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관련 문서 | ||||||
| 모차르트 | 생애 | 음악・오페라 | 이야깃거리 | 쾨헬 번호 | |||
| 모차르트의 오페라 (개요) | |||||||
| 이도메네오 | 후궁으로의 도피 | 피가로의 결혼 | 돈 조반니 | 코지 판 투테 | |||
| 마술피리 | 티토 황제의 자비 | 차이데 | |||||
| 모차르트의 피아노 소나타 | |||||||
| 1번 | 2번 | 3번 | 4번 | 5번 | |||
| 6번 | 7번 | 8번 | 9번 | 10번 | |||
| 11번 (터키 행진곡) | 12번 | 13번 | 14번 | 15번 | |||
| 16번 | 17번 | 18번 | 두 대의 피아노를 위한 소나타 | ||||
| 문서가 있는 모차르트의 다른 작품 | |||||||
| 레퀴엠 | 교향곡 제40번 (1악장) | 교향곡 제41번 | 바이올린 협주곡 제3번 | 아! 어머니께 말씀드리죠 주제에 의한 변주곡 | |||
| 아이네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 음악의 주사위 놀이 | 피아노 협주곡 20번 | 피아노 협주곡 21번 | 피아노 협주곡 23번 | |||
| 간츠 클라이네 나흐트무지크 | 오보에 협주곡 C장조 | 클라리넷 협주곡 A장조 | |||||
| <colbgcolor=#7E1410><colcolor=#fff>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제16번 Mozart Piano Sonata No. 16 in C major 'Sonata semplice', K. 545 | |
| 곡명 | 피아노 소나타 16번 C장조 |
| 부제 | 쉬운 소나타(Sonata facile, Sonata semplice)[1] |
| 작곡가 | 볼프강 아마데우스 모차르트 |
| 작품번호 | K. 545 |
| 작곡년도 | 1788년 |
1. 개요
피아노 소나타 16번은 모차르트가 1788년 6월 26일 32세에 완성한 소나타다. 3악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1악장이 가장 유명하다.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중 8번, 11번과 함께 가장 유명한 곡으로 꼽힌다. 모차르트 피아노 소나타 가운데 기교적으로 어렵지 않아[2] 전세계 어린이 피아노 콩쿠르, 피아노 경연대회, 피아노 급수 시험에 빠지지 않는 실기곡이다.간결한 구조에다가 기교적으로 쉬운 편이기 때문에[3] 오히려 폄하당하는 측면이 있는데, 이 작품의 음악적 완성도는 매우 뛰어나 고전주의 음악의 표본으로 꼽아도 손색이 없다. 모차르트 작품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K.545라는 작품 번호를 보고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듯이 이 작품은 모차르트의 창작 활동이 최정점에 있던 시기에 작곡되었다. 최후의 3대 교향곡 중 첫곡인 교향곡 39번(K.543)과 같은 날 완성되었으며, 몇 주 간격으로 40번(K.550), 41번(K.551) 교향곡이 뒤이어 완성되었다. 이 작품이 간결하면서도 거의 완벽에 가까운 구성미를 뽐내는 것은 고전 교향곡의 표본이라할 수 있는 최후의 3대 교향곡이 시리즈로 작곡되던 사이에 이 작품이 작곡되었던 배경과 무관치 않다.
2. 구성
2.1. 1악장 Allegro
피아노 소나타 16번에서 가장 유명한 악장, 또는 모차르트 소나타 통틀어 가장 유명한 악장 중 하나다. 도~미솔 시~도레도의 멜로디에 알베르티 베이스로 시작하는 유명한 동기. 하지만 대부분 전개부의 양손이 교차하는 펼침화음에서 막히기 쉽다. 이 부분에서 실력을 알 수 있을정도. 조성은 다장조이지만 중간에 음계의 변화가 있다. 다장조음계로 진행되다가 제 2주제에서 사장조 발전부에서 사단조, 라단조, 가단조를 거쳐 재현부에서는 바장조로 들어온다. 이 바장조에서는 자연스럽게 다장조로 연결되고 재현부의 제2주제는 자연스럽게 다장조가 된다.
2.2. 2악장 Andante
2.3. 3악장 Rondo. Allegretto
3도의 스타카토 동기로 발랄하게 시작하는 론도 형식의 악장. 모차르트 특유의 발랄한 느낌을 잘 살려야하고, 특히 의외로 자주 등장하는 3도 화음의 깔끔한 처리가 중요하다.
3. 리듬 게임 수록
3.1. DEEMO II
DEEMO II에 수록된 곡은 1악장 Allegro이며, 약 3분으로 커팅 수록되었다.
3.1.1. 채보
| Mozart - Sonata K.545 Mov.1 | |||
| | |||
| <colbgcolor=#f6f6f6,#333> 피아노 | Yi-Chen Feng | ||
| BPM | ? | ||
| 난이도 | Easy | Normal | Hard |
| 레벨 | 4 | 7 | 9 |
| 스킬 수치 상수 | 4.2 | 7.4 | 9.6 |
| 노트 수 | 492 | 795 | 1312 |
| 해금 조건 | |
| Easy | 이벤트 '【춘니 속의 씨앗】 피아노 콩쿠르'[4]에서 음색의 포톤 750개 수집 또는 상점 - 악곡 및 보면에서 음석 100개로 구매 |
| Normal | |
| Hard | |
3.1.1.1. Easy
3.1.1.2. Normal
3.1.1.3. Hard
AC 영상. 플레이어는 Deemo II 譜面まとめ ykhr1.07.
3.2. 노스텔지어 시리즈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노스텔지어 시리즈/클래식·재즈/모차르트#s-1.2|1.2]]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노스텔지어 시리즈/클래식·재즈/모차르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기타
- 일본 애니메이션 엄마는 4학년의 ED 주제가를 이 곡의 앞부분 일부를 샘플링해서 만들었다.
- 삼성중공업 BaHa[5]의 월패드 벨소리에 이 곡이 멜로디2로 탑재되어있다.#
- 학교 종소리로도 사용되곤 한다.#
- 호주의 아동 애니메이션 블루이의 에피소드 빙고라는 에피소드에서 이 노래가 테마곡으로 나온다. 노래 장면은 4:38분에 시작한다. 노래 나오는 장면
[1] 작곡가인 모차르트가 실제로 이 곡을 가리켜 '초보자를 위한 쉬운 곡'이라고 언급한 바가 있으며, 실제로도 교육용으로 단순하게 만들어졌다고 한다.[2] 그런데 피아니스트 임현정이 자신의 콘서트에서 앙코르 곡으로 이걸 연주한 적이 있다. 이 때 관객들의 반응은 그야말로 대폭소(...). 그럴만도 한게, 저 콘서트 본 무대가 <리스트 초절기교 에튀드 전곡>으로 피아노 곡들 중에서도 손꼽히게 어려운 작품들을 끝낸 후였다. 그래도 앙코르 무대 포함하여 무려 110분의 연주를 인터미션 없이 끝냈다[3] 물론, 피아노 입문자나 바이엘을 치고 있는 사람들에게는 상당히 어렵다. 소나타 치고 굉장히 쉬운 편일 뿐, 피아노의 기초를 배우는 사람도 칠 수 있을 정도로, 누구나 다 칠 수 있을 정도로 쉽지는 않다.[4] 2022년 11월 30일부터 2022년 12월 14일까지 진행[5] 현 YPP VR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