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3 06:16:00

피겨 스케이팅/기술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피겨 스케이팅
||<-4><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c3b6e,#141425><tablebgcolor=#ffffff,#1f2023><bgcolor=#3c3b6e,#141425> 피겨 스케이팅 기술 ||
필수 요소
데스 스파이럴 리프트 스텝 시퀀스 스핀
점프 코레오 시퀀스 트위스트 리프트 아이스 댄스 요소
연결 요소
베스티 스쿼트 스파이럴 스프레드 이글 스플릿 점프
왈리 점프 이나 바우어 캔틸레버

1. 개요2. 필수 요소
2.1. 싱글 스케이팅2.2. 페어 스케이팅2.3. 아이스 댄스
3. 연결 요소4. 페어 스케이팅 / 아이스 댄스의 홀드
4.1. 페어 스케이팅4.2. 아이스 댄스

1. 개요

피겨 스케이팅은 종목마다 수행해야 하는 기술이 다르다.

남녀 싱글은 점프, 스핀, 스텝을 수행해야 하고 페어는 거기에 리프트, 트위스트 리프트, 데스 스파이럴, 페어스핀의 기술을 추가로 수행해야 한다. 아이스 댄싱은 규정 스텝, 패턴 스텝, 댄싱 리프트, 트위즐, 댄싱 스핀을 수행해야 한다. 아이스 댄싱과 다른 종목 간 비슷한 기술 요소들이 있지만 규정 상 두 기술 요소는 뚜렷하게 구분되어 다른 종목에서 아이스 댄싱의 기술을 수행하면 0점 처리되거나 벌점을 받고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피겨 기술을 의미하는 알파벳 앞에 숫자가 붙어 있는데, 이 숫자를 포함하여 읽어야 하며 숫자를 읽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회전수 영어 한국어
1 Single 싱글
2 Double 더블
3 Triple 트리플
4 Quadruple 쿼드러플
예를 들어 1T는 ‘싱글 토룹’, 2S는 ‘더블 살코’, 3Lz은 ‘트리플 러츠’, 4A은 ‘쿼드러플 악셀’라고 읽으면 된다.

2. 필수 요소

2.1. 싱글 스케이팅

2.2. 페어 스케이팅

2.3. 아이스 댄스

  • 댄스 리프트
  • 댄스 스핀
  • 트위즐
  • 댄스 스텝 시퀀스
  • 코레오그래픽 요소

3. 연결 요소

필수 요소 사이를 연결하는 기술 요소를 연결 요소라고 한다. 연결 요소는 기술과 기술 사이를 메꿔주거나, 기술의 앞뒤를 꾸며 프로그램을 물흐르듯 만들어주는 역할(트랜지션이라 한다.)을 한다. 코레오그래픽 요소 및 코레오그래픽 시퀀스를 구성하기도 한다. 연결 요소가 풍부하다면 구성 점수의 '컴포지션' 항목[1]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으며, 필수 기술 요소의 직전과 직후에 연결 요소를 이용한다면 필수 기술 요소 자체에도 높은 가산점이 부여된다.

연결 요소의 정의가 이러하므로 실제 연결 요소는 아래에 나열된 것보다 훨씬 많다. 각종 스텝 기술에서부터 상체의 움직임까지도 연결 요소에 포함되지만 동작이 커서 알아보기 쉽고 유명한 연결 요소들을 추려서 나열하면 아래와 같다.

4. 페어 스케이팅 / 아이스 댄스의 홀드

두 종목은 두 사람이 함께 수행하는 것으로서 '홀드'라는 개념이 추가된다. 홀드는 두 사람이 서로 붙어있는 방법을 일컫는다. 두 선수가 마주본 채로 스케이팅을 하는 지[2], 같은 방향을 보고 스케이팅을 하는지[3] 따라 접촉 방법이 달라질 수밖에 없고, 허리를 잡는지, 어깨를 잡는지, 손을 잡는지에 따라서 또 달라진다. 이런 여러 요소들에 따라 홀드의 종류가 갈라지게 된다.

홀드는 두 종목 모두에서 중요하나, 두 선수가 서로 떨어지는 것을 엄격히 규정하고 있는 아이스 댄스에서 더욱 중요도가 높고 요구되는 홀드의 종류도 다양하다. 다양한 종류의 홀드를 수행하고, 홀드를 이리저리 바꾸면서도 두 선수가 하나가 된 듯 안정적으로 스케이팅을 유지하는 것이 관건이다.

홀드는 경기 전반에 걸쳐 이루어졌다 종료되길 반복하므로 필수 기술 요소임에도 이를 따로 채점하지는 못하며, 대신 홀드를 요구하는 기술에서 가산점에 포함되거나 구성 점수에 반영된다.

4.1. 페어 스케이팅

페어 스케이팅에서는 손을 한쪽만 잡고 두 사람 모두가 팔이 쭉 벼지는 핸드-인-핸드 홀드가 자유롭다.

페어 스케이팅의 홀드는 리프트에서 가장 많이 다루어진다.
  • 암핏 홀드
  • 웨이스트 홀드
  • 핸드 투 힙 홀드
  • 핸드 투 핸드 홀드

4.2. 아이스 댄스

  • 핸드-인-핸드
    핸드-인-핸드 홀드를 제약받는다.
  • 페이스 투 페이스
  • 사이드 바이 사이드 홀드
    • 킬리안 홀드
      • 리버스 킬리안 홀드
      • 오픈 킬리안 홀드
      • 크로스드 킬리안 홀드
      • 하이 킬리안 홀드
    • 오픈 홀드(폭스트롯 홀드)
    • 크로스드 폭스트롯 홀드
    • 왈츠 홀드(클로즈드 홀드)
    • 탱고 홀드


[1] 과거 5개 부문에 대입한다면 '트랜지션' 항목이나 '곡 해석' 정도의 항목에서 고득점을 이뤄내는 데에 유리하다.[2] 한 선수가 전진을 하면 필연적으로 파트너는 후진하게 된다[3] 전진도, 후진도 함께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