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28 23:40:40

해부학적 자세


1. 개요2. 정의3. 주의할 점4. 유래5. 해부학적 위치
5.1. 예

1. 개요

해부학적 자세(anatomical position, 解剖學的姿勢)는 해부학에서 인체의 구조물들과 위치를 다룰 때 기준이 되는 자세이다. 이는 국제적으로 통일되어 있는 정의이다.

2. 정의

해부학적 자세는 다음과 같다.
똑바로 서서 얼굴과 눈을 앞으로 향한 후, 팔을 몸통 양옆으로 내려서 손바닥을 앞으로 향하게 한다. 그 후 두 발을 모아 발끝이 앞쪽을 향하도록 한다.

3. 주의할 점

우리가 일상적으로 취하는 자세가 아니다 보니 해부학을 처음 배우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이 자세 기준으로 정해진 위치 관계들이 혼란스러울 수 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건 바로 '손바닥을 앞으로 향하게 한다'는 것일 것이다. 손바닥을 앞으로 향했을 때, 아래팔에서는 노뼈(radius)가 가쪽, 자뼈(ulna)가 안쪽에 오게 된다. 이런 아래팔 부위의 가쪽/안쪽 개념에 주의해야 한다.

4. 유래

파일:비트루비우스적인간.webp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비트루비우스적 인간(Vitruvian man)'
보기만 해도 알 법한 이 그림이 해부학적 자세의 유래라는 얘기가 있지만, 현대의 해부학적 자세는 팔을 아래로 내린 자세이므로 차이가 있다. 해부학적 자세에서 가장 중요한 파트인 "손바닥을 앞으로 하는 자세"는, 그렇게 할 때 노뼈자뼈가 교차되지 않기 때문이다. 해부학적 자세에서는 인체의 모든 주요한 뼈가 교차되지 않은 상태가 된다. 현대 해부학적 용어는 국제해부학회 용어소위원회(Federative Committee on Anatomical: Terminology)에서 정해졌다.

5. 해부학적 위치

파일:anatomical position.svg
해부학적 자세에서의 해부학적 위치
해부학적 위치는 신체부위에 따른 해부학 용어(Anatomical terms of location)이나 근육골격에 대한 해부학 용어와 운동에 대한 해부학 용어(Anatomical terms of motion)에서 뿐만 아니라 신체내부의 장기 더 나아가 동물들의 해부학적 표현에서 사용되어진다.

5.1.

가쪽가슴근신경(lateral pectoral nerve, 외측흉근신경), 시상배측핵(dorsal nucleus of thalamus, 시상등쪽핵) 등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