유키(伴在正行) 시오타니 요시유키(塩谷佳之) 나가노 유지(永野裕司) 세키네 요이치(関根陽一) 쿠로스 노부히코(黒須信彦) 카세 나오토(加瀬直人) 이토 나오코(伊藤直子) | ||
| 애니메이션 제작 | BN Pictures | ||
| 제작 | 클로버 프로젝트 | ||
| 방영 기간 | 2025. 01. 12. ~ 2025. 06. 29. | ||
| 방송국 | |||
| 스트리밍 | [[Laftel| LAFTEL ]] | ||
| 편당 러닝타임 | 23분 | ||
| 화수 | 24화 | ||
| 시청 등급 | |||
| 관련 사이트 | |||
1. 개요
일본의 라이트 노벨 A랭크 파티를 이탈한 나는, 전 제자들과 미궁 심부를 목표로 한다.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시리즈 중 제1기. 감독은 오노 카츠미, 방영 시기는 2025년 1월.2. 공개 정보
2.1. PV
2.1.1. 본편
2.1.1.1. 대한민국
| 애니플러스 PV |
2.1.1.2. 일본
| 티저 PV |
| PV |
| 제2부 PV |
| 제3부 PV |
2.1.2. 캐릭터
| 유크 |
| 레인 |
| 마리나 |
| 실크 |
| 네네 |
| 니베룬 |
| 제이미 |
2.2. 키 비주얼
| | |
| <rowcolor=#ffffff,#ffffff> ''' 티저 비주얼 '''[1] | ''' 키 비주얼 '''[2] |
| | |
| <rowcolor=#ffffff,#ffffff> ''' 제2부 키 비주얼 '''[3] | ''' 제3부 키 비주얼 '''[4] |
3. 줄거리
| 제1부 '탈퇴하겠어!' 적마도사 유크는 그렇게 큰소리를 치고 5년간 몸담았던 A랭크 파티 '선더 파이크'를 탈퇴했다. 그는 다른 멤버들이 자신을 과소평가하고, 부정하며 무시하는 걸 참지 못하고 결국 자신의 지위를 버린 것이다. 파티를 찾고 있던 유크는 자신이 가르쳤던 제자인 마리나, 실크, 레인과 다시 만나고, 그녀들의 파티에 가입한다. '선생님'으로서 존중해 주는 제자들에게 힘을 얻은 유크는 자신의 뛰어난 마법과 스킬을 십분 발휘하여 제자들의 능력을 끌어내면서 차례로 퀘스트를 달성해 간다. 또한 방송용 [ruby(마법도구, ruby=아티팩트)]인 '캬메랏 군'으로 모험 방송을 시작하면서 파티 '클로버'는 이름을 떨치게 된다. 그런 '클로버'의 꿈은 가장 어렵다는 미궁 '무색의 어둠'을 클리어하는 것. 그 꿈을 이루기 위해 수많은 미궁에 도전하지만, 점차 세계를 뒤흔드는 혼돈에 휘말려 간다. 애니플러스 |
| 제2부 유크가 이끄는 C등급 파티 「클로버」는 거점인 피니스를 떠나 교역도시 두나에 도착했다. 이들은 활동 재개의 장으로 여러 파티가 레이스 형식으로 퀘스트를 진행하는 [ruby(국선 의뢰, ruby=미션)]에 참여하게 된 것이다. 아직 이름도 붙지 않은 새로운 던전에 도전하는 「클로버」이지만, 거기서 본 것은, 「글래드・시=임」이라고 불리는 불온한 왕도에서――. "황혼"의 위험한 빛에 휩싸인 이 거리에서, 「클로버」는 상상을 초월한 사태에 휘말린다! |
| 제3부 지금까지의 공적으로, 미궁백의 칭호를 부여 받은 적마도사 유크. 그런 유크가 이끄는 「클로버」의 새로운 사명은, 국왕이 직접 내린 「[ruby(칙명 의뢰, ruby=킹스 오더)]」! 국가 사업 규모로 진행되는 살룸탈리아의 인미궁 공략에 도전하는 「클로버」. 하지만, 현지의 던전에 돌입하면서, 이들은 다시 「무색의 어둠」을 접하게 된다. 그것은, 목표의 땅인 심연의 문으로 가는 길을 열어주는 것인가···. 「클로버」, 그 꿈을 이룰 수 있는 가장 큰 모험이 시작된다! |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랭크 파티를 이탈한 나는\#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랭크 파티를 이탈한 나는\#등장인물|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ffffff,#ffffff> 등장인물 | 성우 |
| 유크 | 미네타 히로무 |
| 마리나 | 이나미 하나 |
| 실크 | 카와이다 나츠미 |
| 레인 | 히에다 네네 |
| 네네 | 사시데 마리아 |
| 제이미 | M.A.O |
| 니베룬 | 타나카 유키 |
| 사이몬 | 나카지마 요시키 |
| 배리 | 세카이 |
| 카밀라 | 난죠 요시노 |
| 벤우드 | 코야마 츠요시 |
| 마마루 | 카네모토 히사코 |
| 사가 | 히노 사토시 |
| 로게 | 이노우에 카즈히코 |
| 마니에라 | 사이토 키미코 |
| 마스토마 | 타케우치 슌스케 |
| 빈센트 5세 | 사카구치 슈헤이 |
| 카멜롯 군 | 타무라 마유 |
| 세피 짱 | 카와이다 나츠미 |
| 레이디 페르세포네 | 이노우에 키쿠코 이노우에 호노카 |
5. 설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랭크 파티를 이탈한 나는\#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A랭크 파티를 이탈한 나는\#설정|설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주제가
6.1. OP
| OP Enter | |||
| TV ver. | |||
| Full ver. | |||
| MV ver. | |||
| <colbgcolor=#141414,#141414><colcolor=#ffffff,#ffffff> 노래 | 레이(零)[5] | ||
| 작사 | L.E.I. | ||
| 작곡 | SKY BEATZ HAYATO | ||
| 편곡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141414,#141414><colcolor=#ffffff,#ffffff> 콘티 | 오노 카츠미 | |
| 연출 | |||
| 작화감독 | 야마자키 마사카즈(山崎正和) | ||
| 이펙트 작화감독 | 히라오카 마사키(平岡雅樹) | ||
| 원화 | 키쿠치 아키라, 사쿠마 신이치(佐久間信一), 하시모토 타카시, 오자와 카즈노리, 사카이 사토시 등 | ||
6.2. ED1
| ED1 Treasure Chest | |||
| TV ver. | |||
| MV ver. | |||
| Full ver. | |||
| <colbgcolor=#141414,#141414><colcolor=#ffffff,#ffffff> 노래 | 타나카 유키[6] | ||
| 작사 | Mio Aoyama | ||
| 작곡 | 나카무라 준키(ナカムラジュンキ) | ||
| 편곡 | 시미즈 타케히토(清水武仁)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141414,#141414><colcolor=#ffffff,#ffffff> 콘티 | 미사와 신(三沢 伸) | |
| 연출 | |||
| 작화감독 | 오자키 마사유키(尾崎正幸) 요네야마 코헤이(米山浩平) | ||
6.3. ED2
| ED2 MIRROR | |||
| TV ver. | |||
| Full ver. | |||
| <colbgcolor=#141414,#141414><colcolor=#ffffff,#ffffff> 노래 | 타나카 유키 | ||
| 작사 | Giz'Mo(from Jam9) | ||
| 작곡 | ArmySlick Giz'Mo(from Jam9) | ||
| 편곡 | ArmySlick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141414,#141414><colcolor=#ffffff,#ffffff> 콘티 | 미사와 신(三沢 伸) | |
| 연출 | |||
| 작화감독 | 야마자키 마사카즈(山崎正和) | ||
10화 시점으로 그라드 시임 던전으로 스토리가 넘어가면서 오프닝에는 그라드 시임 왕국 과 두나 인물과 2쿨 엔딩으로 대처되었다. 엔딩에는 제이미 오센 과 니베룬이 추가되어 6명의 클로버 파티 멤버 시점 심정을 표현하여 나타낸듯 하다.
6.4. ED3
| ED3 Tapestry | |||
| TV ver. | |||
| Full ver. | |||
| <colbgcolor=#141414,#141414><colcolor=#ffffff,#ffffff> 노래 | 타나카 유키 | ||
| 작사 | 소노다 켄타로(園田健太郎) | ||
| 작곡 | |||
| 편곡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141414,#141414><colcolor=#ffffff,#ffffff> 콘티 | 미사와 신(三沢 伸) | |
| 연출 | |||
| 작화감독 | 야마자키 마사카즈(山崎正和) | ||
18화 시점으로 살룸탈리아 왕국 미궁 던전 시점으로 변경되며 살룸탈리아 마스토마 제2 왕자 와 인물이 추가되었다. 그리고 다시 제이미 오센이 벤우드 길드 마스터가 썬더 파이크 범죄 가담 1년 모험가 활동 정지 자격 박탈 처분이 끝나 다시 활동이 가능하다고 하여 다시 임시에서 정식 클로버 멤버로 5번째 파티로 합류한다. 니베룬도 6번째 파티 멤버로 합류하였다. 3쿨 엔딩으로 바뀌고 3쿨 엔딩은 니베룬 심정을 나타낸 듯 하다.
7. 회차 목록
- 2025년 3월 16일 방영 및 공개 예정이던 10화는 <특별편 「파티 특집! 클로버」>로 대체되었다.
- 전화 각본: 후데야스 카즈유키
| <rowcolor=#ffffff,#ffffff> 회차 | 제목[7]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 제1부 | ||||||
| 제1화 | クローバー誕生 클로버 탄생 | 오노 카츠미 | 시모토리 코스케 (霜鳥孝介) | 우라시마 미키 (浦島美紀) 하타노 유스케 (幡野雄亮) 신보 타쿠로 키쿠치 아키라[A] | 야마자키 마사카즈 (山崎正和) | 日/韓: 2025.01.12. 하이라이트 |
| 제2화 | 魔獣の棲む森 마수가 사는 숲 | 야마모토 류타 (山本隆太) | 나가타 마사미 (永田正美) 우이케 카즈마 (鵜池一馬) 하나자와 유리 (花澤友梨) 李程尚 彭凱 Studio EverGreen Big Owl 나가타 요시타카[A] (永田善敬) | 하라 유미코 (原 由美子) | 日/韓: 2025.01.19. 하이라이트 | |
| 제3화 | オーバーフロウ 오버플로우 | 와타나베 신이치 | 츠지하시 아야카 (辻橋綾佳) | 히라바야시 타카시 (平林 孝) 키노시타 유미코 (木下由美子) 신보 타쿠로 하시모토 타카시[A] 나가타 요시타카[A] | 이치이 잇페이 (一居一平) | 日/韓: 2025.01.26. 하이라이트 |
| 제4화 | [ruby(影の人, ruby=シャドウストーカー)] [ruby(그림자 인간, ruby=섀도우 스토커)] | 미야자키 나기사 (宮崎なぎさ) | 나카코미 켄토 (中込健人) | 타카하시 아키라 코무라 유즈하 (小村柚葉) 이스타[A] | 타카하시 아키라 | 日/韓: 2025.02.02. 하이라이트 |
| 제5화 | [ruby(国選依頼, ruby=ミッション)] [ruby(국선 의뢰, ruby=미션)] | 니시모리 아키라 | 아와이 시게노리 (粟井重紀) | 무라카미 마키 (村上真紀) 야기 모토키 (八木元喜) 楊鎮宇 呂振操 趙星宇 胡雲濤 | 야마자키 마사카즈 이치이 잇페이 | 日/韓: 2025.02.09. 하이라이트 |
| 제6화 | 無色の闇 무색의 어둠 | 이시카와 유다이 (石川雄大) | 우라시마 미키 하타노 유스케 (幡野雄亮) 히라바야시 타카시 하세가와 잇세이 (長谷川一生) BEEP 하시모토 타카시[A] | 하라 유미코 | 日/韓: 2025.02.16. 하이라이트 | |
| 제7화 | 青白き[ruby(不死者王, ruby=ノーライフキング)] 창백한 [ruby(불멸자의 왕, ruby=노 라이프 킹)] | 카토 모에 (加藤もえ) | 우에다 시게루 (うえだしげる) | 키노시타 유미코 나카토모 아스카 (中智あすか) 楊鎮宇 呂振操 趙星宇 胡雲濤 하시모토 타카시[A] | 이치이 잇페이 시미즈 소라토 | 日/韓: 2025.02.23. 하이라이트 |
| 제8화 | かつて友であったもの 한때 친구였던 자 | 츠지하시 아야카 | 타카하시 아키라 나카자와 아코 (中澤あこ) 코무라 유즈하 | 타카하시 아키라 | 日/韓: 2025.03.02. 하이라이트 | |
| 제9화 | 六つ葉のクローバー 여섯 잎 클로버 | 이나가키 타카유키 | 이리에다 히로마사 (入枝大将) | 요네카와 (米川) 신보 타쿠로 | 이치이 잇페이 시미즈 소라토 | 日/韓: 2025.03.09. 하이라이트 |
| 제9.5화 | パティ特集! クローバー 파티 특집! 클로버 | 총집편 | 日/韓: 2025.03.16. | |||
| 제2부 | ||||||
| 제10화 | クローバー再始動! 클로버 활동 재개! | 야마모토 류타 | 나가타 마사미 Big Owl | 야마자키 마사카즈 시미즈 소라토 | 日/韓: 2025.03.23. 하이라이트 | |
| 제11화 | 黄昏に歪む王都 황혼에 일그러지는 왕도 | 카토 모에 | 에노모토 마모루 (榎本 守) | 타카하시 아키라 나카자와 아코 코무라 유즈하 | 타카하시 아키라 | 日/韓: 2025.03.30. 하이라이트 |
| 제12화 | 黄金の巫女 황금 무녀 | 카토 히로토 (加藤洋人) | 카토 히로토 우라시마 미키 카마다 히토시 (鎌田 均) 시바타 시로 (柴田志郎) | 시미즈 소라토 | 日/韓: 2025.04.06. 하이라이트 | |
| 제13화 | 本の精霊ビブリオン 책의 정령 비블리온 | 미야자키 나기사 | 아마노 지유 (天野自由) | 타카미 아키오 카세 코지 (加瀬幸治) 俣松岑 타카하시 아키라 히라오카 마사키[LO] (平岡雅樹) | 시미즈 소라토 타카하시 아키라 | 日/韓: 2025.04.13. 하이라이트 |
| 제14화 | 一つの黄金 하나의 황금 | 니시모리 아키라 | 우스이 타카히코 (臼井貴彦) | 타나카 카츠노리 (田中克憲) | 시미즈 소라토 | 日/韓: 2025.04.20. 하이라이트 |
| 제15화 | 時を超えて 시간을 넘어 | 이나가키 타카유키 | 시모토리 코스케 | 타카미 아키오 하타노 유스케 야기 모토키 나가타 요시타카 요네카와 장민호 (張民浩) 김신우 (金信友) 박수복 (朴守福) 阿菁 楊中英 葛運禕 何文 富春 梦润 毛缟斑 이스타[A] | 이치이 잇페이 시미즈 소라토 | 日/韓: 2025.04.27. 하이라이트 |
| 제16화 | 黄昏からの帰還、そして… 황혼에서의 귀환, 그리고... | 카토 모에 | 아마노 지유 | 타카미 아키오 타무라 마유 (田村万有) 오자키 마사유키 (尾崎正幸) 요네야마 코헤이 (米山浩平) 俣松岑 | - | 日/韓: 2025.05.04. 하이라이트 |
| 제17화 | 七つ葉のクローバー 일곱 잎 클로버 | 이리에다 히로마사 | 히라바야시 타카시 키노시타 유미코 이카이 카즈유키 카마다 히토시 와카야마 마사시 (若山政志) 소토자키 코테츠 (外崎小鉄) 사사가와 미유키 (笹川弥幸) | 시미즈 소라토 | 日/韓: 2025.05.11. 하이라이트 | |
| 제3부 | ||||||
| 제18화 | [ruby(勅命依頼, ruby=キングスオーダー)] [ruby(칙명 의뢰, ruby=킹스 오더)] | 니시모리 아키라 | 츠지하시 아야카 | 타카하시 아키라 나카자와 아코 코무라 유즈하 | 타카하시 아키라 | 日/韓: 2025.05.18. 하이라이트 |
| 제19화 | ウェルメリアの迷宮伯 웰메리아의 미궁 백작 | 카토 모에 | 이시카와 유다이 | 무라카미 마키 하세가와 잇세이 와카야마 마사시 신보 타쿠로 요네카와 | 이치이 잇페이 | 日/韓: 2025.05.25. 하이라이트 |
| 제20화 | 裏返る世界 뒤집힌 세계 | 니시모리 아키라 | 야마모토 류타 | 나가타 마사미 Big Owl Studio EverGreen | 시미즈 소라토 | 日/韓: 2025.06.01. 하이라이트 |
| 제21화 | [ruby(反転迷宮, ruby=テネブレ)] [ruby(반전 미궁, ruby=테네브레)] | 스기시마 쿠니히사 | 키타가와 마사토 (北川正人) | 타나카 카츠노리 히라타 타쿠야 (平田卓也) 히네노 유코 (日根野優子) Triple A | 日/韓: 2025.06.08. 하이라이트 | |
| 제22화 | 思わぬ再会 뜻밖의 재회 | 사이토 아키히로 (齋藤昭裕) | 타카하시 아키라 나카자와 아코 코무라 유즈하 | 타카하시 아키라 | 日/韓: 2025.06.15. 하이라이트 | |
| 제23화 | 闇の果て 어둠의 끝 | 니시모리 아키라 | 에노모토 마모루 | 카마다 히토시 오자키 마사유키 요네야마 코헤이 바바 류이치 (馬場竜一) 吳桐 | 이치이 잇페이 | 日/韓: 2025.06.22. 하이라이트 |
| 제24화 | 夢の、その先 꿈, 그 너머 | 오노 카츠미 | 시모토리 코스케 | 시게타 아츠시 타카미 아키오 카세 코지 俣松岑 王世林 严苑菁 陳嶺 장민호 김신우 박수복 | 야마자키 마사카즈 | 日/韓: 2025.06.29. 하이라이트 |
8. 해외 공개
8.1. 대한민국
한국에서는 애니플러스에서 2025년 1분기 한일 동시방영작으로 가져와 자막으로 방영하였다. 번역은 홍경미, 종합편집은 CJ올리브네트웍스가 담당했다.방영 초반에는 오프닝/엔딩의 정식 가사가 나오지 않았다가 오프닝/첫번째 엔딩은 7화 본방부터 나오기 시작했다. 두번째 엔딩으로 교체된 10화 본방부턴 바로 번역이 되어서 나왔으며 세번째 엔딩으로 바뀐 18화 부터는 20화 본방부터 정식가사가 나오기 시작했다.
9. 평가
| |
| 평점 6.57 / 10.0 |
| 기준: 2025.10.26 / (39954) |
수려한 그림체의 무난한 추방물이다.
부가적으로, 작품 특성상 전투를 생방송한다는 묘사가 들어가는데 이 부분을 영상에 잘 녹여냈다는 평을 받는다.
- 영상미
채색면에서 채도가 높고, 기본적인 명암 표현이 뛰어나 비쥬얼 면에서는 대체로 호평을 받았다. 전투 연출에 있어서는 동화가 뛰어나진 않지만 무지개빛 이펙트와 광원 효과를 여럿 사용하는 것이 특징적이다.
- 스토리
무난한 추방물 전개를 보여준다. 다만 원작을 본 팬들에게는 원작의 매력을 살리지 못했다는 비판이 많았는데, 시청 등급상 원작은 19금 작품이고, 애니는 15금으로 제작되었기에 각색이 필요한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잔학함이 없어지면서 주인공 유크가 너무 먼치킨으로 떠받들어지는 모습으로 비춰지는 면이 있다.
- 성우
주인공 유크 역할의 미네타 히로무가 많은 대사량 속에서 좋은 연기를 보여주어 호평을 받았다. 그 외에도 주역 여주 3인방 마리나 (이나미 하나), 실크 (카와이다 나츠미), 레인 (히에다 네네)도 적절한 연기를 보여주며 호평을 받았다.
10. 기타
- 방영 이후 레인을 보면서 무직전생의 록시를 떠올리는 시청자들이 있다. 마법사인 것과 하늘색 머리카락 + 앳되어 보이는 외형 등 비슷한 부분들이 보이는 것이 한몫한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