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31 01:26:34

페어 스케이팅/필수 요소/트위스트 리프트

트위스트 리프트에서 넘어옴

||<tablealign=center><tablebgcolor=#3c3b6e,#141425><tablebordercolor=#3c3b6e,#141425><width=45%>
파일:피겨 스케이팅 픽토그램.svg파일:피겨 스케이팅 픽토그램 다크.svg
||피겨 스케이팅
구성 요소
||
[ 필수 요소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c3b6e,#141425><table bgcolor=#fff,#1c1d1f><tablecolor=#373a3c,#fff><width=1000> 데스 스파이럴 ||<width=25%> 리프트 ||<width=25%> 스텝 시퀀스 ||<width=25%> 스핀 ||
점프 트위스트 리프트 아이스 댄스 요소
[ 연결 요소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c3b6e,#141425><table bgcolor=#fff,#1c1d1f><tablecolor=#373a3c,#fff><width=1000> 베스티 스쿼트 ||<width=25%> 스파이럴 ||<width=25%> 스프레드 이글 ||<width=25%> 스플릿 점프 ||
왈리 점프 이나 바우어 캔틸레버


||<tablealign=center><tablebgcolor=#3c3b6e,#141425><tablebordercolor=#3c3b6e,#141425><width=50%> 피겨 스케이팅
필수 요소
||리프트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c3b6e,#141425><table bgcolor=#fff,#1c1d1f><tablecolor=#373a3c,#fff><width=1000><rowbgcolor=#6d6ca1,#25254d><rowcolor=#fff,#fff><-2> 페어 || 아이스 댄스 ||
트위스트 리프트
Twist Lifts
파일:메텔키나베룰라바 트리플 트위스트.gif
아나스타샤 메텔키나 / 루카 베룰라바의 트리플 트위스트 리프트 레벨 4
파일:시메카니어림 쿼드 트위스트.gif
알렉사 시메카 / 크리스 니어림의 쿼드러플 트위스트 리프트 레벨 4[1]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white,white> 종목 페어 스케이팅
분류 리프트
유형 필수 요소
약자 Tw
1. 개요2. 정의3. 역사4. 원리5. 분류
5.1. 회전수5.2. 도약 방법
5.2.1. 플립 트위스트 리프트5.2.2. 러츠 트위스트 리프트5.2.3. 토룹 트위스트 리프트5.2.4. 악셀 트위스트 리프트
6. 착지 규칙7. 지정된 트위스트 리프트의 종류와 횟수8. 채점
8.1. 회전의 완성도8.2. 난이도 평가(레벨)8.3. 수행 등급 평가(GOE)
8.3.1. 가산 요소8.3.2. 감산 요소
9. 점수

1. 개요

페어 스케이팅에서 필수 요소 중 하나인 트위스트 리프트에 대한 문서.

2. 정의

트위스트 리프트는 핸드 투 웨이스트 리프트로 시작해 여자 선수가 공중으로 던져지고 회전을 한 후 남자 선수가 받아주며 착지하는 리프트이다.

3. 역사

최초 구사자에 대한 기록은 없으나 1940~50년대에 초기 형태가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측된다.

신채점제 도입 직후인 2004-05 시즌에는 레벨을 평가하지 않았고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시즌부터 레벨 평가가 시작되었다.

4. 원리

트위스트 리프트는 핸드-투-웨이스트 리프트(hand to waist lift)처럼 시작되지만 최고점에서 여자 선수가 남성의 손목을 밀어내며 공중에서 회전한 후, 남자 선수가 받아 다시 빙판에 내려놓는 '리프트'의 한 종류이다.

트위스트 리프트는 단순히 남자 선수가 여자 선수를 공중으로 잘 던진다고 되는 기술이 아니다. 솔로 점프를 뛸 때와 비슷한 관점에서 여자 선수가 도약을 정교하고 힘있게 잘 해야 큰 각운동량을 확보하게 되고 남자 선수가 들어올리지 않더라도 좋은 높이가 나오므로 트위스트 리프트의 높이와 회전에 기여할 수 있다. 트위스트 리프트든 오버헤드 리프트(페어 리프트)든 여자 선수를 들어올리게되는 초반의 상승 과정에 남자 선수가 힘을 가장 많이 소모하게 되는데, 여자 선수가 점프를 잘 도약하여 무게 중심의 위치를 상승시켜주면 남자 선수가 여자 선수를 들어올리고 던지는 데에 소모하는 힘을 효과적으로 줄여줄 수 있다. 이렇게 여자 선수가 도약을 잘 해주는 과정에서 남자 선수는 팔에 부담을 줄일 수 있어 부상 위험이 현저히 낮아진다. 그 대신 충분히 앉았다가 일어나는 동작에 집중할 수 있다. 팔 근육보다 다리 근육과 엉덩이 근육이 더욱 크고 그만큼 근력이 강하므로 여자 선수의 높이를 더욱 높일 수 있어 효과적이다.

남자 선수가 여자 선수를 던지는 과정에서도 결코 가만히 있지 않는다. 남자 선수가 여자 선수에게 각운동량과 높이를 보태기 위해 여자 선수를 던질 때, 남자 선수의 손목을 밀어내어 반발력을 극대화시켜 자신이 던져지는 높이를 더욱 높이게 된다. 또한 회전의 주체로서 남자 선수가 초기에 여자 선수를 던지는 각도와 팔과 손목을 비트는 정도를 조절하여 회전축의 범위를 설정해주면 여자 선수가 이 회전축을 더욱 구체적으로 조정하고 고정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따른다. 솔로 점프와 마찬가지로 빈틈이 적은 공중 자세를 빠르게 잡아내어야 회전을 잘 마칠 수 있고 회전수를 높여 더욱 고난이도의 트위스트 리프트에 도전해볼 여지도 생긴다.

트위스트 리프트든 오버헤드 리프트든 여자 선수의 덩치가 너무 크면 여자 선수를 몸 앞에서 들어올려야하는 리프트의 특성상 초반에 무게 중심이 남자 선수의 어깨보다 앞쪽에 놓이기 쉽고 남자 선수가 역학적으로 균형을 잡기 어려운 위치에 놓인다.

공중에서 모든 회전을 마쳐야하고, 남자 선수의 얼굴을 팔꿈치로 치지 않아야 바람직한 트위스트 리프트라고 할 수 있다. 남자 선수 또한 착지 과정에서 단순히 손으로 여자 선수를 잡기만 하면 되는 게 아니며 여자 선수를 잘 받아서 부드러운 착지를 이끌어내야 한다.

5. 분류

트위스트 리프트는 도약 방법에 따라 네 종류로 구분되며 공중에서의 회전수에 따라 다시 네 단계로 분류된다.

5.1. 회전수

공중에서의 회전수를 나타내는 접두어를 붙여서 회전수별로 트위스트 리프트를 나눈다.
||<table bordercolor=#3c3b6e,#141425><table align=center><table width=350><tablebgcolor=#ffffff,#1f2023><rowbgcolor=#3c3b6e,#141425><rowcolor=white,white> 회전수 || 한국어
(영어) || 명칭
(기호) ||
1 싱글
(Single)
싱글 트위스트 리프트
(1Tw)
2 더블
(Double)
더블 트위스트 리프트
(2Tw)
3 트리플
(Triple)
트리플 트위스트 리프트
(3Tw)
4 쿼드러플
(Quadruple)
쿼드러플 트위스트 리프트
(4Tw)

5.2. 도약 방법

토룹 점프의 도약을 사용하면 토룹 트위스트 리프트고, 악셀 점프의 도약을 사용하면 악셀 트위스트 리프트고, 러츠 점프플립 점프의 도약을 사용하면 러츠/플립 트위스트 리프트로 구분한다. 2006-07 시즌부터 2011-12 시즌까지는 도약 방법에 따라 러츠, 플립, 악셀, 토룹 트위스트 리프트를 따로 구분해서 기재하기도 하였으나 2012-13 시즌부터 악셀을 제외한 세 종의 트위스트 리프트가 통합되었고 2014-15 시즌부터는 악셀 트위스트 리프트까지 더해 최종적으로 통합되었다. 비록 사용되는 약자와 공식 명칭이 통합되긴 하였어도 쇼트 경기에서는 무조건 러츠 또는 플립으로 도약해야한다는 규정이 있으므로 도약법에 따른 분류가 결코 무효하지는 않다.

회전수 접두어와 트위스트 리프트라는 기술 이름 사이에 도약법을 나타내는 단어가 위치했다. 가령 러츠로 도약해 2바퀴를 돌고 내려오는 트위스트 리프트는 더블 러츠 트위스트 리프트가 되고 플립으로 도약해 세 바퀴를 돌고 내려오면 트리플 플립 트위스트 리프트가 된다.

회전수가 늘어날수록 토룹<러츠 또는 플립<악셀 트위스트 리프트 순서로 기초점이 높아졌고 차이도 커졌지만 그래봤자 소숫점 차이였으며[2] GOE 팩터가[3] 동일했으며 플립 트위스트와 러츠 트위스트는 기초점이 같았다. 따라서 트위스트 리프트를 굳이 악셀로 구사할 이유가 없었으며 러츠/플립 트위스트,리프트에 보다 집중해 회전수를 제대로 채우고 레벨을 올리고 가산점을 잘 받도록 노력하는 게 정석이었다.

5.2.1. 플립 트위스트 리프트

파일:바자로바라리오노프 플립 트위스트.gif
베라 바자로바 / 유리 라리오노프 조의 트리플 플립 트위스트 리프트 레벨 3[4][A]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white,white> 약자 FTw (2004-05~2011-12 시즌)
→ Tw (2012-13 시즌~)
유형 쇼트 프로그램 필수 요소
(플립/러츠 중 택 1)
플립으로 도약하는 트위스트 리프트로, 트위스트 리프트를 나타내는 약자인 Tw 앞에 플립을 나타내는 F를 붙여 FTw라고 표기했다.

솔로 점프와 달리 도약 시 에지를 판독하여 감점하지 않았으며 러츠와 기초점도 같았다. 이는 여자 선수가 홀로 에지를 사용하고 도약을 하는 게 아니라 남자 선수가 던지는 행위가 추가되기 때문에 남자 선수의 움직임에 따라서 여자 선수가 의도한 에지가 나오지 않거나 의도한 에지가 나왔더라도 궤적이 복잡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고 난이도 차이도 상쇄되기 때문이다. 같은 이유로 스로우 점프에서도 에지 판독을 하지 않으며 기초점이 동일하다. 정확한 에지 사용에 제약이 매우 많을 뿐 아니라 애초에 혼자 구사하는 기술이 아니므로 정확한 도약을 이루어낼 경우 가산점 요소에 해당되긴 하나 공중에서 높고 멀리 이동해 부드럽게 착지하는 것이 훨씬 가치 있는 기술이므로 그러지 못한다고 해서 감점을 받는 일은 결코 없다. 러츠 트위스트 리프트와 플립 트위스트 리프트를 구분짓는 판정도 모호하여 플립 트위스트 리프트를 의도해도 러츠 트위스트 리프트로 판정되기도 했다. 그럼에도 플립 트위스트 리프트를 정확하게 도약하는 페어가 분명히 있었는데, 바로 바자로바 / 라리오노프 조였다.

상단 표에 제시한 바자로바 / 라리오노프의 트위스트 리프트는 2012년 세계선수권 대회의 쇼트 프로그램에서 수행한 것으로, 도약 전에 모호크를 붙인 점과 신체의 사용까지 플립을 의도한 것이 명백하고 정확한 에지로 도약했지만 당시 러츠 트위스트로 판정되었다. 같은 시즌 유럽선수권 대회에서는 제대로 플립으로 판정받았다. 중립에 가까운 인에지로 도약한다는 특성상 원래도 오심이 많은 점프인데 남자 선수가 던지는 동작으로 인해 더욱 아웃 에지로 바뀌기도, 아웃 에지처럼 보이기도 쉬워서 정확하게 도약하기 위해서는 던지는 기술이 아주 섬세해야한다.

5.2.2. 러츠 트위스트 리프트

파일:선자오 러츠 트위스트.gif
선쉐 / 자오훙보 조의 트리플 러츠 트위스트 리프트 레벨 3[6][A]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white,white> 약자 LzTw (2004-05~2011-12 시즌)
→ Tw (2012-13 시즌~)
유형 쇼트 프로그램 필수 요소
(플립/러츠 중 택 1)
러츠로 도약하는 트위스트 리프트로, 트위스트 리프트를 나타내는 약자인 Tw 앞에 러츠를 나타내는 Lz를 붙여 LzTw라고 표기했다.

솔로 점프와 달리 도약 시 에지를 판독하여 감점하지 않았으며 플립과 기초점도 같았다. 이유는 플립 트위스트 리프트와 같다. 그럼에도 러츠 트위스트 리프트를 정확하게 도약하는 조도 분명히 있었는데, 대표적으로 선쉐 / 자오훙보 조가 그랬다.

러츠 트위스트 리프트 역시 러츠와 다를 바 없이 여자 선수의 플러츠성 수행이 아주 많고 여자 선수가 아웃 에지를 유지하는 능력이 출중하더라도 남자 선수가 여자 선수를 잡고 던지는 동작을 준비하고 시작하는 순간 역방향의 궤적이 흐트러지기 십상이다. 이러한 문제로 도약 에지를 중시해서 채점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선 / 자오 조는 러츠 트위스트를 아주 깊은 아웃 에지로 정확하게 구사하기로 정평이 나있었다.[8] 선쉐가 에지를 정확하게 사용할 뿐 아니라 자오훙보가 선쉐가 깊은 아웃 에지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신체를 정밀하게 조정하고 선쉐가 토를 찍는 타이밍에 정확하게 던져내는 기술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5.2.3. 토룹 트위스트 리프트

파일:브라세르아이슬러 토룹 트위스트.gif
이사벨 브라설 / 로이드 아이슬러 조의 트리플 토룹 트위스트 리프트[9]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white,white> 약자 TTw (2004-05~2011-12 시즌)
→ Tw (2012-13 시즌~)
유형 쇼트 프로그램 비허용 요소
여자 선수가 오른발 후진 인에지로 도약하므로 정확하게 말하면 토 왈리 트위스트 리프트라고 해야 맞지만 토 왈리가 토룹 점프 안에 통합된 영향을 받아서 토룹 트위스트로 명명되었다.

5.2.4. 악셀 트위스트 리프트

파일:포셔마소 악셀 트위스트.gif
카미유 포셔 / 브루노 마소 조의 싱글 악셀 트위스트 리프트 레벨 1[10]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white,white> 약자 ATw (2004-05~2013-14 시즌)
→ Tw (2014-15 시즌~)
유형 쇼트 프로그램 비허용 요소
기록을 거의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잘 수행하지 않는다.

6. 착지 규칙

여자 선수가 빙판으로 떨어지기 전에 안전하고 부드러운 착지와 마무리를 위해 남자 선수가 공중에서 여자 선수를 받아내야만 한다. 한발로 후진하며 착지하는 것은 기본이고 본래는 (오른발잡이 기준) 오른발 아웃 에지로만 착지할 수 있다는 규정이 있었지만 2024-25 시즌에 이 규정은 삭제되어 왼발 인 에지 착지도 가능해졌다.

7. 지정된 트위스트 리프트의 종류와 횟수

쇼트 프로그램
  • 주니어/시니어
    • 러츠/플립으로 도약하는 더블/트리플 트위스트 리프트 1회

프리 스케이팅
  • 주니어/시니어
    • 도약 방법과 회전수에 구애받지 않고 1회

8. 채점

8.1. 회전의 완성도

트위스트 리프트의 착지 과정에서 의도한 만큼 회전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데, 회전이 ½ 바퀴 이상 부족하면 다운 그레이드 판정을 내리게 된다. 다운그레이드된 트위스트 리프트는 테크니컬 패널이 져지에게 알려 GOE를 깎도록 지시하고, 경기 기록(프로토콜)에서 해당 요소 코드 뒤에 “<<” 기호를 붙인다.

착지에서 의도한 회전수보다 ½ 바퀴 이상 부족한 트위스트 리프트는 의도한 트위스트 리프트에서 한 바퀴를 덜 돈 트위스트 리프트와 기초점을 동일시한다. 예를 들어, 트리플 트위스트 리프트에서 여자 선수가 상체를 2.5 바퀴밖에 회전하지 못했음에도 남자 선수가 여자 선수의 체중 대부분을 감당하고 있다면 이 경우 트리플 트위스트 리프트를 시도했다고 간주하되 더블 트위스트 리프트에 준한다고 판단하여 다운 그레이드한다.

트위스트 리프트를 링크장의 반대편 끝에서 위치에서 수행했을 때 정확한 판정을 내리려면 카메라 각도가 매우 중요하다.

8.2. 난이도 평가(레벨)

아래의 요건을 하나 만족할 때마다 레벨이 한 단계 오른다.
  1. 여자 선수의 스플릿 자세(신체의 회전축으로부터 양 다리가 각각 45° 이상 곧게 벌어져야한다.)
  2. 남자 선수가 여자 선수의 손이나 팔 따위의 상체의 어떤 부위와도 자신과 접촉하지 않고 옆구리를 잡아냄.
    • 남자 선수가 두 손으로 여자 선수의 허리 양쪽을 잡아야 하며, 여자 선수의 다른 신체 부위를 잡으면 다른 홀드를 이용한 것으로 간주하여 본 요건을 인정하지 않는다.(적절하게 여자 선수를 받지 못하면 레벨을 올릴 수 없음.)
    • 여자 선수는 착지 과정에서 팔이나 상체의 어떤 부분도 남자 선수와 접촉해서는 안 된다.
      • 만약 여자 선수의 자세가 남자 선수 쪽으로 무너지면, 즉 여자 선수의 스케이트 날이 빙판에 닿기 전부터 여자 선수의 몸을 남자 선수의 몸으로 지탱하는 경우 본 요건은 인정하지 않는다. 착지 과정에서 남자 선수와 단순히 닿은 것만으로도 본 요건은 인정되지 않으며 자신의 손이나 팔이 남자 선수와 닿지 않도록 했더라도 마찬가지이다.
  3. 공중에서 여자 선수가 팔을 머리 위로 올림 (이 자세로 최소 1회전을 채울 것을 요함.)
  4. 어렵게 도약(Difficult take-off): 턴, 스텝, 동작, 스몰 리프트를 수행한 후 흐름이 끊어지지 않고 즉시 도약으로 이어지는 것을 말함.
    또는 어렵게 마무리(Difficult exit): 여자 선수가 착지하기 전이나 직후에 턴, 스텝, 동작, 스몰 리프트 따위를 하는 것을 말함.[2024-25시즌개정][12]
    • 어렵게 도약해야 한다는 요건은 도약 직전에 스텝, 턴, 움직임 또는 스몰 리프트가 배치되어 있고, 이 요소들과 도약 과정 사이에 흐름이 이어질 때만 인정된다. 만약 이 과정에서 흐름이 끊기면 본 요건은 인정하지 않는다.
    • 어렵게 마무리해야 한다는 요건은 여자 선수가 착지하기 전이나 착지 직후에 수행할 수 있다. 이 요건을 충족하려면 착지 직전 또는 직후에 스몰 리프트, 스텝, 턴, 각종 움직임 등이 배치되어 있고 요소들과 착지 과정 사이에 흐름이 끊어지는 일이 없어야 한다.
  5. 남자 선수가 여자 선수를 공중에 던진 뒤 팔을 (거의) 편 채로 어깨 높이까지 옆으로 내림.[2012-13시즌신설]
    • 남자 선수가 여자 선수를 놓은 후 팔을 어깨 높이 이하까지 양 옆으로 내렸다가 다시 들어 올려 공중에서 여성을 잡아야 한다.
    • 남자 선수의 팔은 쭉 펴져 있거나 거의 편 상태여야 한다.
    • 공중에서 여자 선수를 잡지 못하면 이 요건은 인정되지 않는다. 하지만 여자 선수의 착지 여부와 관계없이 공중에서 한 번이라도 잡으면 본 요건을 인정하며 허리를 잡지 않아도 인정한다.

8.3. 수행 등급 평가(GOE)

수행 등급(Grade of Execution)을 평가할 때 가산 요소를 먼저 본 다음 가산 요소만으로 초기 GOE를 책정한다. 초기 GOE가 책정되면 감산 요소를 찾아내어 GOE를 깎는다.

8.3.1. 가산 요소

아래 요건을 하나 만족할 때마다 초기 GOE를 한 단계 올린다. 단, 최종 GOE로 +4와 +5를 책정할 경우 1~3 요건은 무조건 만족해야한다.
  1. 여자 선수가 던져지는 높이가 높음.
  2. 깔끔하게 여자 선수를 잡아냄.
  3. 힘을 들이지 않는 듯해 보임.
  4. 좋은 도약과 마무리.
  5. 빠른 속도와 좋은 플로우[14]
  6. 요소가 음악과 어우러짐.

8.3.2. 감산 요소

||<table align=center><tablewidth=700><table bordercolor=#3c3b6e,#141425><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373a3c,#ddd><rowbgcolor=#3c3b6e,#141425><rowcolor=white,white><width=55%> GOE 하락 요인 ||<width=150px> 감산해야할 GOE 양 ||<width=75px> 초기 GOE 최댓값 제한 ||
넘어짐 -5 +2
여자 선수를 잡을 때 큰 문제를 보임 -3
리프팅 과정에서 가벼운 문제 -1~-2 없음
여자 선수가 두 발로 착지함. -2~-3 +2
다운 그레이디드 (<<) -2~-4
여자 선수가 착지할 때 프리 풋이 빙판에 닿음 -1 없음
여자 선수가 던져지는 높이가 낮고 비거리가 짧음 -1~-3
좋지 못한 도약(느린 속도로 도약, 스크래치, 토를 찍지 못함 등) -1~-3
착지 불안(느린 속도, 나쁜 자세) -1~-2
리프트의 준비가 길 때 -1~-2

9. 점수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3c3b6e,#141425><tablebgcolor=#ffffff,#1f2023><|4> ||<-11><bgcolor=#3c3b6e,#141425> GOE(Grade of Execution, 수행 등급) ||
-5 -4 -3 -2 -1 ±0 +1 +2 +3 +4 +5
등급별 감점 기초점
(BV)
등급별 가점
<rowcolor=#fff,#fff> -0.5BV -0.4BV -0.3BV -0.2BV -0.1BV +0.1BV +0.2BV +0.3BV +0.4BV +0.5BV
1회전
No Sign
<colbgcolor=#3c3b6e,#141425><colcolor=#fff,#fff> 1TwB -0.45 -0.36 -0.27 -0.18 -0.09 0.90 +0.09 +0.18 +0.27 +0.36 +0.45
1Tw1 -0.55 -0.44 -0.33 -0.22 -0.11 1.10 +0.11 +0.22 +0.33 +0.44 +0.55
1Tw2 -0.65 -0.52 -0.39 -0.26 -0.13 1.30 +0.13 +0.26 +0.39 +0.52 +0.65
1Tw3 -0.75 -0.60 -0.45 -0.30 -0.15 1.50 +0.15 +0.30 +0.45 +0.60 +0.75
1Tw4 -0.85 -0.68 -0.51 -0.34 -0.17 1.70 +0.17 +0.34 +0.51 +0.68 +0.85
다운 그레이디드
1TwB<<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1Tw1<<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1Tw2<<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1Tw3<<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1Tw4<<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0.00
2회전
No Sign
2TwB -1.30 -1.04 -0.78 -0.52 -0.26 2.60 +0.26 +0.52 +0.78 +1.04 +1.30
2Tw1 -1.40 -1.12 -0.84 -0.56 -0.28 2.80 +0.28 +0.56 +0.84 +1.12 +1.40
2Tw2 -1.50 -1.20 -0.90 -0.60 -0.30 3.00 +0.30 +0.60 +0.90 +1.20 +1.50
2Tw3 -1.60 -1.28 -0.96 -0.64 -0.32 3.20 +0.32 +0.64 +0.96 +1.28 +1.60
2Tw4 -1.70 -1.36 -1.02 -0.68 -0.34 3.40 +0.34 +0.68 +1.02 +1.36 +1.70
다운 그레이디드
2TwB<< -0.45 -0.36 -0.27 -0.18 -0.09 0.90 +0.09 +0.18 +0.27 +0.36 +0.45
2Tw1<< -0.55 -0.44 -0.33 -0.22 -0.11 1.10 +0.11 +0.22 +0.33 +0.44 +0.55
2Tw2<< -0.65 -0.52 -0.39 -0.26 -0.13 1.30 +0.13 +0.26 +0.39 +0.52 +0.65
2Tw3<< -0.75 -0.60 -0.45 -0.30 -0.15 1.50 +0.15 +0.30 +0.45 +0.60 +0.75
2Tw4<< -0.85 -0.68 -0.51 -0.34 -0.17 1.70 +0.17 +0.34 +0.51 +0.68 +0.85
3회전
No Sign
3TwB -2.40 -1.92 -1.44 -0.96 -0.48 4.80 +0.48 +0.96 +1.44 +1.92 +2.40
3Tw1 -2.55 -2.04 -1.53 -1.02 -0.51 5.10 +0.51 +1.02 +1.53 +2.04 +2.55
3Tw2 -2.70 -2.16 -1.62 -1.08 -0.54 5.40 +0.54 +1.08 +1.62 +2.16 +2.70
3Tw3 -2.85 -2.28 -1.71 -1.14 -0.57 5.70 +0.57 +1.14 +1.71 +2.28 +2.85
3Tw4 -3.00 -2.40 -1.80 -1.20 -0.60 6.00 +0.60 +1.20 +1.80 +2.40 +3.00
다운 그레이디드
3TwB<< -1.30 -1.04 -0.78 -0.52 -0.26 2.60 +0.26 +0.52 +0.78 +1.04 +1.30
3Tw1<< -1.40 -1.12 -0.84 -0.56 -0.28 2.80 +0.28 +0.56 +0.84 +1.12 +1.40
3Tw2<< -1.50 -1.20 -0.90 -0.60 -0.30 3.00 +0.30 +0.60 +0.90 +1.20 +1.50
3Tw3<< -1.60 -1.28 -0.96 -0.64 -0.32 3.20 +0.32 +0.64 +0.96 +1.28 +1.60
3Tw4<< -1.70 -1.36 -1.02 -0.68 -0.34 3.40 +0.34 +0.68 +1.02 +1.36 +1.70
4회전
No Sign
4TwB -3.20 -2.56 -1.92 -1.28 -0.64 6.40 +0.64 +1.28 +1.92 +2.56 +3.20
4Tw1 -3.40 -2.72 -2.04 -1.36 -0.68 6.80 +0.68 +1.36 +2.04 +2.72 +3.40
4Tw2 -3.60 -2.88 -2.16 -1.44 -0.72 7.20 +0.72 +1.44 +2.16 +2.88 +3.60
4Tw3 -3.80 -3.04 -2.28 -1.52 -0.76 7.60 +0.76 +1.52 +2.28 +3.04 +3.80
4Tw4 -4.00 -3.20 -2.40 -1.60 -0.80 8.00 +0.80 +1.60 +2.40 +3.20 +4.00
다운 그레이디드
4TwB<< -2.40 -1.92 -1.44 -0.96 -0.48 4.80 +0.48 +0.96 +1.44 +1.92 +2.40
4Tw1<< -2.55 -2.04 -1.53 -1.02 -0.51 5.10 +0.51 +1.02 +1.53 +2.04 +2.55
4Tw2<< -2.70 -2.16 -1.62 -1.08 -0.54 5.40 +0.54 +1.08 +1.62 +2.16 +2.70
4Tw3<< -2.85 -2.28 -1.71 -1.14 -0.57 5.70 +0.57 +1.14 +1.71 +2.28 +2.85
4Tw4<< -3.00 -2.40 -1.80 -1.20 -0.60 6.00 +0.60 +1.20 +1.80 +2.40 +3.00


[1] 2016 사대륙선수권 대회의 자료로, 이 쿼드러플 트위스트 리프트가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하게 국제 대회에서 레벨 4를 받은 쿼드러플 트위스트 리프트다.[2] 2008-09 시즌 기준, 싱글 토룹 트위스트 레벨 1의 기초점은 1.1, 레벨 4는 1.7이었으며 싱글 러츠/플립/악셀 트위스트는 기초점이 아예 같아서 레벨 1의 기초점은 1.3, 레벨 4는 1.9이고 토룹과는 0.2점 밖에 차이나지 않는다. 반면 쿼드러플 토룹 트위스트 레벨 1의 기초점은 6.2, 러츠/플립은 6.5, 악셀은 6.8로 0.3씩 등차로 배열되어있으며 레벨 4의 쿼드러플 토룹 트위스트는 7.7, 플립/러츠는 8.0, 악셀은 8.3으로 마찬가지로 0.3씩 등차수열을 이룬다. 악셀과 토룹간의 차이는 고작 0.6점이나 싱글 트위스트 군의 세 배이긴 하다.[3] GOE 단계가 똑같이 책정되더라도 수행한 기술에 따라 최종적으로 매겨지는 가산점과 감점량이 다른데, 이때 실 가감점과 같아지기 위해 GOE 단계에 곱해야하는 숫자를 팩터(Factor)라고 한다.[4] 2012 피겨 스케이팅 세계선수권 대회의 쇼트 프로그램에서 추출.[A] 러츠와 플립 트위스트의 구분이 존재하던 시기에 트리플 트위스트 리프트로 레벨 4를 받은 페어는 없었으며 더블 트위스트 리프트로 레벨 4를 받은 페어는 다수 있다.[6] 2009 스케이트 아메리카의 쇼트 프로그램에서 추출.[A] [8] 아래는 다른 경기에서 뛴 러츠 트위스트 리프트의 도약 순간을 캡처한 사진이다.
파일:선쉐 러츠.jpg
[9]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의 프리 스케이팅에서 추출. 회전이 모자라긴 했다.[10] 2008 피겨 스케이팅 프랑스선수권대회 프리 스케이팅에서 추출.[2024-25시즌개정] [12] 2023-24 시즌까지는 어려운 도약 요건에 어려운 마무리 요건에 대한 내용이 없었다.[2012-13시즌신설] [14] 착지 과정이 부드럽게 흘러가는 정도를 의미한다.