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30 07:34:03

힘조


1. 개요2. 유래3. 여초 커뮤니티의 유래 왜곡 시도
3.1. 왜곡 주장3.2. 반론
4. 용어 사용 및 논란 사례

1. 개요

래디컬 페미니즘남성혐오 성향을 가진 여초 커뮤니티에서 사용되는 은어속어.

이 단어는 남성 동성애자 간의 불법 유출된 성관계 영상을 유포하는 과정에서 해당 영상의 음성을 흉내내면서 탄생한 혐오 용어이다. 예로 '앵나온다 앵나와'[1], '앵나온다 앵', '앵나온다' 등이 있다. 트위터에서 불법 유출된 게이 성관계 영상을 커뮤니티에 유포하는 과정에서 유래된 명백한 혐오용어라는 점에서 문제의 소지가 큰 용어이다.

2. 유래

정확한 년도는 알 수 없으나, 2010년대 중반부터 일부 폐쇄적인 여초 커뮤니티에서 특정 남성 동성애자들끼리의 성관계 영상이 유출되어 떠돌기 시작하였다. 이를 감상하고 이야기하는 게시물을 2014년마이더스 갤러리#() 및 2015년 해외연예 갤러리#()에서 찾아볼 수 있으므로, 최소 2014년 이전부터 떠돈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로는 메르스 갤러리 및 당시 다음 카페였던 워마드에까지 전파되었다.

이 영상에서 " 나온다 액", "개보지[2] 힘 줘" 등의 단어가 사용되었는데, 대한민국에서 워마드와 같은 래디컬 페미 계열은 가뜩이나 게이를 희화화하고 조롱하는 걸 즐겼고[3], 영상 속 인물의 발음이나 말투가 웃기다는 등의 이유로 눈물이 나온다는 의미의 "앵 나온다 앵", 힘내라는 의미의 "힘조 / 힘죠"로 변형되어 밈화되었다.

현재는 다음 카페였던 워마드가 폐쇄되었고, 당시에도 여성 인증된 회원만 가입 가능했던 점 등 폐쇄적으로 운영되었기 때문에 당시의 글은 찾기가 어렵고, 대신 그 이후로도 남성혐오 진영에서 쓰였다는 증거는 찾을 수 있다.
  • 2016.7.27: 한 남성혐오 트위터 계정이 네이버 기사 댓글을 달며 '남자들끼리 후장이나 박고 놀라'면서 '개보지힘조'라는 단어를 사용한 흔적.# ()
  • 2016.8.19: 개별 사이트로 독립한 워마드에서 최초로 사용된 흔적.# ()
  • 2017.2.7: 워마드 관리자가 직접 작성한 워마드 단어사전에서도 이 단어를 소개했으며 자기들 스스로 게동에서 유래했다고 인정하였다.# ()
파일:womad--3.png

3. 여초 커뮤니티의 유래 왜곡 시도

3.1. 왜곡 주장

한편 이 단어가 도마위에 오르자 여초 커뮤니티에서는 여론 조작을 통해 단어의 유래 및 이미지 세탁을 시도했다.#() 이들의 주장을 요악하자면 다음과 같다:
  • 남초에서 '여자들이 일반인 성관계 영상을 공유하며 시청했다'는 증거로 제시한 캡처(첫짤 왼쪽 사진)는 '출처가 어딘지도 모른다'
  • 개ㅂㅈ힘조는 남자 항문을 ㅂㅈ라고 말하는 것이므로 이는 남혐이 아닌 여혐이다. 따라서 여자들이 이런 의미로 사용했을리 없다.
  • '생리를 힘 줘서 참을 수도 있냐'는 글이 먼저 올라왔고 여기서 유래된 거다.
  • 여자들은 '여성혐오 하지 말고 뇌에 힘 줘라'라는 의미로 사용했다. 이게 남혐인가?

3.2. 반론

파일:힘조 연관키워드.png
Google에 '힘조'를 검색하면 바로 밑에 연관검색어로 뜨는 '힘조 영상' 키워드.
해당 용어가 불법 유출된 영상에서 유래했음이 명백하게 드러난다.

상술했듯 이 '힘조'의 유래가 된 게이야동은 2014년의 마이더스 갤러리#() 및 2015년 해외연예 갤러리#()와 같은 여초 사이트에서 밈으로 쓰인 아카이브 증거가 이미 남아 있었다.
파일:해연갤1.png
파일:해연갤2.png
파일:해연갤3.png
파일:해연갤4.png

이들이 '출처를 알 수 없는 캡처'라고 발뺌한 캡쳐의 글은 실제로 2019년 6월 19일에 올라온 독립사이트 해연갤에서 해당 영상의 링크를 공유한 글들이다.#() 제대로 된 조사도 하지 않고 눈가리고 아웅한 꼴.
파일:투디갤1.png
파일:투디갤2.png

또한, 2019년 9월 27일 투디갤에서도 해당 영상의 원본을구한다는 글이 올라왔고, 여기서도 댓글에서 링크 공유가 이루어졌으며, 자기들끼리 "개보지힘조~" 이러면서 웃고 떠들고 있는걸 알 수 있다. 투디갤 역시 해연갤 못지 않은 페미 성향이 강한 여초 사이트이므로, '여자들이 그런 의미로 사용하지 않았다'는 주장은 여기서도 반박된다.
파일:힘조 유래 왜곡.jpg

이들이 유래라고 주장한 글에서는 '힘 줘서' 라고 쓰여있지 어디에서도 '힘조'라고는 쓰여 있지도 않고, 저게 유래라면 저 글에서는 언급되지도 않은 '앵 나온다 앵'이 함께 밈화된 건 설명도 못한다. 심지어 상술했듯 "워마드 관리자가 직접 동영상에서 유래한 것"이라 밝혔는데, 자기들끼리도 의견 통합이 안 되고 있는 모양이다.

거기다 이 글은 2016년에 올라왔지만, 상기된 마이더스 갤러리의 관련 글은 2014년에 먼저 올라왔다.

4. 용어 사용 및 논란 사례

당연하지만 남성혐오 성향의 래디컬 페미 계열에서 유행한 용어일 뿐만 아니라 그 출처조차도 일반인의 성행위를 촬영한 영상이 불법 유출된 것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에 큰 문제가 있는 용어이므로 해당 용어를 사용했다가 사회적으로 매장된 사례들도 적지 않다. 아래는 그런 수많은 예시 중 빙산의 일각일 뿐이다.
  • 공공기관의 사용 사례
    • 부산 서구청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에서 힘조를 사용하여 논란이 되었다.#
  • 연예・방송・언론에서의 사용 사례
    • iHQ 예능 '맛있는 녀석들'의 유튜브 채널 #
    • 삼시세끼 어촌편5 자막 #
    • 아나운서 공서영이 인스타그램에서 사용한 사례.
      '배라 힘조'를 사용하였다 논란이 되었다.
    • OCN에서도 스카이스크래퍼 장면에서 "웨인이 힘조" 라는 자막을 사용했다.#
    • 걸그룹 TWICE: 공식 인스타그램에 데뷔 6주년을 축하하는 게시물에 '3본부 힘조'란 레터링 문구가 삽입된 케이크를 들고 찍은 사진이 포함되었다. 현재 해당 게시물은 삭제되었다.#
  • 기타 기업에서의 사용 사례
    • GS25 공식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웹 예능 "못 배운 놈들"에서도 "아빠 힘조..." 라는 자막을 사용했다가 논란이 되었다.#
  • 기타 인터넷 방송의 사례
    • 유튜버 키령#
      이 경우에는 웅앵웅까지 사용하여 빼도박도 못한다는 반응이 나왔다. 현재 해당 자막을 사용한 영상은 수정된 상태이다.
    • 스트리머 잼미님 관련
      배달의 민족에서 주문을 하려고 했는데 서버가 터지자 힘내서 서버 복구에 힘쓰라는 의미로 "배민 힘X[4]! 힘내!" 라고 했는데, 텍스트가 아닌 사람의 음성이다 보니 여기서 말하는 X 부분이 '힘줘' 인지 '힘조' 인지 의견이 분분했다. 일각에선 잼미가 '힘조'라고 사용했다고 비난했으나, 잼미 본인은 힘조 라는 혐오 용어가 있는지도 몰랐다며 힘조가 아닌 '힘줘'라는 표준어로 말했다고 해명하였다. 어머니 사망 이후 킨 생방송에서도 '힘조라고 안했다고 힘줘라고 했다고, 그래 말 병X같이 한 내가 잘못이지 근데 그런다고 내가 메갈이 돼?'라면서 억울함을 호소했다.#
    • 유튜버 교양만두
      "don't go 힘조"라는 자막을 영상에 넣어 논란이 되자, 별 다른 해명 없이 해당 자막을 블러 처리하였다. 이후 영상을 삭제하였다가, 문제된 부분을 수정하여 사과문과 함께 영상을 재업로드하였다. #

[1] 발화자의 말은 "(촬영자가 자신의 성기를 박고있는 구멍에서) 액(정액 혹은 직장에서 나오는 장액이) 나온다 액(이) 나와"로 추정된다.[2] 실제 여성의 성기를 지칭하는게 아니라 바텀쪽 남성의 항문을 지칭한 것.[3] 간혹 페미니즘과 성 소수자가 같은 PC 계열에 속한다는 이유로 같은 편이라는 생각을 하는 경우가 있는데, 한국에서는 메갈리아 분열 사태 이후 주류로 올라선 워마드-TERF 계열은 생물학적 성별이 여성인 경우만 옹호하고, 그 외의 성 소수자(트랜스젠더 및 게이 남성)는 당연히 혐오하는 스탠스를 취하고 있다.[4] 논란이 되는 부분인 만큼 중립적으로 X자로 표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