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5b3ced> 공격기 | 알리네스 | 인페르노 | 팔콘 | 스카이레이더 | 스테고 | |
저격기 | 아퀼라 | 나루카미 | |
방어기 | 허리케인 | 트리케라 | |
지원기 | 루미네 | 피나카 | |
격투기 | 팬서 | 웰킨 |
허리케인 Hurricane | |
<colbgcolor=#2c0069,#010101><colcolor=#ffffff,#dddddd> 역할군 | 초대형 방어기 |
전투 유형 | 적군 진압 | 진영 디펜스 |
실탄 디펜스 | B Rank |
EN 디펜스 | A Rank |
폭발 디펜스 | C Rank |
물리 디펜스 | B Rank |
주 무장 | EN 블래스터 및 디코이 드론 |
부가 무장 | 디펜스 포스 필드 드론 | 터렛 드론 | 포커스 이미터 |
1. 개요
3인칭 메카 슈팅 게임 Mecha BREAK의 등장 기체.2. 기본 정보
유형은 초대형 방어기. 알리네스에서 크기와 체급을 올리고 근접 능력을 제거한 듯한 느낌을 준다. 우클릭을 하면 방패를 통해 적의 공격을 막고 락온을 교란할 수 있는 드론을 날려 적의 공격을 흘려버릴 수 있다. 적의 근접 공격에 맞추어 방패를 치켜들면 적의 공격을 튕겨내며 경직 상태로 만드는 패링도 가능하다.2.1. 상급 도전
수호 Defend | |
<colbgcolor=#2c0069,#010101><colcolor=#ffffff,#dddddd> 획득 조건 | 허리케인으로 상급 도전 완수 |
첫 번째 임무 | 제한 시간 내에 모든 적기 격추하기 |
두 번째 임무 | 제한 시간동안 아군 메카 보호하기 |
세 번째 임무 | 제한 시간 내에 모든 적기 격추하기 |
네 번째 임무 | 아군 메카를 보호하고 모든 거점 점령하기 |
마지막 임무 | 제한 시간 내에 모든 적기 격추하기 |
2월 OBT로 전용 칭호 수호가 신설되었다. 허리케인 자체는 락온 교란과 전방 싸움에는 능숙하지만 그만큼 적의 맹공도 거세니 조심하자. 영문명은 방어를 뜻하는 디펜드지만 한국어 번역이 수호라는 이름으로 조금 더 위엄 있어 보이도록 번역되었다.
3번 및 4번 스테이지가 어려운 것으로 꼽힌다. 3스테이지는 웰킨과 팬서를 동시에 상대[1]하는 미션인데, 거의 신기에 가까운 방패 드론의 패리 운영을 요구하므로 난이도가 높다. 4스테이지의 경우 거점은 3개이며, 트리케라와 팔콘, 아퀼라를 비롯한 각종 포탑들이 거점을 방어하고 있고 루미네가 점령을 시도한다. 이 때 루미네를 보호하며 움직여야 하는데 다수의 적에게 노출되면 루미네가 쉽게 당하므로 적절한 어그로 분산을 통해 에스코트 해 주어야 한다.
3. 성능
기본적으로 탱킹에 특화된 기체이지만 포커스 이미터를 전개하면 인페르노처럼 빔 공격을 할 수도 있는데 이 포커스 이미터의 순간 화력 또한 무시할 수 없는 강력한 기체로 꼽힌다. 순수한 방어 능력만 따질 경우 아예 락온을 뒤섞어 공격 자체를 흘려버리는 거나 다름 없기 때문에 어떤 의미로는 체급이 매우 높다. 주력 딜링기인 포커스 이미터를 이용한 빔 공격은 딜이 매우 강하긴 하지만 하나 뿐인 소중한 공격기이기 때문에 관리를 잘 해 주어야 한다. 쿨타임은 과열 방식이기 때문에, 이미 발사했는데 적이 딜을 다 버티지 못하고 쓰러지는 등의 이유로 남은 딜이 낭비되고 있다면 재입력해서 캔슬을 해 주는 것으로 쿨타임을 절약할 수 있다.다만 자체적인 내구도는 방어형 기체 치고 그렇게 높은 편이 아니고, 딜량 또한 포커스 이미터의 지분이 커서 단독으로는 큰 효과를 내기 어렵다. 허리케인의 장점들은 대부분은 아군과 합을 맞추어 진입과 방어를 할 때 극대화되고, 단점의 경우 아군과 같이 있을 때 최소화되기 때문에 팀을 백업하는 딜탱형 브루저로 활용해야만 기체의 밸류가 높아진다. 즉 단독 탱킹이라기엔 물렁하고 단독 딜링이라기엔 아쉽지만, 팀 탱킹 부분이 강력하고 팀 딜링이 위협적인 셈.
3.1. 장점
- 높은 수비력
적의 공격을 아예 분산시키는 디코이 드론의 존재 덕분에 락온이 잘 찍히지 않아 적들은 기본적으로 허리케인 앞에서 화력을 크게 낭비해야 한다. 락온을 강제로 할려고 하면 Unknown이라는 툴팁이 찍히며 재밍이 걸린 듯 일그러져 락온이 찍히지 않게 되기 때문. 그러면서도 포커스 이미터의 공격 능력은 이게 정말 방어기인가 싶을 만큼 강력하다 보니, 수비에 있어선 매우 강력한 면모를 보인다.
- 락온거리 밖의 적 견제
아군 저격수나 기동타격대의 도움 없이 단독으로 먼 거리의 적 특히 저격수를 견제할 수 있다. 물론 무빙샷이 되는 아퀼라는 예측샷이 좀 필요해 난이도가 조금 있는 편. 나루카미의 경우엔 은신이라 기본적으로 발각 자체는 까다롭지만 일단 찾아만 내면 본체 타격에 더해 보통 주변에 분신을 깔아두고 저격하니 분신까지 싸그리 날려버릴 수도 있다. 전열 싸움 중에는 저격수가 아군 1선을 얼마나 효과적으로 공격하는지도 중요하기 때문에 별도의 도움 없이 저격수를 조금이라도 방해한다는 건 이점이 된다.
3.2. 단점
- 부족한 공세 능력과 낮은 스탯
다만 기본적으로 락온을 흘려서 공격 자체를 무효화하는 기체이기 때문인지 기본 스탯이 현저히 낮게 책정되어 있다. 체력과 유체 아머 모두 초대형 방어라기엔 5만도 안 되는 수치이기에 내구도가 약하고[2], 방어에 탁월한 만큼 공세 능력은 스테고나 트리케라 등 같은 뚜벅이 계열의 초대형들에 비해 좋다고 하기도 힘든 편이다. 트리케라같은 경우 우직한 전선 탱커로 힘싸움에서도 충분히 강력한 대치 능력을 보이지만 허리케인은 단독 탱킹이든 단독 딜링이든 무리가 있기 때문.
- 후방이 약함
허리케인은 특정 방향에 화력과 방어력을 집중할 수 있을 때 강력한 만큼, 적이 사방에서 덮치거나 뒤통수에 상당히 무력해진다. 심지어 사방은 커녕 단 한 명만 뒤에서 찔러도 약점을 상당히 아프게 맞는 편이다. 아군이 백업 할 수 있다면 별 문제는 아니나, 아군 간 연계가 끊어질 수 밖에 없는 맵 또는 상황에서는 반드시 이 약점이 드러난다. 그래서 허리케인이 속한 팀은 강력한 광역 화력을 댓가로 전열의 행동 반경이 상당히 좁아지며 전략적으로 둔해지는 약점이 있다.
- 약소한 근접 대응
같은 트리케라와 비교해 봤을 때는 물론이고 근접기들끼리 비교해도 근접 대응력이 특히 약하다. 일단 초대형이라 부스터 효율이 낮아 대쉬로 도주하기 힘들고, 방패는 디코이 드론 스톡이 존재해야 발동할 수 있는데 이 디코이 드론을 아군 케어용으로 사용하면 근접에 대응할 수 있는 유사 대응책이 포커스 이미터를 제외하면 사실상 존재하지 않기 때문. 특히 웰킨은 불구대천의 원수로, 웰킨의 눈뽕은 드론을 무력화시키는 효과가 있는데, 포커스 이미터를 비롯한 허리케인의 모든 스킬은 드론 판정이라 침묵에 걸리는 것과 다름이 없다. 한 술 더 떠 재밍에는 기체 불안정이, 재밍과 방패 모두 EN방어 미스트 효과를 동반하기에 허리케인의 공격도 싸그리 무력화 될 뿐 아니라 사용할 수 있는 디코이 드론이 존재하더라도 방패를 들어 패리할 수도 없고[3], 웰킨의 휠 윈드 공격은 패리 불가 기술이기에 대응 자체가 불가능하다. 위의 두 단점과 맞물릴 경우 굉장한 취약점.
4. 여담
포커스 이미터를 이용한 난반사 빔 공격이 시각적으로 인페르노의 공격과 비슷[4]하고, 인페르노도 허리케인처럼 락온을 교란하는 기술이 있어서 뒤엉켜 정신없이 싸우다 보면 상대방 입장에서는 이게 허리케인인지 인페르노인지 파악하지 못 하는 경우가 많다.[1] 웰킨보다 팬서가 1분정도 늦게 등장한다.[2] 같은 공격형인 인페르노와 체력은 동일하고, 유체 아머는 인페르노보다도 낮다. 심지어 유체 아머의 경우 초대형도 아닌 웰킨보다 큰 차이가 없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로 살짝 높은 수치인데 회복 속도가 낮아 유연성은 훨씬 떨어진다.[3] 다른 근접기들에게 물려도 방패로는 어차피 1~2번 밖에 패리할 수 없다고 지적할 수 있으나, 한 번이라도 패리하는 것과 아예 패리할 수 없는 건 하늘과 땅 차이다.[4] 인페르노도 유사한 매커니즘으로 발사되는 스플릿 이미터 난반사 빔 공격이 있다. 하지만 인페르노는 공격기이기 때문인지, 락온 할 수 있는 대상이 허리케인보다 더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