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0 16:51:19

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
하스스톤 전장
우두머리 덱 종류 빌드(마나커브)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6단계 7단계 선술집
주문
특별 시스템
다크문 축제 경품 전우 변형물
퀘스트 장신구
퀘스트 목록 보상 목록 하급 장신구 상급 장신구
태그 전장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 6단계 7단계 선술집
주문


1. 개요2. 카드 목록
2.1. 가시멧돼지
2.1.1. 가시멧돼지 하수인
2.1.1.1. 겁 없는 미식가2.1.1.2. 머리 강타꾼2.1.1.3. 대지마술사 루구그
2.2. 기계
2.2.1. 기계 하수인
2.2.1.1. 기름 로봇2.2.1.2. 다용도 드론2.2.1.3. 폐허 재건축가2.2.1.4. 화음로봇
2.2.2. 기계/언데드 하수인
2.2.2.1. 로봇 의수
2.3. 나가
2.3.1. 나가 하수인
2.3.1.1. 딥 블루 저음 가수2.3.1.2. 비수가시 난동꾼2.3.1.3. 서리비늘 사제2.3.1.4. 지친 마법사
2.3.2. 태그 전장 전용
2.3.2.1. 개인 요리사
2.4. 멀록
2.4.1. 멀록 하수인
2.4.1.1. 도미 계산원2.4.1.2. 왕 므라옳옳2.4.1.3. 표류물 투척꾼2.4.1.4. 풍덩 낚시꾼 머키
2.5. 악마
2.5.1. 악마 하수인
2.5.1.1. 늦은 여행자2.5.1.2. 어둠춤꾼2.5.1.3. 헌신적인 지옥소환사
2.5.2. 악마/정령 하수인
2.5.2.1. 지옥화염 지도자
2.6. 야수
2.6.1. 야수 하수인
2.6.1.1. 라일라크 메탈헤드2.6.1.2. 엄마 곰2.6.1.3. 용맹한 호랑이2.6.1.4. 짓밟는 스테고돈
2.6.2. 태그 전장 전용
2.6.2.1. 의뭉스러운 뱀
2.7. 언데드
2.7.1. 언데드 하수인
2.7.1.1. 모닥불 그림자2.7.1.2. 친근한 외눈깨비
2.7.2. 언데드/기계 하수인
2.7.2.1. 로봇 의수
2.7.3. 태그 전장 전용
2.7.3.1. 무덤 이야기꾼2.7.3.2. 산레인 서기
2.8. 용족
2.8.1. 용족 하수인
2.8.1.1. 귀중한 고취비룡2.8.1.2. 녹지 관리인2.8.1.3. 영속적인 시인
2.9. 정령
2.9.1. 정령 하수인
2.9.1.1. 덩굴 등반가2.9.1.2. 선술집 폭풍우2.9.1.3. 수호자 이코론2.9.1.4. 원기회복의 변형물
2.9.2. 정령/악마 하수인
2.9.2.1. 지옥화염 지도자
2.9.3. 태그 전장 전용
2.9.3.1. 혈기 왕성한 민물정령
2.10. 해적
2.10.1. 해적 하수인
2.10.1.1. 거물 도둑2.10.1.2. 사랑앓이 발라드 가수2.10.1.3. 칼날 수집가2.10.1.4. 허드렛일 강골
2.11. 모두
2.11.1. 태그 전장 전용
2.11.1.1. 거울 괴물
2.12. 중립
2.12.1. 1인/태그 전장 겸용
2.12.1.1. 땅굴 폭파범2.12.1.2. 산호초 탐험가2.12.1.3. 신도레이 직격 사수2.12.1.4. 전문 기술병 2.12.1.5. 친근한 문지기 2.12.1.6. 휴몽고스
2.12.2. 태그 전장 전용
2.12.2.1. 사마귀 왕

1. 개요

전장의 카드들 중 4단계 하수인들이다.

선술집에 배치된 4성 하수인 카드의 복사본은 총 11장이다.

2. 카드 목록

2.1. 가시멧돼지

가시멧돼지 하수인 일람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1.png
1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2.png
2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3.png
3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4.png
4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5.png
5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6.png
6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7.png
7단계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주문=, 토큰=, 황금없음=,
한글명=혈석, 일러명=혈석, 영문명=Blood Gem,
효과=하수인에게 +1/+1을 부여합니다.,
)]

2.1.1. 가시멧돼지 하수인

2.1.1.1. 겁 없는 미식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겁 없는 미식가, 일러명=겁 없는 미식가_bg33.4, 영문명=Fearless Foodie,
공격력=2, 생명력=4, 공격력2=4, 생명력2=8, 가시멧돼지=,
효과=<b>선택 - </b>이번 게임에서 내 <b>혈석</b>이 추가로 +1/+1을 부여합니다. 또는 <b>혈석</b>을 4개 얻습니다.,
효과2=<b>선택 - </b>이번 게임에서 내 <b>혈석</b>이 추가로 +2/+2를 부여합니다. 또는 <b>혈석</b>을 8개 얻습니다.,
)]
소환: 뭐든지 한 번에 먹어보겠어! (I'll try anything once!)

혈석을 버프하거나 대량의 혈석을 얻는 하수인으로, 선택이기 때문에 전함 시너지를 받을 수는 없다. 그래도 4단계에서 꽤 많은 혈석 버프나 혈석을 제공하므로 혈석을 내는 카드가 많은 가멧 빌드업 때 집는 족족 혈석 버프를 더해주기 좋다. 가시멧돼지 이외에도, 나가처럼 주문을 많이 쓰거나 패로 가져와야 하는 덱은 카드 1장으로 주문 4개를 수급해주므로 거쳐가기 괜찮다.
2.1.1.2. 머리 강타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머리 강타꾼, 일러명=머리 강타꾼_bg11, 영문명=Bonker,
공격력=3, 생명력=6, 공격력2=6, 생명력2=12, 가시멧돼지=,
효과=<b>질풍</b>\, <b>집결:</b> 내 다른 모든 하수인에게 <b>혈석</b>을 냅니다.,
효과2=<b>질풍</b>\, <b>집결:</b> 내 다른 모든 하수인에게 <b>혈석</b>을 2개 냅니다.,
)]

중반 안정화를 담당하는 하수인으로, 일시적이지만 모든 하수인들에게 혈석을 내므로 아기 가멧 삼형제를 확보하기 전까지는 전투 중 혈석을 이 카드가 담당한다. 혈석을 강화한 가시멧돼지 덱에서 가장 효율이 좋지만, 다른 덱에서도 중반 타이밍을 넘기기 위해 용병으로 쓰인다.

2.1.1.3. 대지마술사 루구그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대지마술사 루구그, 일러명=대지마술사 루구그_bg, 영문명=Geomagus Roogug,
공격력=4, 생명력=6, 공격력2=8, 생명력2=12, 가시멧돼지=,
효과=<b>천상의 보호막</b>\, 이 하수인에게 <b>혈석</b>을 낼 때마다 다른 아군 하수인에게 <b>혈석</b>을 냅니다.,
효과2=<b>천상의 보호막</b>\, 이 하수인에게 <b>혈석</b>을 낼 때마다 다른 아군 하수인에게 <b>혈석</b>을 둘 냅니다.,
)]
소환: 수정 님이 우리 승리를 점쳤다! (The crystals speak to me!)

가시멧돼지 덱의 핵심 전투 기물. 천상의 보호막을 가지고 있어 혈석을 몰빵해주면 우수한 교환비를 자랑하는데, 거기다가 혈석의 효과를 다른 기물에게 복사해줘서 필드를 고르게 성장시켜준다. 직접 수급해서 바르는 타입이건, 턴 종료시 뿌리는 타입 이건 어느 가시멧돼지덱 구성과도 시너지가 높다. 안정적으로 혈석을 수급할 기물만 같이 있으면 순방은 물론 1위도 어렵지 않게 노릴 수 있다.

거기다 선술집 주문 혈석 압수 덕분에 활용도가 낮거나 판매 예정인 기물에 복사된 혈석도 회수할 수 있어 낭비를 줄일 수 있다. 루구그에게 혈석 압수를 사용할 때마다 폭발적으로 강해지는 건 덤. 다만 혈석 압수가 나와줘야 된다는 게 문제고, 또 재수없으면 혈석 압수를 썼을 때 루그그의 효과가 발동하면서 한두 개 정도는 도로 팔려던 기물에게 가버릴 수 있다는 건 염두에 두자.

2.2. 기계

기계 하수인 일람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1.png
1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2.png
2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3.png
3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4.png
4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5.png
5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6.png
6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7.png
7단계

2.2.1. 기계 하수인

2.2.1.1. 기름 로봇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기름 로봇, 일러명=기름 로봇_bg33.4.2, 영문명=Grease Bot,
공격력=2, 생명력=4, 공격력2=4, 생명력2=8, 기계=,
효과=<b>천상의 보호막</b>\, 아군 하수인이 <b>천상의 보호막</b>을 잃은 후에\, 그 하수인에게 영구히 +2/+2를 부여합니다.,
효과2=<b>천상의 보호막</b>\, 아군 하수인이 <b>천상의 보호막</b>을 잃은 후에\, 그 하수인에게 영구히 +4/+4를 부여합니다.,
)]

천상의 보호막 위주로 필드를 구성했다면, 매 턴마다 천보 하수인에게 꾸준한 버프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버프량이 워낙 저열해서 잠깐 거치는 용도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버프명은 기름칠[1]이다.
2.2.1.2. 다용도 드론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다용도 드론, 일러명=다용도 드론_bg33.4.2, 영문명=Utility Drone,
공격력=3, 생명력=5, 공격력2=6, 생명력2=10, 기계=,
효과=내 턴이 끝날 때\, 내 하수인들에게 각각 <b>합체</b>한 수만큼 +2/+1을 부여합니다.,
효과2=내 턴이 끝날 때\, 내 하수인들에게 각각 <b>합체</b>한 수만큼 +4/+2를 부여합니다.,
)]
소환: 마-마-망가지지 않았으면, 그래도 고쳐! (I-I-If it ain't broke, still fix it!)

합체 기계 덱의 핵심 버퍼 하수인. 이 기물을 놓는 것 만으로도 합체한 하수인의 수만큼 턴마다 버프를 걸어준다. 이 하수인도 기계라서 합체를 이용해 버프를 걸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똑같은 턴 종료인 부품 찾기, 그리고 드라카리 마법부여사와 함께 사용하면 턴마다 150/100에 달하는 버프를 걸어주는 모습도 나올 수 있다.

대상이 기계가 아니더라도 '합체'만 하면 되기 때문에 이중 종족 합체가 가능한 언데드, 악마, 정령 등의 기물도 버프를 받을 수 있다.

시즌 11패치로 6단계에서 4단계, 스탯은 6/6에서 4/5, 버프량은 3/2에서 1/1로 감소하며 복귀하였다.
2.2.1.3. 폐허 재건축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폐허 재건축가, 일러명=폐허 재건축가_bg, 영문명=Ruins Renovator,
공격력= 5, 생명력= 1, 공격력2= 10, 생명력2= 2, 기계=,
효과=<b>천상의 보호막</b>\, <b>죽음의 메아리: </b>무작위 <b>천상의 보호막</b> 하수인을 소환합니다.,
효과2=<b>천상의 보호막</b>\, <b>죽음의 메아리: </b>무작위 <b>천상의 보호막</b> 하수인을 둘 소환합니다.,
)]
2.2.1.4. 화음로봇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화음로봇, 일러명=화음로봇_bg33.4, 영문명=Accord-o-Tron,
공격력=5, 생명력=5, 공격력2=10, 생명력2=10, 기계=,
효과=<b>합체</b>\, 내 턴이 시작될 때\, 1골드를 추가로 얻습니다.,
효과2=<b>합체</b>\, 내 턴이 시작될 때\, 2골드를 추가로 얻습니다.,
)]
소환: 압축하며, 연주하세요! (Decompress. Play some music!)

턴 시작할 때마다 1골드를 추가로 받는 고성능의 부가 효과를 얻는다. 이 녀석을 여러 번 합체시킬 수만 있다면 남들이 10골드로 빌빌거릴 때 자신은 15~20골드를 갖고 시작할 수 있다. 2단계 주문인 석유 발견과 달리 어쨌건 버프는 버프라 공백이 적다는 것도 장점이다.

단점은 역시 빈약한 스텟. 때문에 합체 파츠로써의 운용이 강제된다. 다만 전장의 특성상 큰 하수인 하나보다는 적당한 하수인이 나누어져 있는 것이 하수인들의 체력 관리에서 유리하기에 결국은 나오자마자 집는 것이 아닌 기계 덱으로 진행할때의 주요 합체 하수인으로 운영하는 것이 옳다. 아니면 필드 버프가 되는 우두머리라면 대충 필드에 깔아놓고 페어를 풀어서 황금이 되면 다른 하수인에게 합체시켜도 된다.

2.2.2. 기계/언데드 하수인

2.2.2.1. 로봇 의수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이중종족=,
한글명=로봇 의수, 일러명=로봇 의수_bg32.4, 영문명=Prosthetic Hand,
공격력=3, 생명력=1, 공격력2=6, 생명력2=2, 기계2=, 언데드=,
효과=<b>합체</b>\, <b>환생</b>\, 기계 또는 언데드와 <b>합체</b>할 수 있습니다.,
효과2=<b>합체</b>\, <b>환생</b>\, 기계 또는 언데드와 <b>합체</b>할 수 있습니다.,
)]

언데드/기계 이중 종족 하수인이다.

아주 간단한 조건으로 기계나 언데드에 환생을 발라줄 수 있는 사기 기물. 환생의 중요도는 두 종족 모두에게 말할 필요가 없다. 기계는 전투로봇이나 홀로그램 방랑자 등을 다시 소환할 수 있고, 언데드는 이 카드를 잡는 것만으로도 환생을 발라줄 수 있어 좋은 죽메 기물을 복사함은 물론 도살, 도굴꾼 등의 시너지를 손쉽게 누릴 수 있다.

2.3. 나가

나가 하수인 일람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1.png
1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2.png
2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3.png
3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4.png
4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5.png
5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6.png
6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7.png
7단계

2.3.1. 나가 하수인

2.3.1.1. 딥 블루 저음 가수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딥 블루 저음 가수, 일러명=딥 블루 저음 가수_bg33.4, 영문명=Deep Blue Crooner,
공격력=2 , 생명력=3 , 공격력2=4 , 생명력2=6 ,나가=,
효과=<b>주문제작:</b> 다음 턴까지 하수인에게 +2/+3을 부여합니다. 미래의 내 딥 블루스를 개선합니다.,
효과2=<b>주문제작:</b> 다음 턴까지 하수인에게 +4/+6을 부여합니다. 미래의 내 딥 블루스를 개선합니다.,
)]
소환: 감미롭고 깊은 블루스를 노래하지~ (Singing the deep blues.)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주문=, 주문제작=, 토큰=,
한글명=딥 블루스, 일러명=딥 블루스_bg33.4(temp), 영문명=Deep Blues,
효과=다음 턴까지 하수인에게 +2/+3을 부여합니다. 미래의 내 딥 블루스를 개선합니다.,
효과2=다음 턴까지 하수인에게 +4/+6을 부여합니다. 미래의 내 딥 블루스를 개선합니다.,
)]

초반의 버프 수치는 고작 +1/+1이라 최악을 달리지만 이 기물의 진가는 딥 블루스 버프를 사용할 때마다 버프 수치가 +1/+1씩 증가한다는 것에 있다. 4단계의 정열적인 연주자와 함께하면 한 턴에 +3/+3, 혹은 그 이상의 스텟 강화도 가능하며, 이 상태로 용암 잠복꾼이나 걸신 빙의 등과 조합하면 몇 턴 내로 5~60의 스텟을 가진 괴물같은 하수인이 완성된다. 이 하수인을 핵심으로 사용하는 '딥 블루 나가 덱'이 존재할 정도. 단점은 순수하게 버프에만 치중되어 본인의 스텟은 저열하기 짝이 없다는 것 정도이다.

시즌 11 패치로 3단계 하수인에서 4단계 하수인, 주문제작의 초기 버프량은 1/1에서 2/2로 증가하며 복귀하였다.
2.3.1.2. 비수가시 난동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비수가시 난동꾼, 일러명=비수가시 난동꾼_bg11, 영문명=Daggerspine Thrasher,
공격력=3, 생명력=5, 공격력2=6, 생명력2=10, 나가=,
효과=내가 주문을 시전할 때마다 다음 턴까지 <b>천상의 보호막</b> 또는 <b>질풍</b> 또는 <b>독소</b>를 얻습니다.,
효과2=내가 주문을 시전할 때마다 <b>천상의 보호막</b> 또는 <b>질풍</b> 또는 <b>독소</b>를 얻습니다.,
)]
소환: 진짜 싸움은 언제 시작하지? (When does the real fight start?)

매 턴마다 주문을 3개 사용하는 것으로 천보 + 질풍 + 독소를 일시적으로 얻을 수 있다. 황금의 경우 이 버프가 끝없이 유지되기에 천보 + 질풍 + 독소 하수인으로 운용할 수 있다. 물론 일반적인 상황에서 한 턴에 주문을 3개씩 쓰며 이걸 유지하느니 리로이 등 다른 날먹 기물들이 더 쓰기 편한 건 어쩔 수 없다.
2.3.1.3. 서리비늘 사제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서리비늘 사제, 일러명=서리비늘 사제_bg, 영문명=Rimescale Priestess,
공격력= 3, 생명력= 3, 공격력2= 6, 생명력2= 6, 나가=,
효과=<b>주문제작:</b> 능력치를 부여하는 무작위 선술집 주문을 얻습니다.,
효과2=<b>주문제작:</b> 능력치를 부여하는 무작위 선술집 주문을 2개 얻습니다.,
)]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주문=, 주문제작=, 토큰=,
한글명=서리 아니면 이유, 일러명=서리 아니면 이유_bg(temp), 영문명=Rime or Reason,
효과=능력치를 부여하는 무작위 선술집 주문을 얻습니다.,
효과2=능력치를 부여하는 무작위 선술집 주문을 2개 얻습니다.,
)]
2.3.1.4. 지친 마법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지친 마법사, 일러명=지친 마법사_bg_32.2.2, 영문명=Weary Mage,
공격력=5, 생명력=1, 공격력2=10, 생명력2=2, 나가=,
효과=<b>주문제작:</b> 하수인에게 +2/+2를 부여합니다. 그 하수인이 나가면 다음 턴까지 <b>환생</b>도 부여합니다.,
효과2=<b>주문제작:</b> 하수인에게 +4/+4를 부여합니다. 그 하수인이 나가면 다음 턴까지 <b>환생</b>도 부여합니다.,
)]
소환: 여긴 아무것도 안 남았어! (There is- nothing left here.)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주문=, 주문제작=, 토큰=,
한글명=활기 회복, 일러명=활기 회복_bg10, 영문명=Reinvigoration,
비용=0,
효과=하수인에게 +2/+2를 부여합니다. 그 하수인이 나가면 다음 턴까지 <b>환생</b>도 부여합니다.,
효과2=하수인에게 +4/+4를 부여합니다. 그 하수인이 나가면 다음 턴까지 <b>환생</b>도 부여합니다.,
)]

나가에게 버프와 환생을 부여하는 하수인으로, 본인에게만 써도 7/3 + 5/1이므로 일단 본전치기는 한다. 나가 중에서도 죽음의 메아리가 달린 기물과 연계하면 큰 이득을 보면서 갈 수 있고, 후반에는 수면 마술사나 비축가, 다도회 손님 등에 간편하게 환생을 발라 선술집 주문을 왕창 불릴 수 있다. 전시 관리인의 경우에도 일시적으로 독소 환생을 쓰기 위해 거쳐가기 좋다.

또한 환생 부여는 일시적이지만 스텟 버프는 영구적으로 남기 때문에, 버프량은 애매하지만 그냥 턴마다 원하는 기물에 +2/+2씩 준다고 생각하면서 거쳐갈 수 있다.

2.3.2. 태그 전장 전용

2.3.2.1. 개인 요리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태그=,
한글명=개인 요리사, 일러명=개인 요리사_bg10, 영문명=Private Chef,
공격력=5, 생명력=4, 공격력2=10, 생명력2=8, 나가=,
효과=<b>주문제작:</b> 하수인을 선택합니다. 그 종족의 다른 무작위 하수인을 얻은 후에\, <b>전달</b>합니다.,
효과2=<b>주문제작:</b> 하수인을 선택합니다. 그 종족의 다른 무작위 하수인을 둘 얻은 후에\, <b>전달</b>합니다.,
)]
소환: 고등어를 추가하고 뭉텅뭉텅 썰어넣자! (More mackerel, Chop Chop!)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주문=, 주문제작=, 토큰=,
한글명=개인 취향, 일러명=개인 취향_bg10, 영문명=Private Selection,
효과=하수인을 선택합니다. 그 종족의 다른 무작위 하수인을 얻은 후에\, <b>전달</b>합니다.,
효과2=하수인을 선택합니다. 그 종족의 다른 무작위 하수인을 둘 얻은 후에\, <b>전달</b>합니다.,
)]

2성 주문 '주방장 추천 요리'와 삭제된 태그 전용 주문 '모집 프로그램'을 반씩 섞어놓은 주문제작을 시전한다. 집어두면 매 턴마다 내 파트너가 골드 이득을 볼 수 있을 뿐 아니라, 종족을 정할 수 있으므로 특정 종족의 키 카드를 건네줄 확률도 그럭저럭 있는 무난한 하수인이다.

모집 프로그램이 그랬듯이, 시간을 얼마 안 남겨놓은 상태에서 이걸 썼다가 낮은 확률로 내 파트너의 페어 기물이 황금이 되어 패로 바운스되어버리는 트롤링을 저지를 수 있음은 주의. 가급적 쓰고 싶으면 시간 여유가 있는 초반에 쓰거나, 시간 여유가 없다면 다른 종족의 기물에 쓰자.

2.4. 멀록

멀록 하수인 일람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1.png
1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2.png
2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3.png
3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4.png
4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5.png
5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6.png
6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7.png
7단계

2.4.1. 멀록 하수인

2.4.1.1. 도미 계산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도미 계산원, 일러명=도미 계산원_bg33.2.1, 영문명=Bream Counter,
공격력=4, 생명력=4, 공격력2=8, 생명력2=8, 멀록=,
효과=내 손에 이 카드가 있으면\, 내가 멀록을 낸 후에\, +4/+4를 얻습니다.,
효과2=내 손에 이 카드가 있으면\, 내가 멀록을 낸 후에\, +8/+8을 얻습니다.,
)]

핸드 멀록 덱의 기반 하수인. 유사 역할인 변덕스러운 정찰병과 비교하면 이 카드는 혼자서도 잘 성장하는 대신 필드에 스스로 내려오지 않으므로 베이스아가미나 아옳옳 중창단의 보조가 필수적이다. 옳챙이나 원시지느러미 망꾼은 그 특성상 두 번의 버프를 얻을 수 있기에, 잘 키우면 수백 단위의 생명력과 공격력을 가질 수도 있다.

약간 아쉬운 점은 계속 패에 쥐고 있어야 한다는 특성 상 황금으로 만들어도 황금 보상은 받을 수 없다.
2.4.1.2. 왕 므라옳옳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왕 므라옳옳, 일러명=왕 므라옳옳_bg33.4, 영문명=King Bagurgle,
공격력=3, 생명력=4, 공격력2=6, 생명력2=8, 멀록=,
효과=<b>전투의 함성:</b> 내 다른 멀록들에게 +2/+3을 부여합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내 다른 멀록들에게 +4/+6을 부여합니다.,
)]

멀록 덱의 광역 버퍼. 버프량은 그냥저냥 무난한 수준이다.

일러스트는 정예 타우렌 족장의 전투의 함성으로 생성되는 파워 코드 주문인 '나는야 멀록'의 일러스트를 재활용했다.

버프명은 므라옳[2]이다.
2.4.1.3. 표류물 투척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표류물 투척꾼, 일러명=표류물 투척꾼_bg33.4, 영문명=Flotsam Flinger,
공격력=3, 생명력=7, 공격력2=6, 생명력2=14, 멀록=,
효과=내 턴이 시작될 때 3단계 이하의 내 하수인들의 <b>전투의 함성</b>을 발동시킵니다.,
효과2=내 턴이 시작될 때 3단계 이하의 내 하수인들의 <b>전투의 함성</b>을 두 번 발동시킵니다.,
)]
2.4.1.4. 풍덩 낚시꾼 머키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풍덩 낚시꾼 머키, 일러명=풍덩 낚시꾼 머키_bg(temp), 영문명=Murky\, Splash Fisher,
공격력=4, 생명력=3, 공격력2=8, 생명력2=6, 멀록=,
효과=<b>전투의 함성:</b> 머키의 생선을 복사하여 얻습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머키의 생선을 둘 복사하여 얻습니다.,
)]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주문=, 단계=4, 선술집=, 황금없음=,
한글명=머키의 생선, 일러명=머키의 생선_bg(temp), 영문명=Murky's Fish,
비용=2,
효과=멀록에게 +1/+1을 부여합니다. 내 멀록의 수만큼 반복합니다.,
)]

33.6 패치에서 기존 6성 하수인 머키 대신으로 등장한 머키의 리메이크 카드. 기존 머키의 전투의 함성을 선술집 주문 버전으로 가져온다. 선술집 주문이라서 선술집 주문 강화 효과가 있다면 그 효과도 (1+내 멀록의 수)배로 늘어난다.

2.5. 악마

악마 하수인 일람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1.png
1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2.png
2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3.png
3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4.png
4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5.png
5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6.png
6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7.png
7단계

2.5.1. 악마 하수인

2.5.1.1. 늦은 여행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늦은 여행자, 일러명=늦은 여행자_bg33.0.3, 영문명=Tardy Traveler,
공격력=3, 생명력=6, 공격력2=6, 생명력2=12, 악마=,
효과=내가 이 하수인을 팔면\, 선술집에 있는 선술집 주문을 복사하여 얻습니다.,
효과2=내가 이 하수인을 팔면\, 선술집에 있는 선술집 주문을 둘 복사하여 얻습니다.,
)]
소환: 침착하게, 다 계획대로인 척 해. (Hold tight and pretend it's a plan.)

운 좋게 황금 손길이나 대지모신의 눈 같은 고비용 카드가 상점에 떴다면 2골드로 복사해올 수 있다. 이걸로 복사한 후 제값 주고 사서 같은 주문을 2개 가져올 수도 있다. 하지만 마침 필요한 주문과 함께 뜬 것이 아닌 이상 미리 쟁여놓기는 애매하다.

육지 느림보 등의 카드로 인해 선술집에 주문이 둘 이상 있을 경우에는 하나를 랜덤하게 복사해 온다.
2.5.1.2. 어둠춤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어둠춤꾼, 일러명=어둠춤꾼_bg11, 영문명=Shadowdancer,
공격력=4, 생명력=2, 공격력2=8, 생명력2=4, 악마=,
효과=<b>도발</b>\, <b>죽음의 메아리:</b> 풍요의 지팡이를 얻습니다.,
효과2=<b>도발</b>\, <b>죽음의 메아리:</b> 풍요의 지팡이를 2개 얻습니다.,
)]
소환: 모두가 내 노래에 맞춰 춤추리라! (All will dance to my song.)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주문=, 단계=3, 선술집=, 황금없음=,
한글명=풍요의 지팡이, 일러명=풍요의 지팡이_bg10, 영문명=Staff of Enrichment,
비용=1,
효과=이번 게임 동안 선술집에 있는 하수인들이 +1/+1을 얻습니다.,
)]

지속적으로 선술집을 강화할 수 있는 하수인. 단독 밸류만 보면 하잘것없으나 풍요의 지팡이를 강화하는 '지옥불 창조술사', 선술집 주문을 트리거로 내 상점을 잡아먹는 '박쥐 같은 공포수호병', 선술집 주문을 트리거로 자해 피해를 입고 자해 피해를 선술집 강화로 치환하는 '꿈 심문관 + 잿빛 타락자' 등의 시너지의 중심에 있는 카드이다. 여기서 야수가 살아있다면 괴물 앵무나 매타조 전령을 이용해서 상점 버프를 무지막지하게 할 수 있다.
2.5.1.3. 헌신적인 지옥소환사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헌신적인 지옥소환사, 일러명=헌신적인 지옥소환사_bg33.2.1, 영문명=Devout Hellcaller,
공격력= 2, 생명력= 2, 공격력2= 4, 생명력2= 4, 악마=,
효과=다른 아군 악마가 피해를 준 후에 영구히 +1/+2를 얻습니다.,
효과2=다른 아군 악마가 피해를 준 후에 영구히 +2/+4를 얻습니다.,
)]
피해 악마 덱에서 쓰기 좋은 기물. 5성 하수인 '조용한 집행자'의 죽음의 메아리로 하수인들에게 광역으로 피해를 한 번에 주고 6성 하수인 '파멸의 군주'로 그만큼 광역으로 아군 하수인에게 버프를 주는 방식의 덱인데, 전투 중에 스탯을 올리는 거라 지속적인 강화 수단이 없다는 것이 최대 단점인데, 이 악마가 그 단점을 약간 보완해 준다.

2.5.2. 악마/정령 하수인

2.5.2.1. 지옥화염 지도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지옥화염 지도자, 일러명=지옥화염 지도자_bg, 영문명=Felblaze Leader,
공격력= 4, 생명력= 5, 공격력2= 8, 생명력2= 10, 정령=, 악마2=,
효과=<b>집결:</b> 이번 게임 동안 선술집에 있는 하수인들에게 +2/+2를 부여합니다.,
효과2=<b>집결:</b> 이번 게임 동안 선술집에 있는 하수인들에게 +2/+2를 부여합니다. 두 번 발동합니다.,
)]

정령/악마 이중 종족 하수인이다.

황금 카드의 영어 텍스트 원문에는 'twice'가 기재되어 있으나, 한국어 텍스트에는 '두 번 발동합니다.'가 누락되어 있다.

2.6. 야수

야수 하수인 일람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1.png
1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2.png
2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3.png
3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4.png
4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5.png
5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6.png
6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7.png
7단계

2.6.1. 야수 하수인

2.6.1.1. 라일라크 메탈헤드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라일라크 메탈헤드, 일러명=라일라크 메탈헤드_bg10, 영문명=Rylak Metalhead,
공격력=5, 생명력=3, 공격력2=10, 생명력2=6, 야수=,
효과=<b>도발</b>\, <b>죽음의 메아리:</b> 양옆에 있는 하수인 중 하나의 <b>전투의 함성</b>을 발동시킵니다.,
효과2=<b>도발</b>\, <b>죽음의 메아리:</b> 양옆의 하수인들의 <b>전투의 함성</b>을 발동시킵니다.,
)]

죽음의 메아리로 전투의 함성을 발동시키는 특이한 하수인. 보통 망꾼 등의 전투의 함성으로 카드를 생성하는 하수인이나, 모래 빙빙이 등 영구적인 이득을 부여하는 하수인이 잘 쓰인다. 효과 특성상 브란과 리븐데어 양쪽으로 펌핑을 받으며, 황금 모이라가 있다면 9번 발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게다가 야수라서 환생을 바를 수 있기 때문에 발동 횟수를 2배로 만들 수도 있다. 그래서 멀록, 정령처럼 전투의 함성을 여러 번 발동시키면 이득인 종족들이 먼저 얻으려고 하는 괴상한 카드.

막상 야수 덱은 전함이 거의 없어 거의 쓸모가 없지만, 그나마 숲 방랑자를 이른 타이밍에 황금으로 만들었다면 숲 방랑자의 전함을 계속 발동시켜 딱정벌레를 강화하여 중반을 보강하는 용도는 괜찮다.

주의할 점은 히드라 계열 하수인의 공격으로 이 카드와 옆의 하수인이 동시에 사망할 경우, 이 효과의 '양옆'은 공격 이후 생존한 하수인에게 들어간다는 것이다. 상대가 히드라 계열 하수인을 쓰는 것이 확인되었다면, 전함 하수인을 일부러 1칸 더 띄워 놓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다만 이 전술은 상대가 히드라를 1선에 놓지 않는 등의 변주를 준다면 오히려 뻘짓이 될 수도 있다.

악마 하수인인 '돋보이는 타악기 연주자'나 '건반 점화연주가'처럼 전투의 함성으로 자해 데미지를 입히는 하수인과 연계할 경우, 영혼 역행자 같은 피해 면역 계열 하수인이 생존한 상태에서 발동하면 효과가 발동하지만 피해 면역 계열 하수인이 처음부터 없거나 전투 도중 사망한 상태에서 자해 전함을 발동시키면 아예 효과가 발동하지 않는다.
2.6.1.2. 엄마 곰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엄마 곰, 일러명=엄마 곰_bg33.4.2, 영문명=Mama Bear,
공격력=6, 생명력=6, 공격력2=12, 생명력2=12, 야수=,
효과=내가 야수를 소환할 때마다 그 야수에게 +6/+6을 부여합니다.,
효과2=내가 야수를 소환할 때마다 그 야수에게 +12/+12를 부여합니다.,
)]

토큰 야수 덱의 핵심 하수인이다. 상점에서 구매한 뒤 필드에 내는 야수에게도, 전투 중 소환되는 토큰에게도 전부 버프가 들어가기 때문에 토큰을 많이 깔면 깔수록 엄청난 전투력을 뽑아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쥐 떼는 공격력만큼 5/5 토큰을 소환하는 하수인이 된다. 엄마 곰 역시 야수라 엄마 곰이 있는 상태에서 다른 엄마 곰을 소환하면 그 엄마 곰이 10/10이 된다. 반대로 토큰 주축의 야수 덱에서 엄마 곰이 먼저 잘려나가면 전투력이 확 떨어진다는 명확한 약점이 있다.

버프명은 광란[3]이다.

시즌 11에서 버프량이 +3/+3에서 +4/+4로 변경되며 복귀하였다.
2.6.1.3. 용맹한 호랑이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용맹한 호랑이, 일러명=용맹한 호랑이_bg11, 영문명=Valiant Tiger,
공격력=5, 생명력=5, 공격력2=10, 생명력2=10, 야수=,
효과=<b>도발</b>\, <b>죽음의 메아리:</b> 가장 오른쪽에 있는 내 야수에게 영구히 +5/+5를 부여합니다.,
효과2=<b>도발</b>\, <b>죽음의 메아리:</b> 가장 오른쪽에 있는 내 야수에게 영구히 +10/+10을 부여합니다.,
)]

스스로가 버프를 줄 수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수사슴과 거의 똑같은 롤을 수행한다. 환생을 발라 야수에게 매 턴 +10/+10 버프를 단독으로 줄 수 있는 것도 플러스 요소다. 후반에는 조류의 친구를 구비하지 못 한 상태에서 아른나방을 버프할 때 쓰인다.
2.6.1.4. 짓밟는 스테고돈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짓밟는 스테고돈, 일러명=짓밟는 스테고돈_bg33.4.2, 영문명=Stomping Stegodon,
공격력=3, 생명력=3, 공격력2=6, 생명력2=6, 야수=,
효과=<b>집결:</b> 내 다른 야수들에게 +3과 이 <b>집결</b>을 부여합니다.,
효과2=<b>집결:</b> 내 다른 야수들에게 +6과 이 <b>집결</b>을 부여합니다.,
)]

현재 시즌11에서 폴짝 개구리를 넘긴 최악의 적폐 기물이라고 해도 봐도 되는게 폴짝개구리는 리븐데어를 죽이거나 개구리가 없는 야수를 죽이면 힘이 빠지지만 이 카드는 4성인 주제에 모든 야수한테 2/2와 집결을 부여하는데 이게 공격할때마다 중첩이 되어서 죽메없이 토큰들한테도 전부 옮겨지는 바람에 재수없으면 1000/1000 스탯이 넘는 야수 7마리가 대놓고 나와 트럭으로 광탈당할수 있다.

2.6.2. 태그 전장 전용

2.6.2.1. 의뭉스러운 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태그=,
한글명=의뭉스러운 뱀, 일러명=의뭉스러운 뱀_bg10, 영문명=Shifty Snake,
공격력=6, 생명력=1, 공격력2=12, 생명력2=2, 야수=,
효과=<b>죽음의 메아리:</b> 내 팀원이 무작위 <b>죽음의 메아리</b> 하수인을 얻습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내 팀원이 무작위 <b>죽음의 메아리</b> 하수인을 둘 얻습니다.,
)]

그냥저냥한 팀원 파밍용 하수인. 거쳐가기 좋다.

2.7. 언데드

언데드 하수인 일람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1.png
1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2.png
2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3.png
3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4.png
4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5.png
5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6.png
6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7.png
7단계

2.7.1. 언데드 하수인

2.7.1.1. 모닥불 그림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모닥불 그림자, 일러명=모닥불 그림자_bg33.4.2, 영문명=Campfire Shadow,
공격력=4, 생명력=2, 공격력2=8, 생명력2=4, 언데드=,
효과=<b>집결:</b> 무작위 적 하수인을 복사하여 얻습니다. (강화 효과가 없는 일반 하수인으로),
효과2=<b>집결:</b> 무작위 적 하수인을 둘 복사하여 얻습니다. (강화 효과가 없는 일반 하수인으로),
)]
2.7.1.2. 친근한 외눈깨비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친근한 외눈깨비, 일러명=친근한 외눈깨비_bg33.4, 영문명=Friendly Geist,
공격력=6, 생명력=3, 공격력2=12, 생명력2=6, 언데드=,
효과=<b>죽음의 메아리:</b> 능력치를 부여하는 내 선술집 주문들이 이번 게임 동안 추가로 공격력을 +1 부여합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능력치를 부여하는 내 선술집 주문들이 이번 게임 동안 추가로 공격력을 +2 부여합니다.,
)]

2.7.2. 언데드/기계 하수인

2.7.2.1. 로봇 의수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이중종족=,
한글명=로봇 의수, 일러명=로봇 의수_bg32.4, 영문명=Prosthetic Hand,
공격력=3, 생명력=1, 공격력2=6, 생명력2=2, 기계2=, 언데드=,
효과=<b>합체</b>\, <b>환생</b>\, 기계 또는 언데드와 <b>합체</b>할 수 있습니다.,
효과2=<b>합체</b>\, <b>환생</b>\, 기계 또는 언데드와 <b>합체</b>할 수 있습니다.,
)]

언데드/기계 이중 종족 하수인이다.

아주 간단한 조건으로 기계나 언데드에 환생을 발라줄 수 있는 사기 기물. 환생의 중요도는 두 종족 모두에게 말할 필요가 없다. 기계는 전투로봇이나 홀로그램 방랑자 등을 다시 소환할 수 있고, 언데드는 이 카드를 잡는 것만으로도 환생을 발라줄 수 있어 좋은 죽메 기물을 복사함은 물론 도살, 도굴꾼 등의 시너지를 손쉽게 누릴 수 있다.

2.7.3. 태그 전장 전용

2.7.3.1. 무덤 이야기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태그=,
한글명=무덤 이야기꾼, 일러명=무덤 이야기꾼_bg10, 영문명=Grave Narrator,
공격력=2, 생명력=7, 공격력2=4, 생명력2=14, 언데드=,
효과=<b>복수 (3):</b> 내 팀원이 자신이 가장 많이 보유한 종족의 무작위 하수인을 얻습니다.,
효과2=<b>복수 (3):</b> 내 팀원이 자신이 가장 많이 보유한 종족의 무작위 하수인을 둘 얻습니다.,
)]
소환: 소름돋을 각오는 됐겠지?(You're in for a scare.)

골드 복사 요원으로 악명 높았던 칼날바람 둥지대모가 태그 버전으로 돌아왔다. 비록 하수인은 내가 아닌 상대가 받게 되지만 내 팀원의 종족에 맞춰서 보급하므로 황금작, 시너지 등을 볼 확률이 훨씬 높다. 원치 않는 황금작을 해 줄 가능성만 제외하면 둥지대모가 그랬듯 보조용으로 매우 쓸만하다.
2.7.3.2. 산레인 서기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태그=,
한글명=산레인 서기, 일러명=산레인 서기_bg10, 영문명=San'layn Scribe,
공격력=4, 생명력=4, 공격력2=8, 생명력2=8, 언데드=,
효과=이번 게임에서 죽은 내 팀의 산레인 서기 하나당 +4/+4를 얻습니다.<i>(어디에 있든)</i>,
효과2=이번 게임에서 죽은 내 팀의 산레인 서기 하나당 +8/+8을 얻습니다.<i>(어디에 있든)</i>,
)]
소환: 뒷목이 당기는군. (Such a pain in the neck.)

영원의 기사의 강화판 + 태그 버전. 영원의 기사와 마찬가지로 환생을 발라 필드에 내놓으면 꾸준히 키울 수 있으며, 팀원도 버프를 받을 수 있으므로 썩 나쁘지는 않지만, 영원의 소환사라는 최종 기물이 있는 영원의 기사와 달리 이 카드는 진짜 이것뿐이고, 산레인을 키우겠다고 두 팀원 모두 언데드를 간다는 것도 어불성설이라 그냥 필드에 내놓으면 알아서 크는 태그 전용 하수인 정도로 보는 게 편하다.

그래도 버프량이 영원의 기사의 4배나 되기 때문에 태그 기물이라는 점을 살려 한 쪽에게 성장을 몰아줘서 부실해준 다른 쪽 성장을 그냥 산레인으로 쌀먹하는 것도 괜찮다.

제한적이지만 장신구인 '반사 펜던트'나 퀘스트 보상인 '피해자 유령'을 사용할 수 있는 마린, 데나트리우스 등의 우두머리는 그냥 필드에 산레인 서기만 잔뜩 늘어놓고 매 턴마다 산레인 서기를 무한으로 복사해가며 성장하고 남는 골드는 모조리 아군의 성장을 가속하는데 쓰는 전략도 가능하다.

2.8. 용족

용족 하수인 일람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1.png
1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2.png
2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3.png
3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4.png
4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5.png
5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6.png
6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7.png
7단계

2.8.1. 용족 하수인

2.8.1.1. 귀중한 고취비룡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귀중한 고취비룡, 일러명=귀중한 고취비룡_bg33.4.2, 영문명=Prized Promo-Drake,
공격력=1, 생명력=1, 공격력2=2, 생명력2=2, 용족=,
효과=<b>기선 제압:</b> 내 용족들에게 +4/+4를 부여합니다.,
효과2=<b>기선 제압:</b> 내 용족들에게 +8/+8을 부여합니다.,
)]

용족 덱의 중반을 보완하는 카드. 필드에 용족이 7마리 있다면 일회성으로 +21/+21 버프를 준다. 타렉고사나 영속적인 시인과 연계할 경우 매 턴 영구 버프를 줄 수 있다. 다만 후반으로 가면 불벼림 기원사에 비해 버프가 굉장히 소소한 편이라 자리를 내주게 된다.

이름의 고취는 '생각이나 마음, 의욕 등이 강해지도록 하다'라는 뜻으로 의욕 고취 등의 표현으로 흔히 쓰이는 그 고취다. 원문명인 Promo-drake는 Proto-drake, 즉 원시비룡의 패러디로, "promo"는 광고용으로 쓰이는 무언가를 뜻한다. 일러스트의 사람이 연설하는 동안, 혹은 무언가를 홍보하는 동안 눈을 끌기 위해 옆에 서있는 역할인 것으로 보인다.

버프명은 고취됨[4]이다.
2.8.1.2. 녹지 관리인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녹지 관리인, 일러명=녹지 관리인_bg11, 영문명=Greenskeeper,
공격력=4, 생명력=8, 공격력2=8, 생명력2=16, 용족=,
효과=<b>집결:</b> 가장 오른쪽에 있는 내 <b>전투의 함성</b>을 발동시킵니다.,
효과2=<b>집결:</b> 가장 오른쪽에 있는 내 <b>전투의 함성</b>을 두 번 발동시킵니다.,
)]
소환: 삶은 한낱 꿈에 불과하지. (Life is but a dream.)

메탈헤드와 마찬가지로 강력한 전함 카드를 재탕하는 데에 좋다. 특히 2성 하수인 '천 번째 종이비룡'과의 연계로 스텟만 충분하다면 질풍으로 2번씩 발동시킬 수 있다.
2.8.1.3. 영속적인 시인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영속적인 시인, 일러명=영속적인 시인_bg11, 영문명=Persistent Poet,
공격력=2, 생명력=3, 공격력2=4, 생명력2=6, 용족=,
효과=<b>천상의 보호막</b>\, 양옆의 용족들이 전투 중에 얻은 <b>보너스 키워드</b>와 능력치를 영구히 얻습니다.,
효과2=<b>천상의 보호막</b>\, 양옆의 용족들이 전투 중에 얻은 <b>보너스 키워드</b>와 능력치의 2배를 영구히 얻습니다.,
)]
소환: 넌 이해 못 해! (You just don't understand me!)

기선 제압 용족 덱의 핵심 카드. 영속적인 시인이 살아있는 도중의 버프에만 반영되지만, 일단 본체에 천상의 보호막이 있어서 좌우 하수인이 아무 것도 못받고 넘어가는 일은 적다. 시인 2장을 붙여서 배치하면 두 시인을 합쳐 총 4장의 버프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 상태에서 3장째가 나올 경우 급하면 황카로 만들어도 되지만, 여유가 있다면 계속 페어로 남겨놓다가 '대지모신의 눈'으로 황금을 만들어주는 것이 좋다.

자체적으로는 성장이 불가능한 타렉고사와 달리, 미운 새끼용같이 자체적으로 성장하는 용족의 성장도 고정시킬 수 있다는 것이 매우 플러스 요소. 특히 새끼용은 고작 1성 하수인인데도 시인 옆에 있으면 알아서 쑥쑥 큰다.

용족 덱 이외에도, 허세 라이더, 실리시드 잠복꾼 등 전투 중에 죽음의 메아리로 임시 버프를 부여하는 덱에서 융합체류 하수인과 함께 사용하여 고점을 높일 수도 있다.

2.9. 정령

정령 하수인 일람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1.png
1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2.png
2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3.png
3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4.png
4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5.png
5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6.png
6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7.png
7단계

2.9.1. 정령 하수인

2.9.1.1. 덩굴 등반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덩굴 등반가, 일러명=덩굴 등반가_bg33.4, 영문명=Vine Climber,
공격력= 6, 생명력= 6, 공격력2= 12, 생명력2= 12, 정령=,
효과=내가 정령을 낼 때마다 그 정령에게 +2/+1을 부여합니다. <i>(내가 이번 턴에 낸 하수인의 수만큼 강화됩니다!)</i>,
효과2=내가 정령을 낼 때마다 그 정령에게 +2/+1을 부여합니다. 두 번 발동합니다. <i>(내가 이번 턴에 낸 하수인의 수만큼 강화됩니다!)</i>,
)]
2.9.1.2. 선술집 폭풍우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선술집 폭풍우, 일러명=선술집 폭풍우_bg, 영문명=Tavern Tempest,
공격력= 2, 생명력= 2, 공격력2= 4, 생명력2= 4,정령=,
효과=<b>전투의 함성:</b> 무작위 정령을 얻습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무작위 정령을 둘 얻습니다.,
)]
소환: 우린 자유다!(We are free.)

정령 덱의 생성 요원. 전투의 함성으로 무작위 정령을 손으로 가져온다. 정령을 낼 때의 시너지 효과가 많은 정령 덱의 유능한 순환 담당으로, 특히 돌 록이나 재활용 망령과의 시너지가 매우 뛰어나다.

굳이 정령 덱이 아니더라도 브란이 있으면 혼자 정령 두 개를 집어와 다 팔면 본전이 되기 때문에 칼렉고스를 채용한 용족 덱에서도 구매할 만 하다. 운이 좋으면 혼자 2골드 역할을 하는 판다네 정령, 원기회복의 변형물을 가져올 수 있다.

일러스트는 공포의 무덤에서 시아마트가 영웅 능력으로 소환하는 '시아마트의 하수인'이다.

27.2 패치로 삭제되었지만 27.2.2 패치로 다시 복귀했다.
2.9.1.3. 수호자 이코론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수호자 이코론, 일러명=수호자 이코론_bg, 영문명=Ichoron the Protector,
공격력=3, 생명력=1, 공격력2=6, 생명력2=2, 정령=,
효과=<b>천상의 보호막</b>\, 내가 정령을 낼 때마다\, 그 정령에게 다음 턴까지 <b>천상의 보호막</b>을 부여합니다.,
효과2=<b>천상의 보호막</b>\, 내가 정령을 낼 때마다\, 그 정령에게 <b>천상의 보호막</b>을 부여합니다.,
)]
일시적으로 정령에게 천보를 부여하는 하수인으로, 황금이면 영구적으로 부여한다. 노미 덱에서 매우 소중한 효과로, 계속해서 하수인을 갈아치워야 하는 노미 특성 상 막대한 스텟 버프를 받은 하수인도 다음 턴에 팔아버리게 되는데, 이 하수인으로 하수인을 내는 족족 일시 천보를 부여해서 화력 공백을 크게 줄일 수 있고 다음 턴에 파는 데도 부담이 없게 한다.
2.9.1.4. 원기회복의 변형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원기회복의 변형물, 일러명=원기회복의 변형물_bg33.2.1, 영문명=Refreshing Anomaly,
공격력=4, 생명력=5, 공격력2=8, 생명력2=10, 정령=,
효과=<b>전투의 함성:</b> 비용이 (0)인 두 번의 <b>새로고침</b>을 얻습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비용이 (0)인 네 번의 <b>새로고침</b>을 얻습니다.,
)]

브란 없이 사고 팔기만 해도 1골드 환급 + 새로고침 2번 할인이라서 본전이며, 브란이나 메탈헤드 등과 연계하면 상당한 골드 이득을 볼 수 있다. 브란과 정령의 시너지가 좋은 이유 중 하나.

효과는 다음 새로고침을 하기 전까지 유지되기 때문에 골드가 남는 상황이 아니라면 0코스트가 된 새로고침은 다음 턴에 누르는 편이 좋으며, 같은 이유로 쓸모없는 1골드가 남아있을 때는 미리 1골드로 리롤을 한 뒤 이 카드를 내는 편이 좋다.

2.9.2. 정령/악마 하수인

2.9.2.1. 지옥화염 지도자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지옥화염 지도자, 일러명=지옥화염 지도자_bg, 영문명=Felblaze Leader,
공격력= 4, 생명력= 5, 공격력2= 8, 생명력2= 10, 정령=, 악마2=,
효과=<b>집결:</b> 이번 게임 동안 선술집에 있는 하수인들에게 +2/+2를 부여합니다.,
효과2=<b>집결:</b> 이번 게임 동안 선술집에 있는 하수인들에게 +2/+2를 부여합니다. 두 번 발동합니다.,
)]

정령/악마 이중 종족 하수인이다.

황금 카드의 영어 텍스트 원문에는 'twice'가 기재되어 있으나, 한국어 텍스트에는 '두 번 발동합니다.'가 누락되어 있다.

2.9.3. 태그 전장 전용

2.9.3.1. 혈기 왕성한 민물정령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태그=,
한글명=혈기 왕성한 민물정령, 일러명=혈기 왕성한 민물정령_bg10, 영문명=Feisty Freshwater,
공격력=6, 생명력=4, 공격력2=12, 생명력2=8, 정령=,
효과=<b>죽음의 메아리:</b> 나와 내 팀원의 다음 두 번의 <b>새로고침</b>의 비용이 (0)이 됩니다.,
효과2=<b>죽음의 메아리:</b> 나와 내 팀원의 다음 네 번의 <b>새로고침</b>의 비용이 (0)이 됩니다.,
)]

한국어 DB에서는 원기회복의 변형물과 마찬가지로 오역이 있다. 실제로는 비용이 0이 되는 새로고침을 얻는 형태라 여러 번 발동하면 그만큼 0코스트 새로고침이 누적된다.

골드 가치로 환산하면 무려 4골드 이득을 주는 하수인. 먼저 4단계를 찍거나 4발을 본 이후 올려놓으면 매우 유연한 운영이 가능하다.

2.10. 해적

해적 하수인 일람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1.png
1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2.png
2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3.png
3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4.png
4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5.png
5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6.png
6단계
파일:하스스톤_전장등급_7.png
7단계

2.10.1. 해적 하수인

2.10.1.1. 거물 도둑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거물 도둑, 일러명=거물 도둑_bg33.4, 영문명=Bigwig Bandit,
공격력=4, 생명력=6, 공격력2=8, 생명력2=12, 해적=,
효과=<b>집결:</b> 무작위 <b>포상</b>을 얻습니다.,
효과2=<b>집결:</b> 무작위 <b>포상</b>을 2개 얻습니다.,
)]
2.10.1.2. 사랑앓이 발라드 가수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사랑앓이 발라드 가수, 일러명=사랑앓이 발라드 가수_bg11, 영문명=Lovesick Balladist,
공격력=3, 생명력=2, 공격력2=6, 생명력2=4, 해적=,
효과=<b>전투의 함성:</b> 해적에게 생명력을 +1 부여합니다. <i>(내가 이번 턴에 사용한 골드만큼 강화됩니다!)</i>,
효과2=<b>전투의 함성:</b> 해적에게 생명력을 +2 부여합니다. <i>(내가 이번 턴에 사용한 골드만큼 강화됩니다!)</i>,
)]
소환: 아, 사랑의 멜로디! (Ah, a melody of love.)

해적에게 생명력 +1을 부여하고, 내가 쓴 골드만큼 생명력을 +1을 추가로 부여한다. 해적은 각종 APM을 통해서 골드를 소모하기 쉽기 때문에 중후반부에 불어난 골드를 소모하면서 상점에 보이면 버프를 넣고 팔아버리는 식. 생명력만 버프를 주지만 다행히도 4단계 하수인인 화약 급사가 있어 내 전장의 해적 하수인들의 공격력을 올리는 것은 어렵지 않다. 화약 급사 사이클을 있는대로 돌려 공격력을 펌핑한 뒤 부실해진 하체는 이 카드로 보강하는 것이 APM 해적의 핵심.

버프명은 세레나데[5]이다.
2.10.1.3. 칼날 수집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칼날 수집가, 일러명=칼날 수집가_bg10, 영문명=Blade Collector,
공격력=3, 생명력=2, 공격력2=6, 생명력2=4, 해적=,
효과=공격하는 대상 양옆의 하수인들에게도 피해를 줍니다.,
효과2=공격하는 대상 양옆의 하수인들에게도 피해를 줍니다.,
)]
소환: 하, 넌 잘릴 거야! (Yaha, You didn't make a cut!)

히드라와 같은 광역 공격 하수인. 히드라와 효과가 똑같은지라 '해드라'라는 별명이 있다.

해적에는 화약 급사 등 버프 수단이 많다. 순수 해적 덱에는 유틸리티라곤 이 카드밖에 없기 때문에 화약 급사, 발라드 가수 등으로 이 카드를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2.10.1.4. 허드렛일 강골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허드렛일 강골, 일러명=허드렛일 강골_bg11, 영문명=Peggy Sturdybone,
공격력=4, 생명력=2, 공격력2=8, 생명력2=4, 해적=,
효과=내 손으로 카드를 가져온 후에\, 다른 아군 해적에게 +1/+1을 부여합니다.,
효과2=내 손으로 카드를 가져온 후에\, 다른 아군 해적에게 +2/+2를 부여합니다.
)]
소환: 이런 꼴로 죽을 순 없어! (I wouldn't be caught dead.)

어떤 방식으로든 손으로 카드를 가져오면 다른 아군 해적에게 버프를 준다. 하수인 구매는 기본이고, 영웅 능력으로 얻는 카드, 황금 동전, 전투의 함성과 죽음의 메아리로 가져오는 카드들과 궁합이 좋다. 특히 황금 카드를 만들면 3번째 하수인을 내 손으로 가져온 후 황금 카드로 합쳐서 다시 내 손으로 가져오고, 그 카드를 내면 얻는 발견 카드를 가져와서 발견한 하수인을 내 손으로 가져오는 과정까지 총 4번을 가져오므로 +4/+4 버프가 된다. 이 카드가 황금이 되었을 경우에도, 이 카드를 내는 즉시 들어오는 황금 보상 카드와 그 보상으로 인해 +4/+4 버프가 된다.

단점이 있다면 본인의 스텟이 낮은데 정작 본인은 버프를 받지 못하므로 비전투요원 하나가 자리를 차지해야 하는 점 정도가 있다. 해적 버프를 이 카드에다가 바르기에는 애매하니 쓰다 팔자.

원문의 Peggy는 일처리를 제대로 안 하는 신입 선원을 의미하는 은어이지만, 은어 외로 쓰일 때는 외다리라는 뜻이다. 일러스트를 잘 보면 왼다리가 의족임을 알 수 있다.

원래 이름은 '허드렛일 약골'인데 언데드가 추가된 25.2 패치로 이름이 '허드렛일 강골'로 바뀌고 일러스트도 인간으로 변경되었다. 티투스 리븐데어처럼 이전 일러스트는 언데드였는데 언데드 종족값 관련 혼란을 막기 위해 카드를 변경한 경우이다.

버프명은 전리품 획득[6]이다.

2.11. 모두

2.11.1. 태그 전장 전용

2.11.1.1. 거울 괴물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태그=,
한글명=거울 괴물, 일러명=거울_괴물, 영문명=Mirror Monster,
공격력=4, 생명력=4, 공격력2=8, 생명력2=8, 모두=,
효과=내가 이 하수인을 사거나 <b>발견</b>하면\, 이 하수인을 복사하여 <b>전달</b>합니다.,
효과2=내가 이 하수인을 사거나 <b>발견</b>하면\, 이 하수인을 둘 복사하여 <b>전달</b>합니다.,
)]
소환: 성찰하고, 참회해라! (Reflect and repent!)

태그 전장용 하수인으로 발견하거나 구매하면 복사하여 내 팀원에게 전달한다. 예외적으로 사절 페이린의 영능으로 발견할 경우에는 당연히 복사 효과가 발동하지 않는다. 사거나 복사해야 하므로 생성하거나 선술집에서 그냥 가져오는 효과 등으로 패에 넣었을 때는 아무 효과가 없는 것에 주의. 이 카드를 사용하면 두 팀원이 모두 얻기에 구매를 하면서 팀원에게 하수인을 주는 용도, 또는 하나만 사도 전달을 받으면 페어가 되기 때문에 황금작 용도로도 좋다.

융합체 계열이 그렇듯 종족 시너지를 모두 받기에 그냥 필드에 올려놓고 쓰다가 하나 더 나오면 파트너에게 전달받아 황금으로 만드는 운영이 좋다. 다만 4성 하수인 중 스텟이 그닥 좋지 않기에 써먹으려면 버프를 발라줘야만 한다. 다행히도 버프를 받았을 경우에도 그 버프 째로 복사하므로, 상점의 하수인이 강화된 정령, 악마 등의 덱이라면 버프도 그대로 복사된다. 따라서 노미 정령 등 상점의 거울 괴물을 키우는 덱을 굴린다면 무지막지한 버프를 받은 거울 괴물을 사서 파트너에게 넘기고 구매한 거울 괴물도 전달하면 파트너도 깡스텟을 갈 수 있다. 그렇게 받아서 강화한 필드를 날라 혼합 덱 등으로 강화하는 식으로 이득을 볼 수 있다.

자주 볼 수 있는 상황은 아니지만 황금 하수인의 효율이 극도로 뛰어난데, 황금이 된 이 하수인을 구매하면 황금 거울 괴물 2개가 내 팀원에게 전달되어 최종적으로 황금 보상 3개를 볼 수 있다. 자주 나오는 상황은 아니지만 황금 손길이나 짝퉁 지혜의 공 등의 효과로 선술집의 거울 괴물이 황금이 될 경우 무지막지한 이득을 볼 수 있다.

2.12. 중립

2.12.1. 1인/태그 전장 겸용

2.12.1.1. 땅굴 폭파범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땅굴 폭파범, 일러명=땅굴 폭파범_bg32.4, 영문명=Tunnel Blaster,
공격력=3, 생명력=7, 공격력2=6, 생명력2=14,
효과=<b>도발</b>\, <b>죽음의 메아리:</b> <b>모든</b> 하수인에게 피해를 3 줍니다.,
효과2=<b>도발</b>\, <b>죽음의 메아리:</b> <b>모든</b> 하수인에게 피해를 3 줍니다. 2번 발동합니다.,
)]
소환: 중요한 일엔 특별한 폭탄 필요하다! (Important job get's special bomb!)

죽메로 광역 데미지를 주는 중립 하수인.

천상의 보호막을 사용하지 않는 덱에서, 상대의 천상의 보호막을 카운터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 기본적인 운용법이다.

피해량이 꽤 높기 때문에 대지모신의 눈으로 황금을 맞춰준 뒤 리븐데어, 매타조 전령 등으로 여러 번 격발시키면 단순히 천상의 보호막을 벗기는 걸 넘어 체력을 보정하지 않은 하수인들을 광역으로 쓸어버리는 것도 가능하다. 토큰 언데드 덱처럼 체력 보정을 잘 안 하는 덱이거나, 무모한 리로이 같은 즉사형 용병이나 전투로봇 덱의 칸고르처럼 먼저 죽으면 쓸모없어지는 하수인을 저격하기에 좋다.
2.12.1.2. 산호초 탐험가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산호초 탐험가, 일러명=산호초 탐험가_bg, 영문명=Reef Explorer,
공격력= 3, 생명력= 3, 공격력2= 6, 생명력2= 6,
효과=<b>전투의 함성:</b> 내 전장에 없는 종족의 하수인을 <b>발견</b>합니다.,
효과2=<b>전투의 함성:</b> 내 전장에 없는 종족의 하수인을 둘 <b>발견</b>합니다.,
)]
소환: 물고기는 우리 친구에요. 먹는 게 아니라고요. (Fish are friends, not food.)

내 필드에 없는 종족을 발견하는 하수인.

무종족에 스탯도 형편없지만 '전투의 함성 발견'으로 인해 고단계로 책정된 하수인. 뭐든 간에 패에 카드를 가져오는 것부터 1골드가 아닌 2골드짜리 기물이란 의미이며, 이는 브란과 연계하여 골드사기를 치기에도 용이하다는 것이다. 옳챙이를 제외하면 버프효과만을 받고 골드이익이 플러스 마이너스 제로인 망꾼과 달리, 이 카드는 망꾼, 무르도즈노, 선상도박꾼, 물정령 등의 카드를 발견할 시 추가로 골드이득을 얻을 기회도 많기에 브란과의 연계를 통한 잠재력이 무척이나 큰 편.

선술집 단계 이하의 하수인을 발견하는 만큼 후반부에 써도 1~2성 등 저조한 티어의 하수인이 나오지만, 반대로 고단계 기물+3/3짜리 하수인을 동시에 남길 수 있는 기회도 있기에 내 필드가 비워진 상태에선 적당히 고를 만하다. 복수기물을 노리고 4발을 볼 때 나오는 꽝기물치곤 선호도도 적잖은 편.

참고로 필드에 현재 게임에 나온 다섯 종족이 다 나오면 확정적으로 융합체 계열 하수인만 발견할 수 있다.

24.6 패치로 삭제되었다.
2.12.1.3. 신도레이 직격 사수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신도레이 직격 사수, 일러명=신도레이 직격 사수_bg11, 영문명=Sin'dorei Straight Shot,
공격력=3, 생명력=4, 공격력2=6, 생명력2=8,
효과=<b>천상의 보호막</b>\, <b>질풍</b>\, <b>집결:</b> 대상의 <b>환생</b>과 <b>도발</b> 능력을 제거합니다.,
효과2=<b>천상의 보호막</b>\, <b>질풍</b>\, <b>집결:</b> 대상의 <b>환생</b>과 <b>도발</b> 능력을 제거합니다.,
)]
소환: 명중이다. (Bullseye.)

질풍과 천상의 보호막 덕분에 하수인 둘의 환생과 도발을 제거할 수 있다. 단, 환생이 깽판을 치는 시즌이 아니라면 사용처가 한정적이라 거의 쓰이지 않는다.
2.12.1.4. 전문 기술병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전문 기술병 , 일러명=전문 기술병_bg(temp), 영문명=Expert Technician,
공격력=5, 생명력=1, 공격력2=10, 생명력2=2,
효과=<b>도발</b>\, <b>죽음의 메아리:</b> 가장 왼쪽에 있는 내 하수인이 이 하수인을 처치한 적 하수인을 즉시 공격합니다.,
효과2=<b>도발</b>\, <b>죽음의 메아리:</b> 가장 왼쪽에 있는 내 하수인이 이 하수인을 처치한 적 하수인을 즉시 두 번 공격합니다.,
)]
2.12.1.5. 친근한 문지기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친근한 문지기 , 일러명=친근한 문지기_bg(temp), 영문명=Friendly Bouncer,
공격력=6, 생명력=4, 공격력2=12, 생명력2=8,
효과=<b>집결:</b> 무작위 집결 하수인을 얻고 소환합니다.,
효과2=<b>집결:</b> 무작위 집결 하수인을 둘 얻고 소환합니다.,
)]
2.12.1.6. 휴몽고스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한글명=휴몽고스, 일러명=휴몽고스_bg10, 영문명=Humon'gozz,
공격력=5, 생명력=5, 공격력2=10, 생명력2=10,
효과=<b>천상의 보호막</b>\, 능력치를 부여하는 내 선술집 주문들이 +1/+2를 추가로 부여합니다.,
효과2=<b>천상의 보호막</b>\, 능력치를 부여하는 내 선술집 주문들이 +2/+4를 추가로 부여합니다.,
)]

낮지 않은 능력치와 천상의 보호막, 필드에 존재할 때 한정이지만 꽤 높은 선술집 주문 버프를 주기 때문에 거쳐가는 용도로 좋다. 특히 창조술사를 활용하는 주문 덱에서도 주문 자체는 확보가 쉽지만 버프를 예열할 때까지의 시간을 벌어야 할 때 사랑받는다.

2.12.2. 태그 전장 전용

2.12.2.1. 사마귀 왕
[Include(틀:하스스톤/카드/전장, 하수인=, 단계=4, 태그=,
한글명=사마귀 왕, 일러명=사마귀_왕, 영문명=Mantid King,
공격력=3, 생명력=3, 공격력2=6, 생명력2=6,
효과=내 팀이 <b>전달</b>한 후에\, 다음 턴까지 <b>독소</b>\, <b>도발</b>\, 또는 <b>천상의 보호막</b>을 얻습니다.,
효과2=내 팀이 <b>전달</b>한 후에\, <b>독소</b>\, <b>도발</b>\, 또는 <b>천상의 보호막</b>을 얻습니다.,
)]
소환: 그림자의 가르침이니라. (Learn the shadow lessons.)

전달할 때마다 독소, 도발, 천보를 얻는다. 다만 전달에는 골드가 들기 때문에 날먹 기물로 쓰기는 상당히 어려운 편이다.

일러스트와 대사는 도적의 카드 그림자 사부를 재탕했다.


[1] 텍스트: +2/+1(+4/+2)[2] 텍스트: 능력치 증가[3] 텍스트: +4/+4(+8/+8)[4] 텍스트: 고취비룡이 능력치 부여[5] 텍스트: 생명력 증가[6] 텍스트: +1/+1(+2/+2)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21.2패치 이전, version=422, uuid=1db4efb0-ab16-4aeb-92f6-8f6516f55157,
title2=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2=47, uuid2=5454c52d-6107-4d00-b1ef-e70870370fda,
title3=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5단계, version3=489, uuid3=337f2cf4-7554-4fe4-af68-fd88eecd4d0f,
title4=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4=61, uuid4=68ddd75b-908c-4283-bda6-f1177e40fdde,
title5=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5=64, uuid5=1aadde19-2e58-4466-b84f-094f427a2b4a,
title6=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6=60, uuid6=513b1a1d-0207-4666-8794-f7e4e0adb80a,
title7=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5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7=65, uuid7=e4cac3a7-15cc-43f7-ab8a-503bf3aa6802,
title8=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8=70, uuid8=7ef11fe7-1b03-40e1-8771-5539f002c549,
title9=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3단계, version9=604, uuid9=3f857878-79e1-425b-be20-afcf808fcef0,
title10=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4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10=81, uuid10=2d9f6404-59ab-4119-9366-ce4ad502e7fc,
title11=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6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11=83, uuid11=73451310-149d-4f1a-a28b-d77aa7fa0512,
title12=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3단계, version12=612, uuid12=0f0f7708-ca8c-4162-961f-7055376f926f,
title13=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5단계, version13=732, uuid13=e8ce2f7b-5f53-4be6-b46e-3ab92244c02b,
title14=하스스톤/카드일람/전장 전용/6단계/삭제된 카드, version14=94, uuid14=64499e02-69b6-42f8-8795-4ebc69552ad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