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8 15:35:28

헤일로 3/무기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헤일로 3

1. 개요
1.1. 공격 타입
2. 근접 공격3. UNSC 무기4. 외계 무기5. 지원 무기
5.1. 플라즈마 포탑5.2. 머신 건 포탑5.3. 미사일 포드5.4. 화염 방사기
6. 수류탄
6.1. 파편 수류탄6.2. 플라즈마 수류탄6.3. 스파이크 수류탄6.4. 소이 수류탄

1. 개요

헤일로 3에 등장하는 무기 목록

헤일로 3의 무기들은 전체적으로 헤일로 2에서 크게 변하지 않았고, 기존 무기에서 능력치 변화와 공격 타입 조정등의 변화가 적용되었다. 일부 무기가 Dual wielding이 가능하다는 점 역시 동일하고, 아군에게 무기를 들려줄 수 있는 점 또한 여전하다.

전작에서 몇몇 적들의 맷집이 너무 강하다는 점을 의식했는지 적들의 맷집이 전체적으로 줄어들어 무기들의 범용성이 증가했다. 그래도 여전히 헤드샷 킬이 가능한 무기들이 제일 좋다는 점은 2편과 크게 다르지 않다.

1.1. 공격 타입

헤일로 3 대미지 도표

헤일로 2에서부터 만들어진 대미지 계산 시스템. 2편과 비교했을 때 큰 틀은 변하지 않고, 몇몇 공격 타입이 약간 식 개편되었다.

인 게임에서 직접 들고 쏠 수 있는 무기들의 공격타입들은 다음과 같다.
  • bullet_slow: 연발 무기, 실탄 권총 계열 및 샷건 계열 무기에 설정된 공격 타입. 피해 배율은 브루트 맨몸에 ×0.5, 헌터 살점에 ×2, 경차량[1]에 ×0.25 이다. 자칼 방패에는 피해를 줄 수 없다.
    해당 타입에 속한 무기들의 가짓수가 많기 때문에 자주 접할 수 있다. 브루트 상대하는 것 외에는 대부분 적에게 무난하게 피해를 줄 수 있다.
    브루트 상대 시 방어막에는 피해 감소가 없지만 몸통에는 피해가 감소되기 때문에 방어막 벗기는데 좋고, 체력을 까는데는 안 좋으니 방어막만 까고 근접 공격을 날리거나 헤드샷 가능한 다른 무기로 쏘는 식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다.
  • plasma_slow: 플라즈마 피스톨, 플라즈마 라이플과 같이 느린 투사체를 쏘는 외계무기에 설정된 공격 타입. 피해 배율 증가 및 감소 수치가 가장 다양하게 설정되어 있으며, 피해 배율은 에너지 방어막에 ×1.5, 자칼 방패 ×1, 센티널 몸체 ×1.4, 헌터 살점에 ×2, 브루트 맨몸에 ×0.5, 방어막 없는 엘리트와 스파르탄에 ×0.35, 경차량에 ×0.1 이다.
    엘리트가 적으로 나오지 않기 때문에 브루트 맨몸 쏘는 것 외에는 피해가 감소되는 일이 없으니 역시 무난하게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작과 달리 플러드 전투변이 상대로 피해 감소가 없어져 더 좋아졌다.
  • bullet_fast: 배틀 라이플, 스나이퍼 라이플, 머신 건 포탑 등 대구경 탄을 쏘는 무기에 적용된 공격 타입. 피해 배율은 헌터 살점과 플러드 약점 부위에 ×2, 플러드에 ×0.25, 경차량에 ×0.5 이다. 자칼 방패에는 피해를 줄 수 없다.
    플러드 상대로 피해량이 더 줄어들었지만, 대신 약점 부위에 추가 피해를 줄 수 있어, 순수변이의 약점 부위를 노려서 사격한다면 대응이 가능하다. 물론 전투변이는 약점 부위에 1방.
  • plasma_fast: 카빈, 빔 라이플 등과 같이 탄속 빠른 외계 무기에 적용된 공격 타입. 피해 배율은 센티널과 헌터 살점, 플러드 약점 부위에 ×2, 플러드와 경차량에 ×0.25 이다. bullet 계열 무기와 달리 자칼 방패에 ×0.5 배율의 피해를 줄 수 있다.
    센티널 추가 피해와 자칼 방패를 쏠 때 외에는 대부분이 bullet_fast와 동일하다.

위의 네 타입들은 공통적으로 헌터 갑옷, 레이스 차체, 플러드 탱크 형태의 약점 부위 제외한 몸통에는 피해를 줄 수 없다.
  • plasma_vehicle: 차량에 발사하는 플라즈마 탄에 적용되는 공격 타입이며, 직접 들고 쏠 수 있는 무기 중에서는 플라즈마 포탑에 적용된 공격 타입. 피해 배율은 센티널에 ×2, 플러드, 차량, 헌터에 ×0.5, 플러드 탱크 형태에 ×0.25 이다.
    위의 무기들과 달리 헌터 약점을 노릴 필요없이 그냥 몸에 쏴도 피해를 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 explosion_small: 수류탄과 브루트 샷 유탄 등 각종 폭발물에 적용된 공격 타입. 피해 배율은 에너지 방어막과 엘리트, 스파르탄의 맨몸에 ×0.5, 헌터와 레이스, 플러드 탱크 형태에게 ×0.25 이다.
    플레이어와 동맹군에 속한 스파르탄과 엘리트에게는 방어막 몸체 상관없이 무조건 절반의 피해를 준다는 것이 특징. 때문에 멀티 플레이어에서의 피해량 값은 캠페인의 절반으로 계산되는 셈이다.
  • explosin_large: 로켓 발사기, 퓨얼 로드 건, 미사일 포드 등, 커다란 폭발물을 발사하는 무기에 적용된 공격 타입. 피해 배율은 플러드 약점 부위에 ×2, 에너지 방어막과 엘리트, 스파르탄의 맨몸에 ×0.5, 플러드 탱크 형태에게 ×0.25 이다. 그리고 레이스와 같은 대형 차량과 헌터에게 ×1 배율 즉, 피해 감소 없이 타격을 줄 수 있는 유일한 공격수단이다.
    차량과 헌터에 대한 피해량 감소가 없다는 이점이 있어 대차량, 대헌터 무기로 활약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explosion_small 공격 타입과 마찬가지로, 스파르탄과 엘리트 상대로는 피해가 절반만 들어가며, 멀티 플레이어에서는 실질적으로 표기된 것보다 절반의 피해만을 입히게 된다.
  • melee: 근접 공격에 적용된 공격 타입. 피해 배율은 플러드에 ×2, 경차량에 ×0.25 이다. 플러드 탱크 형태의 몸통과 헌터, 레이스에는 피해를 줄 수 없다.
    전작과 달리 플러드에게 피해가 감소되는 것이 아닌 오히려 2배의 피해를 입히기 때문에 플러드 전투변이 상대로 대응하기 좋아졌다.
  • cutting: 브루트 샷의 근접 공격, 에너지 소드에 적용된 공격 타입. 피해 배율은 그런트, 자칼, 드론, 플러드에 ×2, 경차량에 ×0.25 이다. 헌터, 레이스에는 피해를 줄 수 없고, 플러드 탱크 형태에는 피해를 줄 수 있다.
    웬만한 상대에게 2배 이상의 피해를 입힐 수 있어 일반적인 근접 공격보다 더욱 강력하다. 거기다 대부분의 피해를 안받거나 조금만 받는 플러드 탱크 형태에게 피해 감소 없이 피해를 줄 수 있는 몇 안 되는 수단이기도 하다.
  • burning: 들고 쏘는 무기 중에서는 화염 방사기에 적용된 공격 타입. 보병 계열 적들 전반에 2배 피해를 준다. 레이스와 헌터에게는 피해를 줄 수 없다.
  • emp: 플라즈마 피스톨의 과충전 사격에 적용된 공격 타입. 방어막과 차량 상대로만 공격이 통하며, 나머지 상대에게는 피해를 줄 수 없다.
    방어막을 공격 시 상대방의 방어막을 모두 소진시킬 수 있으며, 차량을 공격할 경우 공격에 맞은 차량을 일시적으로 작동 불능 상태로 만들 수 있다.
  • laser: 스파르탄 레이저에 적용된 공격 타입. 피해 배율은 플러드 약점 부위에 ×2, 방어막, 스파르탄과 엘리트, 헌터와 레이스에 ×0.5 이다. 그리고 유일하게 모니터에게 설정된 방어타입에 타격을 줄 수 있는 공격 타입이다.
  • sniper: 스나이퍼 라이플, 빔 라이플에 추가적으로 적용된 공격 타입. 피해 배율은 플러드 약점 부위, 경차량에 ×0.5 이다.
    2편에서 처럼 방어막에 추가 피해를 더 이상 주지 않으며, 감소 피해만 적용되어 있어 도움이 될 게 없는 공격 타입이다. 그런데, 감소 피해가 적용되는 적들을 상대할 일이 거의 없다시피 해서 상관 없긴 하다.
  • anti_flood: 추가적으로 적용되는 공격 타입. 모든 플러드 계열 적 상대로 2배의 피해를 추가로 줄 수 있다.

2. 근접 공격

공격 타입 melee, anti_flood
피해량 70
72 (스파이커, 몰러)
80 (중력 망치, 로켓 발사기, 스파르탄 레이저)
피해 변동 플러드 x4
헌터, 레이스, 플러드 탱크 형태 x0

헤일로 3 이전 근접 공격 판정은 플레이어의 이동 여부에 따라 위력이 달라져 가만이 있을 때 낮은 피해, 이동하면서 공격하면 더 높은 피해를 줬었다. 헤일로 3에서는 그러한 이동 여부에 따른 위력 변화 없이 항상 일정한 피해를 입힐 수 있게 되었다.

자체적으로 플러드에 추가 피해를 줄 수 있는데, 여기에 anti_flood까지 추가로 붙어 근접한 플러드 전투변이를 상대로 정말 잘 싸운다. 다만, 탱크 형태 상대로는 몸통에 피해가 안 들어가니, 무리해서 근접 공격을 시도하지 말 것.

무기에 따라서 피해량이 달라지는데, 스파이커와 몰러 같이 칼날이 달린 무기의 근접 공격은 베는 공격으로써 무려 2의 추가 피해를 입힐 수 있다. 중력 망치, 로켓 발사기, 스파르탄 레이저의 근접 공격은 10의 추가 피해를 줄 수 있다. 예외적으로 에너지 소드와 브루트 샷의 근접 공격은 cutting이라는 고유 타입으로 공격한다.

3. UNSC 무기

대부분 탄약 보급과 재장전을 필요로 하는 실탄을 사용하는 화약 무기들. 전작에 있었던 무기별로 지정된 탄약 팩 및 탄약 상자는 없어졌고, 사용하는 무기와 같은 무기에서만 탄약을 얻는다. 서브머신 건으로 대체되었던 1편의 어썰트 라이플이 스탯이 새롭게 조정되어 돌아왔고, 몇몇 외계 무기처럼 실탄이 아닌 에너지를 사용하는 스파르탄 레이저가 추가되어 가짓 수가 8개로 늘어났다.

치프와 아비터 시점으로 나뉘어 진행되던 캠페인이 이제 싱글 플레이어라면 무조건 치프로 고정되고 첫 시작 무기로 UNSC 무기를 들게되며, 캠페인 임무 초반부에서 후반부까지 아군 해병과 함께 동행하며 그만큼 쓸 일이 많아졌다. 다만, 어썰트 라이플과 배틀 라이플을 제외한 무기들의 비중은 그리 높지 않은 편이다.

3.1. 어썰트 라이플

공격 타입 bullet_slow
피해량 7.5
발사 속도 10 rps
장탄 수 32
예비 탄약 352(탄창 11개)
분산도 0.1 ~ 3도
(최소 오차 0.1도)
탄속 80 wu/s
최대 사정거리 40 wu
피해 변동 브루트 맨몸 x0.5
헌터 살점 x2
자칼 방패, 헌터 갑옷, 플러드 탱크 형태 x0

헤일로: 전쟁의 서막에서 나왔던 어설트 라이플과 동일한 외형의 돌격 소총. UNSC를 대표하는 무기이며, 대부분의 캠페인 미션에서 시작 무기로 나오고, 아군 해병들 또한 주로 들고 나오는 무기이다.

1편의 어설트 라이플과 비교했을 때 많은 것이 달라졌으며, 피해량과 발사 속도가 낮아져 화력이 줄어든 대신 분산도 좁아져 더 잘 맞게 되었다. 최대 탄약은 1편의 60/600발의 양에 비해 32/352로 줄어들었지만, 3편 내에서는 다른 무기들 보다 압도적인 탄약 용량을 지녓다. 근접전 스페셜리스트 무기였던 1편 때와 달리, 3편은 돌격 소총다운 제너럴리스트가 된 셈이다.

넉넉한 탄약에 다루기 쉬운 조작감 덕에 방어막 없는 적들을 무난하게 상대할 수 있고, 방어막을 두른 브루트의 방어막을 벗기는데도 좋다. 다만, 갑옷이 떨어져나간 브루트 상대로는 피해량이 절반 감소하기 때문에 헤드샷 킬이 가능한 전술 무기나 체력에 따로 피해를 입히기 좋은 무기로 상대하는 것이 좋다. 어떻게 보면 방어막에 강하고 체력에 약한 플라즈마 계열 무기와 비슷한 성향을 지닌 무기라 할 수 있다.

플러드 상대 시 좋은 명중률로 전투변이 몸에 박힌 촉수 부분을 노려서 쏴주면 잘 잡을 수 있다. 그러나 체력 높은 순수변이 상대로는 탄을 많이 써야하니 다른 고화력 무기를 구하는 것이 좋다.

단점은 탄속이 UNSC 무기들 중에서 제일 느리기 때문에 멀리서 움직이는 대상을 맞추기가 힘들다. 그나마 초탄 명중률이 좋은 덕분에 한 자리에서 그대로 있는 자칼 저격병은 잘 맞지만, 적이 자주 돌아다닌다면 조금만 멀리 있어도 잘 맞지 않는다. 캠페인 특성상 근중거리 전투보다는 멀리있는 적들을 상대해야 할 일이 많기 때문에 힘을 못 쓰는 경우가 많으니 주의.

비록 특화된 면이 적어 성능이 다른 무기에 비해 밀리기 십상이지만 넉넉한 탄약과 무난한 성능 덕분에 시작 무기로써 꽤 도움이 되어준다.

성능과 별개로 발사음이 정말 형편없다고 말이 많이 나오는 무기이기도 하다. 3편에서는 전체적으로 총기 격발 사운드가 작은 편이긴 하지만 어썰트 라이플은 특히나 이 점이 두드러져 맥빠지는 사격음을 자랑한다.

각 임무별 배치 및 활용 [펼치기/접기]
* 시에라 117: 어썰트 라이플이 시작 무기로 나온다. 해병들도 주로 들고다니는 무기이기 때문에 죽은 해병으로부터 탄약 보충을 할 수 있다. 기본 탄약이 넉넉해서 계속 들고다닐 수는 있어도, 초반에는 탄약 보급이 잘 안되니 코버넌트제 무기로 바꿔드는 것도 좋다.
  • 까마귀 둥지: UNSC 기지 내에서 진행하는 만큼 가장 쉽게 구할 수 있는 무기 중 하나다. 덕분에 내내 들고 다니기 좋으며, 특히 통로 구간의 드론을 잡는데 꽤나 도움이 된다.
  • 차보 고속도로: 이전 무기 계승이 안되었을 경우 시작 무기로 등장한다. 차에 동승하게될 해병들에게 강력한 무기들을 들려주다보면 자연스레 플레이어가 어썰트 라이플을 들게 된다.
    대부분 구간에서 차를 타고 다니므로 총 쓸일은 적다. 끊긴 다리에서부터 도보로 이동하는 구간에서 다수의 브루트를 상대해야 할 때 활용할 수 있다.
  • 폭풍: 이전 무기 계승이 안되었을 경우 시작 무기로 등장한다. 실내 전투에서 무난하다.
  • 플러드게이트: 이전 무기 계승이 안되었을 경우 시작 무기로 등장한다. 플러드 전투변이 약점 = 돌출된 촉수 부위를 쏴서 쉽게 처리할 수 있고, 감염변이 처리로 해병들이 감염되는 사태도 막아줄 수 있다. 순수변이 상대로는 힘드니 더 강한 무기도 따로 구하는 것이 좋다.
  • 아크: 같이 동행하는 ODST 중 몇몇이 들고다니며, 이들에게 더 강한 무기를 들려준다면 자연스럽게 본인이 들고 다니게 된다. 그러나 초반부 저격전과 중반부 차량전으로 구성된 임무 구성에, 후반부에는 코버넌트가 점거한 시설 내부에서 진행하기 때문에 UNSC 무기 자체가 드물어 어썰트 라이플을 활용할 일이 없다.
  • 코버넌트: 동행하는 해병이나 첫 발전기 건물 입구 앞에 펠리칸이 보급으로 떨궈주는 것에서 얻을 수 있다. 나오는 양도 적고 더 강한 무기를 자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굳이 글고다닐 필요는 없다.
  • 코타나: 이전 무기 계승이 안되었을 경우 시작 무기로 등장한다. 배경이 과거 코버넌트 본거지였던지라 대부분 적들이 코버넌트제 무기를 들고다니므로, 그냥 적당히 사용하다가 외계 무기로 바꿔서 쓰면 된다.
  • 헤일로: 이전 무기 계승이 안되었을 경우 시작 무기로 등장한다. 초반에 탄약 꽉꽉 체워서 들고갈 수 있고, 도중에 플러드 전투변이가 들고 나오는 경우도 있어, 임무 내내 들고 다닐 수 있다.

상대하는 적 관련 [펼치기/접기]
* 브루트
공격 타입 특성상 브루트의 맨몸에는 피해가 절반으로 감소하기 때문에 방어막을 벗기는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70 ~ 79 ~ 89 정도의 방어막을 지닌 하위등급 브루트 10 ~ 11 ~ 12발 가량에 파워 아머 파괴가 가능하며, 방어막 수치가 100 ~ 120인 대장급 브루트는 14 ~ 16발 가량에 파괴할 수 있다.
의외로 족장은 체력이 400식 되는데 방어막은 하위 울트라 브루트와 동일한 89밖에 안되서 어썰트 라이플로 방어막 빠르게 벗기고 헤드샷 킬 가능한 무기로 헬멧을 쏴 벗겨 헤드샷을 먹이는 식으로 상대할 수 있다.
  • 그런트
    쉽게 잡을 수 있는 상대로, 오렌지색 전투복의 마이너 그런트는 전설 난이도로도 6발 만에 죽을 정도로 약하다. 더 높은 체력의 메이저, 울트라 그런트도 브루트 방어막 벗기는 만큼 쏘면 죽는다.
  • 자칼
    저격병 상대 시 부득이하게 원거리 공격에 능한 무기를 못 구했다면 어썰트 라이플 외에 다른 적당한 수단이 없다. 어썰트 라이플의 초탄 명중률이 꽤 좋으므로, 연사로 갈기지 말고 2점사로[2] 쏘면 멀리있는 상대도 잘 맞으니 저격병을 조준선 중앙에 둔체 잘 사격해볼 것.
    방패를 든 자칼은 방패가 모든 실탄 계열 공격에 피해를 받지 않기 때문에 불리한 상대. 어느정도 가까이 접근했다면 방패에 가려지지 않은 손이나 다리 등을 공격하는 식으로 상대할 수 있다. 물론 멀리있어서 그런 부위를 공격하기 힘들다면 다른 무기를 써야한다.
  • 드론
    체력이 낮은 상대라 3발만 맞아도 죽는다. 점사로 하나하나 격추할 수도 있고, 몰려있는 드론들을 향해 연사로 쏴도 좋다. 드론의 물량이 많기 때문에 탄약이 넉넉한 무기를 활용하는 것이 좋으며, 어썰트 라이플은 이에 잘 부합해 드론을 무난하게 상대할 수 있다.
  • 플러드

3.2. 매그넘

공격 타입 bullet_slow
피해량 15
10.5(동시 사격)
발사 간격 0.4
장탄 수 8
예비 탄약 40(탄창 5개)
80(쌍수)
분산도 0.5도
쌍수: 0.5 ~ 1도
탄속 180 wu/s
최대 사정거리 40 wu
특수 기능 Dual wielding
헤드샷 킬
피해 변동 브루트 맨몸 x0.5
헌터 살점 x2
자칼 방패, 헌터 갑옷, 플러드 탱크 형태 x0

헤일로 시리즈에 등장하는 기초적인 전술무기. 전작의 매그넘과 동일하게 헤드샷 킬 가능한 무기 중에선 Dual wielding이 가능한 유일한 무기이며, 외형은 1편의 피스톨과 비슷하게 회색이다.

2편의 매그넘에 비해 발사속도가 4배 느려졌고, 장탄 수 역시 12발에서 4발로 감소했으며, 대신 피해량은 8에서 15로 늘어났다. Dual wielding이 가능한 유일한 전술 무기라는 점에서 플라즈마 피스톨과 함께 사용해 방어막 벗기고 헤드샷 먹이는 콤보를 하는데 좋다.

그러나 이 무기는 2편의 매그넘보다도 구린 성능을 지녓다. 발사 속도가 느려서 그런트 여럿을 빠르게 죽이기가 힘들고, 다른 전술 무기처럼 조준경이 없는데 집탄률도 좋지 않아 멀리있는 상대의 머리를 따는 것도 힘들다. 플라즈마 피스톨과 조합해 써먹으려 해도 무기를 2개 들고 있을 때는 분산도가 더 늘어나기 때문에 근거리가 아니면 활용하기 힘들다. 그나마 피해량은 총알 무기 중에서 꽤 높은 편이고 방어막 없는 상대에게 경직도 잘 주지만, 발사 속도가 느려서 유의미한 이점은 되지 못한다.

이 무기를 사용하게 된다면 초반에 다른 전술 무기가 없어서 임시로 들고다닐 뿐이고, 배틀 라이플이나 카빈같은 더 좋은 무기가 나온다면 버려진다. 아니, 차라리 매그넘을 버리고 그냥 깡 화력으로 적들을 감당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다. 어차피 매그넘은 캠페인 내에 배치된 양도 적어서 탄약 구하는 것 마저도 힘들기 때문에 그냥 버려도 부담이 없다.

각 임무별 배치 및 활용 [펼치기/접기]
* 시에라 117: 어썰트 라이플과 함께 시작무기로 등장한다. 초반에 적들을 헤드샷으로 빠르게 처리하겠다면 카빈이 나오기 전까지는 어쩔 수 없이 들고다녀야 한다. 아니면 헤드샷 킬을 포기하고 매그넘 대신 브루트 샷 등 다른 무기를 들고 다니는 것도 방법. 초반을 어찌 넘기면 다음 구간에서 카빈을 얻을 수 있으니 매그넘의 역할은 거기서 끝난다.
  • 까마귀 둥지: 임무 시작부터 무기고에서 얻을 수 있는 4가지 UNSC 무기들(어썰트 라이플, 매그넘, 배틀 라이플, 서브머신 건) 중 하나. 배틀 라이플을 두고 이걸 들고갈 이유가 없다.
  • 폭풍: 이전 무기 계승이 안되었을 경우 시작무기로 등장한다. 배틀 라이플을 든 해병과 무기 교환을 하거나 실내 계단 위 후방 구석쪽에 배틀 라이플을 얻을 수 있어 굳이 매그넘을 계속 들고다닐 필요가 없다.

상대하는 적 관련 [펼치기/접기]
*브루트
자체 화력이 약해 방어구 두른 브루트 상대로는 별로고, 방어막 없어진 브루트를 마무리하는데 쓰게 된다. 맨몸의 브루트 머리를 한 번에 못 맞춘다 해도 일단 한 발 맞으면 경직에 걸리니, 비틀거리는 틈에 다시 머리를 쏴주면 된다.
  • 그런트
    머리를 맞추면 무조건 한 방에 죽으니, 근중거리의 그런트의 수를 줄이는데 좋다.
  • 자칼
    초탄 명중률이 다른 전술 무기는 물론 어썰트 라이플보다도 못하기 때문에 멀리있는 자칼 저격병의 머리를 노리기가 힘들다. 다른 무기로 상대하는 것이 좋다.
    방패든 자칼도 마찬가지로, 방패가 실탄에 피해를 받지 않아 몸을 쏴야하는데 매그넘으로는 맞추기가 힘들다.

3.3. 배틀 라이플

공격 타입 bullet_fast
피해량 6
발사 간격 0.28 초
장탄 수 36
예비 탄약 108
장전 속도 ~ 1.9 초
분산도 0.15 ~ 0.5
탄속 180 wu/s
최대 사정거리 40 wu
특수 기능 2배율 조준경
헤드샷 킬
피해 변동 헌터 살점, 플러드 약점부위 x2
플러드 x0.25
자칼 방패, 헌터 갑옷, 플러드 탱크 형태 x0

헤일로 2에서 처음 등장한 UNSC의 전투 소총. 한 번 사격 시 3발 식 나가는 점사로 사격하며, 헤드샷 킬이 가능한 전술 무기이다. UNSC의 보급 물품에서 주로 볼 수 있으며, 캠페인 몇몇 임무에서 시작무기로 등장하기도 한다.

전작의 배틀 라이플과 크게 변한 점은 없다. 피해량과 탄약 용량은 동일. 발사 간격은 0.26초에서 0.28초 정도로 약간 느려졌고, 집탄률은 0.3 ~ 0.6도에서 0.15 ~ 0.5도로 '캠페인 기준'으로 약간 더 좋아졌다. 탄속은 400에서 180으로 절반 이상으로 떨어져서 멀리 있는 적을 상대로는 예측사격을 해야만 한다.

게임 내에서 가장 다루기 쉬운 무기이며, 그런트 자칼 등 방어막 없는 적들을 헤드샷으로 쉽고 빠르게 처리하는데 특화되어 있다. 카빈보다는 탄약 배치가 덜하지만, 그래도 아군 해병이 주로 사용하고 UNSC 보급품에서 자주 얻을 수 있어 탄약 보급도 잘 되는 편이다. 3발로 점사하는 특성상 한 발 쏠때 헤드샷 기회가 3번 식이나 있는 것이나 다름 없어, 분산도와 관계없이 멀리 있는 적, 주로 자칼 저격병의 머리를 노리기가 좋다.

약점이라고 한다면, 방어막을 두른 브루트 상대로는 바로 헤드샷 킬이 안되기 때문에 갑옷을 벗기기 위해 많이 쏴야하는데, 겨우 4탄창이 최대인 배틀 라이플의 탄약을 너무 많이 쓰게 되므로, 방어막을 벗길 무기를 함께 갖추는 것이 좋다. 그리고 헌터나 플러드 순수변이들은 체력이 높아서 역시나 배틀 라이플 탄약을 많이 쓰므로, 다른 고화력 무기로 상대하는 것이 좋다.

헤일로 2에서부터도 그렇지만 적 다수를 헤드샷 1방에 지워버릴 수 있다는 이점이 크기 때문에, 이 무기를 쓰냐 안 쓰냐에 따라 게임의 난이도가 좌우되는 캠페인 최강의 무기라 할 수 있다.

각 임무별 배치 및 활용 [펼치기/접기]
* 시에라 117: 카빈을 든 자칼이 첫 등장하는 구간을 지나, 브루트에게 잡힌 한 해병을 구출한 후, 통나무 다리를 지나서 왼쪽 큰 바위들 사이에 죽은 해병들이 배치된 곳에서 처음으로 얻을 수 있다. '집결 지점 브라보'에서 시작할 때는 왼쪽 바위 위아래로 죽은 해병에게서 얻을 수 있다.
배틀 라이플을 얻고 얼마 안가 빔 라이플을 든 자칼 저격병을 마주하게 되므로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바로 챙겨가는 것이 좋다. 해당 임무에서는 멀리있는 적들을 상대할 일이 많기 때문에 배틀 라이플이 매우 유용하다.
  • 까마귀 둥지: 첫 시작지점에서 가는 길의 총기함에서 얻을 수 있는 무기 중 하나. 가는 곳마다 배틀 라이플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탄약을 구하기가 다른 임무들보다 쉬운 편이라 자주 사용할 수 있다.
  • 차보 고속도로: 이전 무기 계승이 안 될 시 시작무기로 나온다. 첫 시작구간과 중반부 전초기지 내에서 배틀 라이플이 든 탄약 상자가 있어 도보로 이동할 구간에서 자주 활용할 수 있다.

상대하는 적 관련 [펼치기/접기]
* 브루트
방어막을 부수고 헤드샷을 날려 빠르게 처치할 수 있다. 다만, 탄약 용량이 적기 때문에 배틀 라이플만 써서 브루트 방어구 까지 벗기면서 상대하기는 탄약 낭비가 심하니, 다른 무기로 방어구를 파괴한 다음 헤드샷으로 마무리하는 것이 좋다.
브루트 족장은 특히 체력이 400이 넘기 때문에 웬만한 무기로는 제대로 죽이기 힘들기 때문에 배틀 라이플과 같은 헤드샷 가능한 무기가 필요하다. 족장은 헬멧을 쓰고 있어 머리에 여러발을 쏴야 헬멧을 벗기고 헤드샷을 맞출 수 있어 다른 적보다 빠르게 죽이기 힘들지만, 그래도 화력 낮은 무기로 몸통만 쏴대는 것 보다는 사정이 낫다.
  • 그런트
    가장 쉽게 처리할 수 있는 대상으로, 3번의 헤드샷 기회가 있는 만큼 한 번 사격에 2~3명의 그런트를 연달아 처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배틀 라이플의 탄약이 넉넉한 편이 아니므로, 수 많은 그런트에게 일일이 배틀 라이플만 쏘기보다 다른 무기와 공격 수단과 함께 처리하는 것이 좋다.
  • 자칼
    저격 소총 계열 무기가 없을 경우 자칼 저격병을 가장 잘 잡는 무기. 헤드샷 기회가 3번 있으니 빗 맞을 일도 적어 처리하는데 부담이 없다.
    방패든 자칼의 경우 방패에 탄이 막히니, 방패에 가려지지 않는 부위를 쏴서 경직시킨 틈에 헤드샷을 맞추는 식으로 상대하는 것이 좋다.

3.4. 스나이퍼 라이플

공격 타입 bullet_fast
sniper
피해량 80
발사 간격 0.7
장탄 수 4
예비 탄약 20
장전 속도 ~ 2.4 초
특수 기능 5, 10배율 조준경
헤드샷 킬
피해 변동 헌터 살점 x2, 플러드 약점부위
플러드 x0.25
자칼 방패, 헌터 갑옷, 플러드 탱크 형태 x0

시리즈 내내 등장하는 UNSC의 저격 소총. 캠페인 첫 임무 '시에라 117'의 임무 후반부 부서진 펠리칸에서 처음으로 주워서 쓸 수 있다. 6번째 임무 '아크'에서는 시작 무기로 주어지고 초반부에 자주 사용해볼 수 있다.

전작과 비교했을 때 발사 속도가 0.5초에서 0.7초로 늘어나 사격 속도가 확연히 느려졌으며, 삼부작 중에서 제일 느린 발사속도를 지니게 되었다. 대신 피해량이 45에서 80으로 늘어나 공격력은 더 강해졌다.

저격 무기인만큼 sniper 공격 타입이 있지만, 해당 타입의 배율이 조정되어 더 이상 방어막에 추가 피해를 입히지 못한다. 그래도 자체 피해량이 높아져서 몸샷의 위력이 강해졌고, 브루트의 낮은 방어막은 쉽게 뚫을 수 있으므로 문제 될 것은 없다.

저격 무기로써 자칼 저격병 같이 멀리있는 적을 잡거나, 브루트와 같은 강력한 적을 솎아내는데 유용하다. 다만, 등장 빈도가 적어 사용할 기회가 적은 편.

3.5. 서브머신 건

공격 타입 bullet_slow
피해량 5
4.5(동시 사격)
발사 속도 15 rps
장탄 수 60
예비 탄약 180 (탄창 3개)
360(쌍수)
장전 속도 ~ 1.7 초
~ 3.6초 (쌍수)
탄속 320 wu/s
특수 기능 Dual wielding
피해 변동 브루트 맨몸 x0.5
헌터 살점 x2
자칼 방패, 헌터 갑옷, 플러드 탱크 형태 x0

2편에서 처음 등장한 UNSC의 기관단총. 2편 당시에는 어설트 라이플을 대체하여 등장한 무기였지만, 3편에서는 어썰트 라이플을 사용할 수 있게되어 연사 무기 역할을 양분한다.

전작의 서브머신 건에서 버프를 받았으며, 피해량이 4.75에서 5로 늘고, 분산도도 줄어들어 공격력이 더 강해졌다. 캠페인 내에서 역할은 어썰트 라이플과 겹치는 면이 있으며, 방어막 없는 대상을 처리하거나 브루트의 방어막을 벗기는 등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어썰트 라이플과 성능을 비교하면 서브머신 건이 좀 더 좋다고 할 수 있는데, 발 당 피해는 약해도 연사력이 더 빨라서 피해를 넣기가 더 원할한 덕분이다. 거기다 어썰트 라이플보다 탄속이 4배나 더 빠른 덕에 멀리있는 상대도 더 잘 맞춘다.

그러나 어썰트 라이플보다 등장 빈도가 낮아서 쓸 기회가 모자라는 무기. 덜 나오는 만큼 탄약 구하기도 쉽지 않은데 탄약도 최대 4탄창 분량만 쏠 수 있어 계속 들고다니기에는 탄약이 모자란다.

양손에 들고 쏠 수 있지만, 서브머신 건 2개를 동시에 발사할 경우 하나당 발사 속도가 더 느려지는 페널티가 있어 효율이 안 좋다. 거기에 장전 속도가 더 느려지고 수류탄 투척이 안되는 Dual wielding 기능의 자체적인 단점은 덤. 그냥 하나만 들고 쏘는 것이 낫다.

어썰트 라이플처럼 방어막 없는 상대를 처리하고 브루트 방어막 벗기는데 좋은 무기이지만, 아무래도 더 좋은 무기들이 있다보니 우선순위에서 밀리게 된다.

3.6. 샷건

공격 타입 bullet_slow
kill_flood(적용 안됨)
피해량 3 ~ 10 x 15(최대 150)
발사 속도 1 rps
장탄 수 6
예비 탄약 30
장전 속도 ~ 0.6 초(발 당)
분산도 7.5
최대 사정거리 6 wu
피해 변동 브루트 맨몸 x0.5
헌터 살점 x2
자칼 방패, 헌터 갑옷, 플러드 탱크 형태 x0

헤일로 시리즈에서 주로 보이는 펌프 액션 산탄총. 캠페인 2번째 임무 '까마귀 둥지'에서 처음 등장한다.

2편의 샷건에 비해 스탯이 많이 조정되었으며, 발사 하는 펠릿 수가 10개에서 15개로 늘고, 분산도가 8 ~ 10도엣 7.5도로 줄어드는 버프를 받았다. 그러나 사정거리가 8에서 6으로 줄고, 펠릿 당 피해량이 최대 16.5에서 10으로 줄어드는 너프도 받았다. 특히 장탄 수가 절반으로 확 줄어들어 전투 지속력이 약해졌다.

성능이 안 좋아보이지만 의외로 2편 샷건보다 더 쓰기 좋은 면이 있는데, 더 좁은 분산도와 더 많은 펠릿 수 덕분에 명중률은 높은 편이며, 주적으로 등장하는 브루트들의 체력이 2편의 실드 떡칠한 엘리트에 비하면 약하기 때문에 잡는게 그리 어렵지 않고, 사격 후 근접 공격을 먹이는 것으로 웬만한 브루트들을 빠르게 쓰러트릴 수 있다. 브루트보다 더 약한 적들이야 물론 한 방에 처리 가능하고, 헌터 상대로도 약점인 등에 2발 쏴주면 누워버린다.

문제가 있다면 샷건의 공격 타입인데, 샷건은 2편의 공격 타입인 bullet_slow 와 kill_flood 를 둘 다 가지고 있는데, kill_flood 공격 타입이 헤일로 3에서는 없는 공격 타입이라 적용되지 않는다. 원래는 anti_flood 공격 타입을 가져야 했지만, 개발 도중 실수로 적용되지 않은 셈이다. 물론, 샷건 자체 위력 덕에 체력 낮은 플러드 전투변이들은 쉽게 처리할 수 있어 그리 문제될 것은 없다.

물론 샷건의 치명적인 약점은 근접 무기나 다름없는 짧은 유효 사정거리로, 적과 바짝 붙어서 공격해야 하기 때문에 적을 한두방에 끝장내지 못하면 위험 부담이 너무 커진다. 비록 헤일로 2에 비해 활용하기 더 좋아졌다 하더라도, 중력 해머와 에너지 소드와 같이 더 강한 근접 무기를 두고 샷건을 들기에는 메리트가 부족한 편.

3.7. 로켓 발사기

공격 타입 explosion_large
피해량 440
폭파 범위 1 ~ 2
장탄 수 2
예비 탄약 6
장전 속도 ~ 3.7 초
탄속 8~ 16 wu/s
특수 기능 2배율 조준경
피해 변동 방어막 x0.5
헌터, 차량 x1
플러드 탱크 형태 x0.25

헤일로 시리즈에 매번 등장하는 발사관 2개짜리 로켓 발사기. 캠페인 4번째 임무 '폭풍'에서 로켓 발사기를 든 해병들과 동행하게 되며 직접 사용해 볼 수 있다.

2편 로켓 발사기에 있던 유도 로켓 기능이 없어졌기 때문에 대차량전이 힘들어졌고, 무기 배치도 대인전에서 주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화력이 전작보다 크게 올랐으며, 직격 피해와 범위 피해로 공격이 세분화된 2편과 달리 1편처럼 폭발 피해만 주는 것으로 바뀌었고, 공격력 자체도 350에서 440으로 늘어났다. 비록 브루트의 방어막 상대로는 피해가 절반으로 떨어지지만, 3편의 브루트는 2편의 엘리트처럼 방어막량이 높지 않아서 한 방에 잘 날아간다. 다만, 탄속이 최대 20에서 16으로 떨어져 2편보다는 느린 편.

게임 상에서 가장 강력한 무기 중 하나로, 모여있는 적들을 한 방에 날릴 수 있는 강력한 화력을 지녓고, 헌터같은 체력 높은 적도 단 2발에 처리할 수 있다.

로켓 발사기의 제일 큰 약점은 최대 탄약 수로, 본인이 쏠 때는 이 문제 때문에 오래 못 쓴다. 그러나 아군에게 들려줄 경우 강력한 로켓을 무한하게 쏠 수 있으니 이러한 약점이 완벽 보완된다. 꼼수로 아비터를 팀킬 한 다음에 아비터가 쓰러지면서 떨군 무기를 로켓 발사기로 바꿔주면 아비터가 로켓 발사기를 들게되어 게임을 대신 깨주는 경지까지 온다. 다만, 로켓은 플레이어 본인에게도 치명적이니 팀킬을 당하지 않도록 아군들의 발사각을 잘 살피도록 하자.

3.8. 스파르탄 레이저

공격 타입 laser
피해량 114 x 5 (570)
발사 시간 2.5 초
발당 배터리 소모량 20[3]
피해 변동 플러드 약점 부위 x2
스파르탄, 엘리트 맨몸, 레이스, 헌터, 방어막 x0.5
모니터 x1

레이저를 발사하는 UNSC의 대전차 화기. 다른 UNSC제 무기와 다르게 실탄을 사용하지 않고 배터리를 사용하는 무기이다. 게임에서 가장 마지막으로 등장하는 무기이며, 켐페인 7번째 임무 '코버넌트'에서 시작 무기로써 처음 사용해볼 수 있는 무기이다. 발사 시 충전하는 소리가 나오다가 발사될 때 천둥과 같은 소리가 나오며 레이저가 발사된다.

무기를 발사하기 위해서 2.5초 가량의 사전 충전이 필요한 무기고, 최대 5발 밖에 쏠 수 없는 무기이니 차량과 같이 크고 단단한 상대를 노리는 것이 존재의의인 무기이다. 아군에게 들려주면 무한하게 쏠 수 있긴 하지만, 사전 충전 시간 때문에 들고 있던 아군이 제대로 쏘기도 전에 죽을 수 있으니, 차량에 동승시켜 갈 생각이라면 이를 고려해줘야 한다.

마지막 임무 '헤일로'에서 존슨이 스파르탄 레이저로 지원 사격을 해주는데, 존슨이 있는 곳까지 올라가서 존슨을 2번 팀킬하고 나면 배터리가 무한인 스파르탄 레이저를 쏴볼 수 있다.

강력한 대차량 무기이지만, 사용할 수 있는 임무가 한 두개 뿐이며, 그 조차도 오래쓰지 못해서 캠페인 내 비중이 가장 적은 무기이다.

덤으로, 모니터는 이 무기에만 피해를 받도록 설정되어 있다.

4. 외계 무기

코버넌트와 엘리트 세력등의 외계 세력들이 주로 사용하는 무기들. 무기들의 컨셉이 2편보다 더 확고해졌으며, 그런트 드론등의 총알받이 역할의 외계인이 사용하는 소형 무기, 브루트가 사용하는 칼날이 달린 위압적인 형태의 브루트제 무기, 자칼 저격병들이 주로 사용하는 길쭉한 형태의 전술 무기, 엘리트들이 주로 사용하는 세련된 형태의 무기 등 종족과 세력마다 다른 다양한 형태의 무기들이 존재한다.

4.1. 플라즈마 피스톨

공격 타입 plasma_slow(일반)
emp(충전)
피해량 4 ~ 7(일반)
400(충전)
발당 배터리 소모량 충전: 11[4]
특수 기능 Dual wielding
피해 변동(일반) 방어막 x1.5
센티널 x1.4
헌터 살점 x2
브루트 맨몸 x0.5
스파르탄, 엘리트 맨몸 x0.35
헌터 갑옷, 플러드 탱크 형태 x0
피해 변동(충전) 방어막 x1
차량 x0.001
나머지 x0

그런트, 방패 자칼, 드론이 주로 들고다니는 플라즈마 권총. 하위 등급의 종족들이 주로 들고다니는 만큼 외계 무기들 중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무기이다. 두 가지 발사 방식이 있으며, 공격 버튼을 연속으로 누르는 일반 사격과 꾹 눌러서 발사하는 충전 사격이 존재한다.

2편에서부터 많은 너프를 받은 무기이며, 플라즈마 충전 상태를 계속 유지할 경우 지속적으로 배터리가 소모되며, 유도 성능도 낮아져 전작들에 비해 탄 낭비가 자주 발생하게 된다. 대신 새로운 능력으로 차량을 일시적으로 작동 불능 상태로 만드는 대차량 EMP 기능이 생겨났다.

일반 사격은 쓸모가 없다. 양손에 2개 들고 쏴대야 그나마 유효한 공격력이 나오며, 그래봤자 그런트나 겨우 잡는 수준에 불과하다. 때문에 충전 사격만이 플라즈마 피스톨의 유일한 의의다.

성능적으로는 일반 사격 피해마저 굉장히 강력했던 1편의 것은 물론이고, 충전샷의 유도력이 좋은 2편보다도 못하다. 유도력이 약해서 멀리있는 브루트의 방어막을 소진시키는 것이 힘들기 때문에 더 이상 'noob combo'라고 불릴 정도의 위력은 보이지 못한다. 거기다 방어막만 까는 용도라면 브루트들의 방어막이 전작 엘리트 만큼 높지 않기 때문에 굳이 플라즈마 피스톨 말고도 어썰트 라이플같은 연사형 무기로도 충분히 할 수 있으므로 다소 빛이 바래는 편.

그럼에도 족장이나 대장급의 높은 내구력을 지닌 브루트의 방어막을 가장 빠르게 없에버릴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대차량 EMP 기능으로 방어막 까기 외에 다른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여전히 쓸만하다.

4.2. 니들러

공격 타입 plasma_slow(파편 피해)
explosion_small(합성 폭발)
피해량 4 (파편 직격)
30 ~ 50 (합성 폭발 범위 피해)
400 (합성 폭발 대상 피해)
폭파 범위 0.2 ~ 0.5
발사 속도 10 rps
장탄 수 19
예비 탄약 76(탄창 4개)
탄속 11 wu/s
피해 변동(일반) 방어막 x1.5
센티널 x1.4
헌터 살점 x2
브루트 맨몸 x0.5
스파르탄, 엘리트 맨몸 x0.35
헌터 갑옷, 플러드 탱크 형태 x0
피해 변동(폭발) 방어막 x0.5
레이스, 헌터, 플러드 탱크 형태 x0.25

그런트가 플라즈마 피스톨과 함께 주로 들고다니는 유도탄 발사기. 발사한 탄환은 적을 자동 추적하여 달라붙은 후 피해를 주며, 7~8발 가량이 상대 몸에 박히면 더 큰 폭발이 일어나 피해를 입힌다.

헤일로 2의 니들러에서 많은 것이 바뀌었다. 더 이상 Dual wielding이 불가능해져 두 개식 들 수 없게 됐고, 탄속은 6에서 11로 빨라졌고, 탄약 소지량은 30/90발에서 19/76발로 줄어들었다. 그리고 피해 방식이 바뀌어 이제 1편 2편에서처럼 적의 몸에 박힌 파편이 얼마 뒤 터져서 피해를 입히는 공격 방식이 없어지고, 몸에 박히면 바로 피해를 입도록 바뀌었다.

더 빨라진 탄속과 발사 속도로 적에게 합성 폭발을 일으키기가 쉬워졌고, 합성 폭발이 일어나면 웬만한 적들은 한 방에 죽으므로, 게임 내에서 상당히 강력한 무기다. 대부분의 브루트들 상대로 특히 강력하고, 브루트를 빠르게 처치한만큼 주변 그런트들을 빠르게 패닉 상태로 만들 수 있다. 거기다 재장전 속도도 게임 내에서 가장 빨라 전투 지속력도 좋고, 그런트가 자주 사용하고 코버넌트 보급 케이스에서 얻을 수 있어 탄약 구하기도 쉬운 편이다.

문제가 있다면 적들이 니들러 탄을 두려워해서 수류탄 피하듯이 계속 몸을 날려 피하려고 하기 때문에 정면에서 맞추기가 그리 쉽지않다. 역으로 생각해보면 적들이 사격을 하다가 쫄아서 몸을 피하게 되니 적의 공격으로부터 더 안전해지는 셈이다. 적들이 계속 피하는 것이 거슬린다면, 상대가 수류탄을 던질 때를 노려주면 된다. 수류탄을 던지는 상대는 회피를 안 하기 때문에 니들러로 맞추기가 쉬워진다.

폭발 피해를 주는 만큼 몰려있는 적을 상대로 범위 피해와 경직을 입힐 수 있어 물량 상대로도 괜찮은 편. 플러드 상대로는 특히 합성 폭발로 몸을 산산조각 내서 감염변이가 더 이상 살아날 수 없게 만들 수 있어 특히 유용하다. 거기에 플러드 배양변이 상대로는 합성 폭발을 일으키면 배양변이가 터져서 감염변이가 튀어나오지 못하게 할 수 있고, 한 장소에서 쏴대기만 하는 플러드 레인지 형태 상대로도 특히나 유용해 플러드 상대로 큰 활약을 한다.

합성 폭발 한 번에 안 죽는 상대는 플러드 탱크 형태와 코버넌트의 헌터가 있다. 탱크 형태는 합성 폭발이 2번 필요하며, 헌터는 합성 폭발 3번 + 니들러 탄환의 자체 피해를 통해서 처치할 수 있다.

합성 폭발이 아예 안 먹히는 상대도 있는데, 그것은 브루트 족장이다. 족장은 플라즈마 수류탄과 같은 부착형 공격이 전혀 통하지 않는 대상이라서 니들러 탄환이 그냥 튕겨나간다. 그런데, 족장 또한 다른 적들과 다를 바 없이 니들러 탄환을 피하려 들기 때문에 족장의 공격을 저지하고,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강력한 무기이긴 하지만, 자체 탄약 용량이 적어 탄약이 쉽게 바닥나는데, 탄약 구하기 쉽다고는 해도 플라즈마 피스톨에 비하면 덜 나오며, 니들러 탄약 소비량에 비해 제때 보충할 정도로 많이 나오지는 않으므로 항상 탄약이 고픈 무기.

못 죽이는 적이 있다는 점과 탄약이 항상 모자라는 등 자체적인 한계점은 명확하지만, 성능적으로 헤일로 3부작에서 가장 강력한 성능을 보이는 니들러라 할 수 있다.

4.3. 카빈

공격 타입 plasma_fast
피해량 10
발사 간격 0.17 초
장탄 수 18
예비 탄약 72(탄창 4개)
장전 속도 ~ 1.8 초
분산도 0.3 ~ 0.6
탄속 180 wu/s
특수 기능 2배율 조준경
피해 변동 헌터 살점, 플러드 약점부위, 센티널 x2
자칼 방패 x0.5
플러드 x0.25
헌터 갑옷, 플러드 탱크 형태 x0

전작에서 추가된 코버넌트의 전술 무기. 전작에서는 엘리트와 브루트들만이 사용하는 무기였으나, 해당 작품부터 자칼 저격병들이 빔 라이플을 대신 카빈을 대신 사용하기도 한다. 캠페인 첫 레벨 '시에라 117'에서부터 얻을 수 있고, 카빈을 든 자칼들도 등장한다. 아비터가 처음 들고 나오는 무기이기도 하며, 협동 플레이로 조종하는 엘리트들도 시작 무기로 들고 나온다.

전작의 카빈 비해서 너프가 되었으며, 피해량이 소폭 줄고, 발사 속도도 느려지고, 탄속도 절반 이상으로 줄어들었다. 그러나 상대를 헤드샷을 빠르게 끝장낼 수 있다는 이점은 여전한데다, 자칼이나 브루트가 주로 사용하고, 코버넌트의 보급 케이스에서도 자주 보이는 만큼, 전술 무기 중에서 제일 구하기 쉬운 덕에 캠페인 내에서 가장 범용성 높은 무기이다.

배틀 라이플과 비교하면 실질적인 탄창량이 6발 더 많고, 발사 속도도 빨라서 방어막 두른 브루트를 떠 빨리 잡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그러나 집탄률이 좋지 않아서 장거리의 적을 상대하는데는 불리하며, 한 번에 3발을 연달아 쏘는 만큼 헤드샷 맞출 기회가 많은 배틀 라이플에 비해 명중률이 낮다.

어쨋든 게임을 순조롭게 진행할 수 있게 해주는 헤드샷 킬 가능한 전술 무기인만큼 캠페인 임무 내내 들고다닐 무기 중 하나로 선택해도 될 만큼 신뢰성 높은 무기이다.

4.4. 빔 라이플

공격 타입 plasma_fast
sniper
피해량 80
발사 간격 0.4
발당 배터리 소모량 5[5]
과열 회복 시간 ~ 2.9 초
특수 기능 5, 10배율 조준경
헤드샷 킬
피해 변동 헌터 살점, 플러드 약점부위, 센티널 x2
자칼 방패 x0.5
플러드 x0.25
헌터 갑옷, 플러드 탱크 형태 x0

전작에서 첫 등장한 코버넌트제 저격 소총. 일부 구간의 자칼 저격병이 들고 나오며, 캠페인 3번째 임무 '차보 고속도로'와 같이 브루트가 들고 나오기도 한다. 전작에 부대 단위로 나오는 자칼 저격병들이 빔 라이플을 들고 온 것에 비해 해당 작품에서는 빔 라이플을 들고 오는 적의 수가 줄어서 안전해졌지만, 반대로 무기 자체의 등장 빈도가 크게 줄어들었다. 협동 플레이 시 엘리트 플레이어 들은 '아크', '코버넌트'와 같은 임무에서 시작 무기로 들고 나오기도 한다.

전작의 빔 라이플에 비해 발사 간격이 0.25초에서 0.4초로 늘어났지만 충분히 빠른 발사 속도를 지녓고, 발당 배터리 소모량은 5.5에서 5로 감소하고, 피해량은 45에서 80으로 크게 늘어나는 등 전작보다 더 강해졌다.

다만, sniper 공격 타입에 변화가 생겨, 더 이상 방어막에 추가 피해를 입히지 못한다. 그래도 자체 피해량이 높아져서 몸샷의 위력이 강해졌고, 브루트의 낮은 방어막은 쉽게 뚫을 수 있으므로 문제 될 것은 없다.

UNSC 스나이퍼 라이플과 다른 점이 있다면, 공격 타입인 plasma_fast가 자칼 방패에 피해를 준 다는 점 외에는 특별한 차이점은 없다. 그 외에는 자칼 저격병이 들고 나오는 등 코버넌트 세력에서 사용하는 무기인만큼 전장에서 구하기가 스나이퍼 라이플보다는 쉽다는 이점이 있다. 그러나 2편에 자칼 저격병들이 빔 라이플만 들던 것에 비해, 3편의 자칼들은 빔 라이플 대신 카빈을 더 자주 들고 오기 때문에 어디까지나 상대적일 뿐 사용할 기회가 그리 많지는 않다.

4.5. 브루트 샷

공격 타입 explosion_small(폭발)
cutting, anti_flood(근접)
피해량 26 ~ 73(폭발)
90(근접)
폭파 범위 0.3 ~ 1.1 wu
발사 간격 0.3 초
장탄 수 6
예비 탄약 12
장전 속도 ~ 3.2 초
탄속 20 ~ 10 wu/s
피해 변동(폭발) 방어막 x0.5
레이스, 헌터, 플러드 탱크 형태 x0.25
피해 변동(근접) 그런트, 자칼, 드론, 플러드 탱크 형태 x2
플러드 x4
헌터, 레이스 x0

전작과 마찬가지로 브루트가 주력으로 사용하는 유탄 발사기. 3편에서는 브루트가 주적으로 나오고, 그만큼 브루트들이 자주 들고 나오는 무기이며, 캠페인 첫 임무 '시에라 117'에서 제일 먼저 만나는 적이 브루트 샷을 든 대장 브루트이기 때문에 모든 외계 무기 중에서 제일 먼저 사용해 볼 수 있다.

2편의 브루트 샷과 비교하면 작동 방식이 달라졌으며, 더 이상 유탄이 지면에 튀지 않고 지면에 착탄 시 바로 폭발하도록 변경되었다. 거기에 장탄 수가 4에서 6으로 2개 더 늘어났고, 폭발 피해도 소폭 증가하여 2편보다 화력이 더 강해졌다. 대신 폭파 범위가 최대 1.5에서 1.1로 줄어들었다.

브루트 샷의 특이한 점은 근접 공격이 다른 총기류 무기들에 비해 월등히 강력하다는 것이다. 기본적으로 90이라는 높은 피해에 cutting이라는 공격 타입이 붙어 브루트 제외한 대부분의 보병 상대로 2배 이상의 피해를 입힐 수 있으며, 플러드 상대로는 anti_flood이 추가로 붙어 4배의 피해를 입힐 수 있다. 때문에 웬만한 대상은 근접 공격 1방에 죽고, 1방에 안 죽는 대상이라면 2, 3번 썰어서 처치가 가능하다.

높은 피해의 유탄에 강력한 근접 공격이 더해져 방패든 자칼이든 브루트든 간에 전부 상대하는데 문제가 없어, 캠페인 내에서 가장 강력한 위력에 범용성을 지닌 무기. 거기에다가 브루트들이 자주 들고 나오는 만큼 탄약 보충도 잘 된다. 설령 탄약이 다 떨어졌다고 해도 고위력의 근접 무기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계속 들고다녀 볼 만하다.

다만, 유탄 날아가는 속도가 꽤나 느리기 때문에 한 곳에 가만이 총만 쏘는 적이 아니라면 맞추기가 힘들기 때문에, 되도록 적과 가까이서 싸우는 것이 좋다. 적에게 가까이 가기 힘든 상황에서는 다루기가 힘들어지니 원거리 공격에 좋은 무장이랑 조합하거나 지형을 이용해 최대한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4.6. 스파이커

공격 타입 bullet_slow
피해량 9
7.2(동시 사격)
발사 속도 7.5
장탄 수 40
예비 탄약 120(탄창 3개)
쌍수: 240
분산도 0.5 ~ 1.25도
쌍수: 0.75 ~ 1.5도
탄속 25 ~ 17.5(6wu 이동 후) wu/s
특수 기능 Dual wielding
피해 변동(사격) 브루트 맨몸 x0.5
헌터 살점 x2
자칼 방패, 헌터 갑옷, 플러드 탱크 형태 x0

브루트의 표준 연사형 무기. 코버넌트 상대 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무기 중 하나다. 무기에 자체적으로 칼날이 달려있어 일반 무기의 근접 공격보다 2만큼 더 높다.

어썰트 라이플보다 나은게 하나도 없는 무기로, 더 낮은 DPS에 더 느린 탄속 때문에 화력이 당연히 안 나온다. 그나마 2개식 들고 동시에 쏠 때는 능력치 감소가 적어 괜찮겠지만 장전 속도가 더 느려진다는 점이 문제. 거기다 칼날 달린 것 치고 근접 공격이 정말 쥐꼬리만큼 올라가고, 브루트 샷처럼 cutting 속성도 없기 때문에 이도저도 아닌 성능을 보인다. 이걸 쓸 바에 그냥 다른 무기를 쓰는 것이 훨신 낫다.

그나마 이점이 있다면 탄약 구하기가 정말 쉽다는 점이다. 어쨋든 적을 못 죽이는 무기는 아니라는 점에 의의를 가지고, 정말로 쓸 무기가 없을 때 생각해볼 수는 있을 정도다.

4.7. 중력 해머

피해량 50 ~ 160(범위 공격)
150 ~ 160(돌진 공격)
돌진 사정거리 6 wu
배터리 소모량 5[6]

전작의 타타루스가 들고 다니는 것과 같은 칼날이 달린 거대한 양손망치. 중력 해머의 사용자인 타타루스가 족장이듯 해당 작품의 족장, 그 중 검붉은 갑옷을 입은 브루트 족장이 주 무기로 들고 나온다.

중력 해머의 일반 공격은 광역 피해를 입힐 수 있어 여러 대상을 타격할 수 있다. 에너지 검처럼 짧은 거리를 순식간에 이동하며 타격하는 돌진 기능도 있으며, 해당 거리 내 단일 대상에게 공격을 가하면 돌진하면서 단일 대상에게 큰 피해를 줌과 동시에 광역 공격까지 보너스로 안겨준다. 그리고 다른 무기처럼 근접 공격 버튼으로 발동하는 근접 공격은 망치 자루로 타격하는 공격으로, 일반적인 근접 공격보다 10만큼 피해를 더 줄 수 있어, 중력 해머의 배터리를 낭비하기 아까운 대상을 상대로 써먹기 좋다.

돌진 + 광역 피해가 더해져 단일 대상에게 강력한 피해를 입힐 수 있어, 고위 등급 브루트, 헌터, 플러드 탱크 형태를 상대하는데 좋으며, 광역 피해 덕분에 무리지어서 몰려오는 그런트, 자칼, 플러드 전투변이들을 한꺼번에 처리할 수도 있다.

물론, 근접 무기인 만큼 총을 쏘는 상대에게 어떻게든 가까이 접근하지 못한다면 무용지물이 된다. 그러나, 이 중력 해머를 사용하는 족장을 처치하면 중력 해머와 함께 '오버 실드'라는 장비를 떨구는데, 이 오버 실드를 사용하면 일시적으로 무적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중력 해머를 쓰는 족장을 무적 상태가 되기 전에 처리했다면, 오버 실드를 발동해 무적 상태로 망치를 휘두르는 적 입장에서 공포스러운 경험을 안겨줄 수 있다는 것이다.

그 외 특이사항으로 중력 해머는 들고 있는 것 만으로 적들을 겁에 질리게 만들 수 있으며, 브루트들은 망치든 플레이어를 보자마자 바로 아이템을 사용하고 엄폐에 신경 쓰는 등 방어적인 자세를 취하며, 그런트들은 중력 해머를 든 플레이어를 가까이서 마주하면 혼비백산 달아나게 된다.

모든 대상을 상대로 강력한 무기이지만, 사용자가 얼마 나오지 않는 브루트 족장이나 (전체 캠페인 중)플러드 전투변이 하나에서 둘 정도가 들고 나올 정도로 사용 기회가 적다는 것이 흠.

4.8. 몰러

공격 타입 bullet_slow
anti_flood
피해량 1.5 ~ 7 x 15(최대 105)
동시 사격: 4.9 x 15(최대 73.5)
발사 간격 0.75
장탄 수 5
예비 탄약 20
분산도 7.5
최대 사정거리 8 wu
특수 기능 Dual wielding
피해 변동 브루트 맨몸 x0.5
헌터 살점, 플러드 x2
자칼 방패, 헌터 갑옷, 플러드 탱크 형태 x0

브루트가 사용하는 산탄권총. 코버넌트가 사용하는 무기 중 가장 마지막에 등장하는 무기로, 캠페인 6번째 임무 '아크'에서 처음으로 몰러를 든 브루트들이 출현한다.

Dual wielding이 가능한 샷건으로, 기본 피해량은 샷건보다 낮고, 양손에 든 체 동시 사격 시 피해량이 30% 더 감소된다. 산탄을 쏘는 무기인만큼 유효 사정거리가 짧아 근접전에서 주로 운영하게 된다. 근접 공격은 칼날이 달린만큼 스파이커처럼 2만큼 더 높은 근접 공격을 가할 수 있다.

활용이 애매한 무기로, Dual wielding이 가능하지만 같은 몰러 외에 다른 무기와 조합할 때 시너지가 안 나온다. 2개를 동시에 쏠 때 공격력은 괜찮지만, 역시나 더 느려지는 장전 속도가 거슬린다. 샷건보다 유효 사정거리가 2정도 더 길긴 하지만, 여전히 길다고는 할 수 없는 사정거리라서 범용성이 낮기도 하다. 거기다 임무 중후반부가 되서야 겨우 등장하는 무기이기 때문에 쓸 기회도 그리 많지 않은데, 성능도 그리 좋지는 않아서 있으나마나한 무기. 없는 무기로 취급해도 될 만큼 존재감이 약한 무기다.

4.9. 에너지 검

공격 타입 cutting
피해량 150
돌진 사정거리 6 wu
배터리 소모량 2.5 ~ 10
피해 변동 그런트, 자칼, 드론, 플러드 탱크형태 x2
플러드 x4
헌터, 레이스 x0

엘리트가 사용하는 에너지 형태의 날이 달린 칼. 중력 해머와 함께 3편 내 유이한 근접 무기이다. 아비터가 주로 사용하며, 광폭화 상태가 될 때 칼을 꺼내서 적들을 상대한다. 그 외에 플러드를 상대하는 구간에서 종종 등장하며, 협동 플레이에서 등장하는 엘리트 플레이어가 캠페인 최후반부 임무 '코타나', '헤일로'에서 시작 무기로 들고 나오기도 한다.

2편의 에너지 소드와 비교했을 때 몇 가지 변경된 사항을 보면, 무기 자체의 휘두르는 속도가 2편에 비해 크게 느려져서 여러 대상을 한꺼번에 썰기가 좀 힘들어졌다. 대신 피해량으 크게 늘어났는데, 일반 공격이 70 ~ 90 정도고 돌진 공격으로 150 피해를 주던 2편의 것에 비해, 3편에서는 돌진 일반 공격 안 가리고 통짜 피해량이 150으로 통합되어 더 강해졌다.

플러드 상대로는 그야말로 오버킬 수준의 공격력을 뽑내며, 플러드 상대로 4배나 되는 추가 피해를 줄 수 있어 체력 높은 순수변이, 그 중 탱크 형태 마저도 1방에 죽일 수 있다. 거기에 전투변이의 몸뚱이를 산산조각내서 되살아날 수 없게 만드는 기능은 여전하고, 배터리 소모도 플러드 상대로는 2에서 3정도 밖에 소모되지 않아 유용하다. 단, 방어막을 두른 엘리트 전투변이는 방어막 때문에 한 방이 안 나니 주의.

보통 에너지 검은 플러드 상대하는 임무에서 나오는게 보통이지만, 아비터가 들고 다니는 것을 주워 미리 사용해 볼 수도 있다. 아비터가 쓰러질 경우 에너지 검을 떨구는데, 배터리가 고작 4% 밖에 없어 적을 직접 처치하는 데 쓰기는 곤란하다. 대신, 적을 죽이지만 않으면 배터리는 소모되지 않으니, 방어막 때문에 한 방에 안 죽는 브루트를 상대로 에너지 검을 휘둘러 방어막을 1방에 부숴버리고 전술 무기 헤드샷으로 마무리하는 콤보를 활용하기 위해 들고다닐 수 있다.

중력 해머와 마찬가지로 적을 겁에 질리게 할 수 있으며, 칼들고 그런트에게 다가가면 그런트들이 혼비백산 달아나는 꼴을 볼 수 있다. 심지어 배터리가 모두 소진되어 칼자루만 남은 상태에서도 유효하다.

강력한 무기임은 틀림없으나, 플러드 상대할 때 외에는 거의 나오지 않고, 아비터로부터 뺏어 써보려 해도 제대로 써먹기에는 한계가 있어 쓸 기회가 적다. 대 플러드가 존재의의이지만 사실 2편과 달리 플러드 전투변이의 체력이 약해 에너지 검이 그렇게 절실하지는 않다.

특히 브루트 샷은 근접 공격의 기본 피해량이 높고 체력 높은 순수변이를 근접 공격 1번에 처치 가능할 정도로 피해 배율이 높은데다, 에너지 검처럼 근접 공격에 배터리 소모도 없으며, 유탄 발사라는 다른 활용법까지 존재하는데, 더 자주 나와서 구하기가 쉽다는 이점이 있어 굳이 에너지 검이 필요할 지 의문이 들 정도. 그나마 에너지 검은 돌진 기능의 사정거리가 일반 근접 공격보다 더 길어 근접전에서 적을 공격하기가 더 쉽다는 이점은 있다. 어쨋든 성능이 나쁜 무기는 아니므로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활용도 차이가 생기게 된다.

4.10. 플라즈마 라이플

공격 타입 plasma_slow
피해량 6 ~ 10
4.8 ~ 8(동시 사격)
발사 속도 6 ~ 7.5 rps
발당 배터리 소모량 0.25[7]
과열 도달 시간[8]/탄 수 3.4 초 / 26발
과열 회복 시간 ~ 2.7 초
탄속 21 wu/s
분산도 0.5 ~ 1.25
0.75 ~ 1.5(동시 사격)
특수 기능 Dual wielding
피해 변동 방어막 x1.5
센티널 x1.4
헌터 살점 x2
브루트 맨몸 x0.5
스파르탄, 엘리트 맨몸 x0.35
헌터 갑옷, 플러드 탱크 형태 x0

플라즈마 탄을 쏘는 돌격 소총. 캠페인 2번째 임무 '까마귀 둥지'에서부터 몇몇 브루트와 아비터가 사용하며, 캠페인 협동 모드의 엘리트 플레이어는 시작 무기로 카빈과 함께 들고 나오기도 한다. 전작에서 브루트는 빨간색 플라즈마 라이플을 사용했지만, 이 작품에서는 그냥 원본인 파란색 플라즈마 라이플을 사용한다.

전작의 플라즈마 라이플에 비해 크게 달라진 점은 없고, 한 개 들고 쏠 때의 분산도가 좀 늘어나고 두개 들고 쏠 때는 분산도가 줄어들었다. 그리고 2개 동시 사격 시 피해량 감소 수치가 25%에서 20%로 줄어들어 양손에 들고 쏠 때의 위력이 더 좋아졌다.

성능이 준수한 무기로, 기본적으로 방어막에 추가 피해를 줘 브루트 방어막을 잘 벗기며, 플라즈마 피스톨과 다르게 화력도 괜찮아서 그런트, 자칼, 플러드 등 방어막 없는 적들도 잘 잡는다.

2개식 들고 쏠 때의 효율이 가장 좋은 무기로, 두 개식 쏴도 분산도가 크게 늘어나지 않아 명중률이 좋으며, 특히 플러드 상대 시 플러드의 약점 부위를 쉽게 맞출 수 있고, 방어막 두른 엘리트 전투변이를 가장 쉽게 상대할 수 있어, 양손 플라즈마 라이플은 강력한 대 플러드 무기로 활약한다. 물론 하나만 들고 쏴도 좋은 무기이며, 브루트 방어막 벗기고 근접 공격이나 수류탄으로 마무리하는 콤보를 활용할 수 있다.

다른 연사형 무기보다 상대적으로 나오는 양이 적다는 점이 문제가 되지만, 배터리 100% 기준으로 400발 까지 쏠 수 있는 무기인 덕분에 한 번 들고 다니면 꽤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어 그리 문제될 것은 없다.

플라즈마 라이플을 들고 다니는 아군, 특히 캠페인 2번째 임무에서 플라즈마 라이플을 2개식 들고 다니는 아비터는 그야말로 방어막 처리 전문가로, 플레이어가 헤드샷 킬 가능한 무기를 들고 다닐 때 큰 도움이 되어준다.

약점은 탄속으로, 실탄 무기들에 비하면 확연히 느린 탄속을 지녓기 때문에 카빈이나 빔 라이플을 든 적과 같이 멀리서 공격해오는 적들을 상대로 불리하다. 반대로 멀리 있는 적을 억지로 플라즈마 라이플 써서 잡는게 아니라면 어느 상황에서나 들어도 좋은, 특히 플러드 상대로 훌륭한 성능을 지닌 전천후 무기로 활약해준다.

4.11. 퓨얼 로드 건

공격 타입 explosion_large
피해량 160
폭파 범위 0.5 ~ 1.5
발사 간격 0.4 초
장탄 수 5
예비 탄약 25
탄속 15 ~ 6.5 wu/s
피해 변동 방어막 x0.5
헌터, 차량 x1
플러드 탱크 형태 x0.25

녹색으로 빛나는 포를 발사하는 연료봉 포. 코버넌트의 중화기로, 브루트 족장이나 대장이 주로 사용하며, 녹색 전투복의 중화기병 그런트도 가끔식 사용한다.

2편에 있었던 표기 오류가 없어져 이제 무기 본연의 공격 타입을 제대로 갖추게 되었다. 그리고 직격 피해와 범위 피해로 세분화 되어있던 전작과 달리 이제는 직격 여부 상관없이 폭발 피해를 입힌다. 덕분에 전작보다 범위 공격력에 버프를 먹은 셈이 되어 몰려 있는 적들을 상대로 강력한 위력을 뽐낸다.

단점은 느린 탄속으로, 적과 거리를 좁히지 않으면 제대로 맞추기가 힘들다. 그런데, 퓨얼 로드 건은 폭발성 무기 임으로 가까이서 싸우되 본인이 폭발에 휘말리지 않도록 거리 조절을 잘 해야 한다. 아군에게 들려줄 때도 이 탄속 문제 때문에 탄이 빗나가 상대를 빠르게 못 잡아주니, 차량에 퓨얼 로드 건든 아군을 태울 때 역시 거리를 신경 써 주는 것이 좋다.

퓨얼 로드 건은 웬만한 캠페인 임무에서는 들고다니는 적을 볼 수 없거나, 금색 갑옷 입은 브루트 족장이 어쩌다 들고 다닐 정도로 자주 보기 힘들지만, 예외적으로 3번째 임무 '차보 고속도로', 6번째 임무 '아크'에서는 대장급 브루트나 초록색 그런트가 들고다니는 모습이 나와 구하기가 쉬워진다. 덕분에 해당 임무들에서 아군에게 퓨얼 로드 건을 들려준 후 워트호그 조수석에 태워 다니면서 전장을 초록빛으로 물들이는 것도 가능하다.

4.12. 센티널 빔

발사 속도 30 rps
피해량 4
발 당 발열 발생 0.04
최대 사정거리 120 wu

센티널에 부착되어있는 광선을 쏘는 무기. 캠페인 6번째 임무 '아크'에서 선조 구조물 내에 있는 걸 주워 써볼 수 있고, 마지막 임무 '헤일로'에서 센티널이 부서져서 떨구는 것을 주워 쓸 수 있다.

피해량이 4로 초당 피해량이 120에 달하며, 이는 2편 엘리미네이터가 사용하는 빔(피해량 3, DPS 90)보다도 더욱 높은 수치다. 거기다 사정거리는 30에서 120으로 4배다 너 늘어났다. 덕분에 시리즈 내 센티널 빔 중 최강의 화력을 자랑한다.

위력은 강하지만, 배터리가 빨리 소모되기 때문에 오래 못 쓴다. 거기다 나오는 곳도 두 임무 밖에 없어 쓸 기회도 적은 편.

5. 지원 무기

대부분의 지원 무기는 필드 상에 거치형 포탑으로 있으며, 해당 포탑이 분리 되었거나 따로 분리를 해서 직접 들고 다니면서 쏠 수 있다. 들고 다닐 때는 시점이 3인칭으로 전환되며, 이동 속도는 40% 감소한다. 또한 들고 있는 상태에서는 차량에 탑승하는 등 여타 상호작용을 못하니 내려놓아야 한다.

화력은 여타 총기류보다 더 강하지만, 아무래도 들고 있을 때 이동 속도가 감소된다는 점 때문에 적의 공격을 받기 쉬운 고난이도에서는 들고 다니기 부담스럽다는 점이 문제. 3인칭 시점으로 전환된다는 이점을 이용해 모퉁이를 미리 확인 하는 등 주변을 잘 살피는 것이 좋다.

한 가지 팁이 있다면 대각선 방향으로 이동하면 좀 더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콘솔로는 까다롭지만, PC에서는 전진(W) 버튼에 좌우(A, D) 버튼을 함께 눌러주면 되므로 더 쉽게 조작할 수 있다.

5.1. 플라즈마 포탑

공격 타입 plasma_vehicle
피해량 11.5
최대 탄약(이동) 200
발사 속도 6 ~ 10 rps
분산도 거치: 0.3 ~ 0.7도
이동: 1 ~ 2도
탄속 50 wu/s
피해 변동 센티널 x2
헌터 갑옷, 레이스, 플러드 x0.5

코버넌트에서 주로 사용하는 포탑. 특정 지점에 배치되어 있거나 팬텀 출입구 양쪽에 하나식 달려 있으며, 브루트 족장이 직접 들고 쏘기도 한다. 첫 캠페인 임무 '시에라 117'에서 처음 등장하는 팬텀의 포탑을 부숴서 떨군 후 직접 들고 사용해볼 수 있다.

코버넌트가 주적인 만큼 지원 무기 중에서 쓸 기회가 가장 많은 무기. 거기다 브루트 상대로 피해가 감소되고, 중장갑 적에게 아예 피해를 못 주는 무기들과 다르게 이들을 상대하는데 문제가 없다. 물론 자체적인 피해량도 높아서 적들을 가리지 않고 잘 잡는다.

그러나 이동 속도 감소 등 지원 무기의 자체적인 단점과, 플라즈마탄의 탄속이 느리고, 들고 있을 때 집탄률이 그리 좋지 않아서 잘 다루기는 힘든 무기. 때문에 다른 무기로 충분히 잡을 만한 적들을 굳이 이걸 들고 쏘지말고, 상황을 보고 판단하는 것이 좋다.

5.2. 머신 건 포탑

공격 타입 bullet_fast
피해량 16
최대 탄약(이동) 200
발사 속도 거치: 3.75 ~ 10 rps
이동: 5 ~ 10 rps
분산도 거치: 0.3 ~ 0.7도
이동: 1 ~ 2도
탄속 100 wu/s
피해 변동 헌터 살점, 플러드 약점부위 x2
플러드 x0.25
자칼 방패, 헌터 갑옷, 플러드 탱크 형태 x0

몇몇 UNSC 거점에 설치되어 있는 거치 기관총.

같은 연사형 지원 무기인 플라즈마 포탑과 비교했을 때 화력에서 우위를 점할 수 있는데, 탄속이 더 빠른데다 피해량도 더 높다. 그러나 플라즈마 포탑보다 배치된 수가 훨신 모자라서 사용해볼 기회가 적다.

특이하게도 플라즈마 포탑의 공격타입이 plasma_vehicle 인 것에 반해 머신 건 포탑은 bullet_vehicle 이 아닌 bullet_fast 타입을 쓴다는 것. 차량 상대로 피해량 더 낮아지는 것 외에 보통 상황에서는 그리 신경 쓸 것은 없지만, 헌터를 상대할 때는 문제가 된다. 플라즈마 포탑의 공격 타입은 헌터 갑옷을 무시하고 피해를 줄 수 있으나, 머신 건 포탑은 그러지 못하기 때문에 무조건 약점 부위를 노려야 한다.

5.3. 미사일 포드

공격 타입 explosion_large
피해량 255
최대 탄약(이동) 8
탄속 15 ~ 10(10 wu 이후) wu/s
특수 기능 유도 미사일
피해 변동 방어막 x0.5
헌터, 차량 x1
플러드 탱크 형태 x0.25

차량에 유도되는 미사일을 발사하는 미사일 발사기.

차량을 향해 조준선을 맞추면 조준선이 빨갛게 변하고 조준된 대상에 빨간색 마름모 형태로 과녁이 설정되어, 이 상태에서 무기 발사 시 조준된 차량을 향해 미사일이 자동으로 추적하여 착탄된다. 다른 무기처럼 거치된 상태에서 무한하게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어 레이스든 스캐럽 다리든 부서지고 주저앉을 때 까지 발사할 수 있다. 그러나 떼어낸 상태일 때는 고작 8발 밖에 못 쏘기 때문에 신중하게 쏴야한다.

캠페인 4번째 임무 '폭풍'에서만 등장하는 무기이기 때문에 모든 무기 중에서 가장 등장이 적은 무기다. '폭풍' 임무 도중 초반에 대공 레이스 파괴하는 목표에서 팬텀에서 적들이 내린 건물 위에 떼어진 상태로 하나 놓여 있으며, 8발 밖에 없으니 상대해야 할 대상을 잘 고르는 것이 좋다. 그 다음 중반부 커다란 평지에서 코버넌트 차량과 스캐럽을 상대해야 하는 구간에서 2대가 설치되어 있다. 이후 하나 떼서 들고가서 헌터 상대하는 용도로 사용해 볼 수 있다.

문제가 있다면 차량은 자동 추적이 되지만 보병들은 추적이 되지 않기 때문에, 직격을 노려줘야 한다. 어차피 그런트 브루트 물량을 이거로 잡는 건 탄 낭비이니 헌터 잡을 때나 쓰는 것이 낫다.

그리고 거치된 상태에서는 총구가 윗방향을 향하고 있기 때문에 가까에 있는 차량을 쏠 수가 없어 고스트가 가까이 다가오면 대응하지 못하고 죽을 수 있다. 그리고 미사일이 고스트 움직임을 따라 잡을 수 있을 정도로 빠르지는 않기 때문에 바로 파괴하기가 힘들다.

5.4. 화염 방사기

공격 타입 burning
anti_flood
피해량 7
최대 탄약(이동) 100
발사 속도 15 rps
탄속 12 ~ 2 wu/s
최대 사정거리 4.5 wu
피해 변동 플러드 x4

1편의 멀티플레이어에서 쓸 수 있었던 화염 방사기와 동일한 외형의 화염 방사기. 1인칭 시점으로 쓰던 1편과 달리 3편에서는 3인칭 시점으로 발사하는 지원 무기가 됐다. 캠페인 5번째 임무 '플러드게이트'에서 첫 등장하며, 이후 플러드가 주로 등장하는 8번째 임무 '코타나', 마지막 임무 '헤일로'에서도 등장한다.

지원 무기 중 유일하게 근거리 전투를 위한 무기로, 화염을 발사하고 바닥에 닿은 화염은 그대로 불장판이 되어 위를 걸어다니는 적에게 피해를 준다. 플러드 상대로는 4배의 추가 피해를 줄 수 있어 플러드를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3편 내에서 가장 안 좋은 무기로, 지원 무기 자체의 단점인 이동 감소가 있는데다 근거리 무기인만큼 멀리 있는 적에게 대응 안된다는 기본적인 약점이 있다. 중력 해머나 에너지 검, 샷건, 플라즈마 라이플까지 플러드 임무에서 주로 나오는 무기들과 비교하면 같은 근거리 계열 무기이면서 이속 감소 없이 쓸 수 있는 무기들에 비하면 약점은 명확하다. 거기다 가까이서 쏜 불이 바닥에 장판을 만든다면 플레이어 본인도 불꽃으로 인해 피해를 볼 수 있어 다루기도 까다로운 무기. 쓴다면 전진하면서 발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다.

배치 자체도 플러드 임무에서만 등장해서 플러드 상대로만 쓸 수 밖에 없는데, 문제는 전투변이 상대할 때 바로 안 죽은 전투변이들은 플레이어를 향해 불 붙은 체로 돌진을 해오면 플레이어가 전투변이 몸에 붙은 불에 피해를 입을 수 있어 위험하다. 이렇게 까지 위험한 무기를 굳이 쓸 바에 다른 무기를 쓰는 것이 훨신 낫다.

그나마 장점이 있다면 순수변이 상대를 순식간에 처리할 수 있다는 점인데, 이는 에너지 검으로도 충분히 할 수 있는 일이다. 에너지 검으로 몸을 가격하거나, 브루트 샷 근접 공격으로 입(촉수 부분)을 가격하면 한 방에 죽는데다, 해당 무기들은 이속 감소도 없고 수류탄 활용도 가능하니 화염 방사기를 드는 것보다 좋다. 당연하지만 멀리서 공격하는 레인지 형태를 상대로는 무용지물. 위협을 감수하고 적을 태워버리는 것에 희열을 느낀다면 들겠지만, 그게 아니라면 들 이유가 없는 쓰레기다.

6. 수류탄

3편에서는 수류탄을 2개식 밖에 소지할 수 없게되어 수류탄의 비중이 낮아졌다. 대신 수류탄의 가짓수는 늘었지만, 초반에는 플라즈마 수류탄과 파편 수류탄 외에는 잘 등장하지 않고, 후반부에는 파편 수류탄이 잘 나오지 않기 때문에, 전작처럼 한 번에 수류탄을 8개식 유지하고 다닐 수 없게 된거나 다름없다.

플라즈마 수류탄, 스파이커 수류탄, 소이 수류탄과 같이 적에게 붙어서 터질 수 있는 수류탄은 플러드 배양변이가 감염변이를 뱉어내지 못하고 죽게 만들 수 있다.

6.1. 파편 수류탄

시리즈 내내 등장하는 UNSC제 파편 수류탄. 빠르게 폭발하고 범위가 넓어 다수의 적을 상대로 강하다. 브루트의 방어막을 1번에 벗길 수 있을 정도로 기본 피해량도 높은 편. 초반 UNSC 진영에서 싸우는 캠페인에서 자주 등장한다.

6.2. 플라즈마 수류탄

시리즈 내내 등장하는 코버넌트의 점착 수류탄. 그런트가 주로 사용하고 떨구는 수류탄으로, 그만큼 자주 사용해볼 수 있어 수류탄 소짓 수가 줄어든 것이 그리 문제되지 않는다. 적에게 부착시킬 수 있고 부착당한 적은 웬만하면 1방에 죽는 점은 여전하다.

6.3. 스파이크 수류탄

브루트가 사용하는 수류탄. 플라즈마 수류탄과 마찬가지로 지형이나 상대 몸에 착탄이 가능하다. 바닥에 붙은 스파이커 수류탄은 터지면서 윗방향으로 대못들이 튀어나오며, 낮은 천장으로 가로막힌 지형이 아니라면 적에게 유의미한 피해를 줄 수 없다시피 하다. 때문에 플라즈마 수류탄처럼 적에게 부착시키는 것이 최선의 사용법. 그 외에 거품 방어막 내부에서 터트리면 파편이 방어막 내부에서 마구 튀는 덕에 방어막 내부의 적을 잡는데 괜찮은 편.

6.4. 소이 수류탄

브루트 스토커가 사용하는 수류탄. 착탄 시 바로 폭발하면서 불꽃 장판이 생기며, 적에게 불을 붙일 수 있다. 수류탄 중 가장 등장 비중이 낮아 자주 쓰기 힘들다. 플라즈마 수류탄과 마찬가지로 적에게 직격으로 맞추는 식으로 다뤄, 적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1] 고스트, 밴시, 초퍼 등. 레이스와 스콜피온 제외한 대부분 차량.[2] 헤일로 2부터 연사 무기는 발사버튼 1번 당 2발의 탄을 동시에 발사한다.[3] 배터리 100% 기준 5발[4] 배터리 100% 기준 10발. 다만, 충전 유지 시 배터리가 추가로 더 소모되기 때문에 더 많이 소모될 수 있다.[5] 배터리 100% 기준 20발[6] 100% 기준 20번[7] 배터리 100% 기준 400발[8] 완전 자동 발사를 유지할 때 과열에 걸리는 시간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