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26 14:50:33

헨솔트 페가수스


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현대 독일 연방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독일 연방군|
독일 연방군 (1991~현재)
Bundeswehr
]]'''
<colbgcolor=#808080> 회전익기 <colbgcolor=#808080> '''[[무장헬기|
경헬기
]]'''
H145M | H145 LUH | Bo 105(P/M/P1M) | SA.318C 알루에트 II | Mi-2NVA
'''
다목적 헬기
'''
NH90 TTH | NH90 NTH 시 라이온 | 시킹 Mk.41 | UH-1D | Mi-8NVA
수송헬기 {CH-47F SR 블록 2} | CH-53(G/GS/GA/GE)
공격헬기 EC665 타이거 UHT | Mi-24NVA
대잠헬기 {NH90 MRFH 시 타이거} | 링스 Mk.88A | Mi-14NVA
'''[[전투기|
전투기
]]'''
'''[[3세대 전투기|
3세대
]]'''
F-4F ICE 팬텀 II | MiG-21(M/MF/SMT/Bis)NVA | MiG-23(S/UB/MF/ML)NVA
4(.5)세대 유로파이터 타이푼 | MiG-29(G/GT)NVA
'''[[5세대 전투기|
5세대
]]'''
{F-35A 라이트닝 II}
'''[[6세대 전투기|
6세대
]]'''
{FCAS}
공격기 토네이도 IDS | MiG-23BNNVA
'''[[정찰기|
정찰기
]]'''
전술 RF-4E
전자 {페가수스} | Br 1150M 아틀란틱 SIGINT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P-8A 포세이돈} | P-3C 오라이언 | Br 1150 아틀란틱
'''[[수송기|
수송기
]]'''
전술 A400M 아틀라스 | C-130J-30 허큘리스 | C-160 트란잘
'''
지원기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E-7}NAEW&CF | E-3A 센트리NAEW&CF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KC-130J | A330 MRTTMMF | A310 MRTT
전자전기 {유로파이터 타이푼 EK} | 토네이도 ECR | HFB 320 ECM
'''
의무후송기
'''
A321-251NX
'''[[UAV|
무인기
]]'''
'''
SUAV
'''
클래스 1 - 초소형
RQ-20B 푸마 II AE | EMT 알라딘 | AR 100-B
클래스 1 - 소형
{EMT 루나 NG} | {팔케} | EMT 루나
'''
UAV
'''
클래스 2 - 전술형
시 팔콘 | 라인메탈 KZO
클래스 3 - MALE급
헤론 1L
'''[[UCAV|
UCAV
]]'''
클래스 3 - MALE급
헤론 TPL
클래스 3 - HALE급
{유로드론}
'''[[훈련기|
훈련기
]]'''
프롭 그롭 G120TP
제트 T-38(A/C) 탈론 | 알파 제트A | T-37B 트윗
헬기 H145(D2/D3) | EC135T1
VIP 탑승기 ACJ350-941 | ACJ319-133 | 봄바디어 글로벌 5000 · 6000 | AS532 U2 | A340-313X | A310-304 | B707-307C | Tu-154MNVA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차 기종
※ 윗첨자NVA: 구 국가인민군에서 편입된 기체
※ 윗첨자NAEW&CF: NAEW&CF 공동 운용 기종
※ 윗첨자MMF: NATO MMF 공동 운용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군 운용 (육군/해군/공군), 표기 없을 시 공군
}}}}}}}}}

파일:빈 가로 이미지.svg
Persistent German Airborne Surveillance System

1. 개요2. 개발3. 운용국
3.1. 독일

1. 개요

독일의 헨솔트에서 봄바디어 글로벌 6000을 기반으로 개발한 차세대 전자정찰기. 페가수스는 지속적인 독일 공중 감시 체계(Persistent German Airborne Surveillance System)의 약어이다.

2. 개발

페가수스의 개발은 독일의 RQ-4 도입 사업으로 거슬러올라간다. 당시 독일은 Br 1150M 아틀란틱이 담당하던 SIGINT 임무를 대체하기 위한 연구 끝에 무인 정찰기를 도입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 이에 RQ-4를 유로호크라는 이름으로 도입해 차세대 SIGINT 전력으로 사용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이 계획은 유로호크가 영공 승인 인증을 받지 못하면서 계약 체결로부터 2년 만에 무산되었다. 이후 독일 연방군에선 이를 대신하기 위해 MQ-4C 트리톤을 도입할 계획을 세운다. 페가수스(Persistent German Airborne Surveillance System)라는 명칭 또한 이때부터 사용되었으며, 당시엔 독일 연방군 사양의 트리톤을 부르는 호칭이었다. 그러나 트리톤 도입 사업 마저 지속적인 협상 연기, 폭증하는 비용 등으로 인해 2020년 취소되기에 이른다. 페가수스 프로그램이 취소된 이후 독일은 임시 방편으로 무인 정찰기가 아닌 유인 정찰기를 도입하기로 결정, 글로벌 6000을 개조해서 차세대 SIGINT 담당 정찰기로 개조해서 도입하기로 정한다.#

이후 사업이 진행되면서 페가수스라는 이름 또한 글로벌 6000 기반의 정찰기가 이어받게 되었다.

2024년 10월, 헨솔트에서 페가수스가 초도비행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3. 운용국

3.1. 독일

개발국. 2021년에 3대 도입 계약을 체결했다.

2024년 10월, 개발사인 헨솔트에 의하면 초기 단계의 추가 도입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헨솔트 측에서는 지정학적으로 독일의 안보 위협이 증가한 상황[1]이기에 추가 도입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확신하고 있다고 한다.#
[1] 계약을 체결한 2021년 직후에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